-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보물 2020호)
- 부산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보물 2019호)
-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보물 1922호)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국보 275호), 가야를 대표하는 도기
-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국보 138호)
-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보물 2018호)
- 귀면청동로(국보 145호)
- 몽산화상법어약록(보물 767호)
-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 보물 1157-1호)
- 고금운회거요 권제27~30(보물1158호)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보물 904호), 손기정이 기증한 그리스 투구
-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보물 691호), 최충헌 가족을 위한 호신용경전과 경갑
- 청자 음각 ‘상약국’명 운룡문 합(보물 1023호)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제3호)
-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국보 90호)
- 경주 노서동 금팔찌(보물 454호)
-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보물 456호)
-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보물 455호)
-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보물 2001호)
- 황남대총 북분 은잔(보물 627호)
-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보물 623호)
-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보물 624호), 서역에서 들어온 유물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국보 193호)
- 황남대총 남분 은관(보물 631호)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91호), 신라를 대표하는 걸작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보 192호)
-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191호),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금관
- 무령왕비 금제관식(국보155호),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보물1878호)
-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국보 89호)
- 농경문 청동기(보물 1823호), 고대 농경의례를 보여주는 유물
-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국보 220호)
- 청동 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국보92호)
-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국보 75호)
- 청동 은입사 봉황문 합(국보 171호)
- 금동대세지보살좌상(보물 1047호)
- 동인지문오칠 권7~9(보물 1089호)
- 이색 초상 (보물 1215호)
- 안양 초상(국보 111호), 고려시대 초상화
- 지장보살삼존도(보물 1287호)
- 지장시왕도(보물 1048호), 지장보살을 그린 고려 불화
-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보물 1039호)
-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1375호)
-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보물 제1572호)
- 아미타여래도(보물 1238호)
- 수월관음도(보물 1426호)
- 고려 수월관음보살도(보물 1903호)
-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1634호)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보물 337호)과 복장유물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 1547호)
- 금동삼존불감(국보 73호), 간송미술관 소장 고려시대 불감
- 나전 경함(보물 1975호), 고려시대 불경을 보관하기 위한 함(函)
-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보물 752호)
- 상지금니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보물 753호)
- 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국보210호)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보물 734호)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국보 206호)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32호)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보물 1780호)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1(보물 964호), 송나라 목판으로 찍은 경전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30(보물 1124호), 송나라 목판으로 찍은 경전
-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 별행소(보물1126호)
- 천노해 금강반야바라밀경(보물 1127호)
-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보물1138호)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국보273호), 초조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20 (국보245호), 초조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국보271호), 초조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 안동 태사묘 소장 삼공신 유물 (보물 451호)
- 은제 금도금 잔과 잔받침 (보물 1899호)
-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보물 1783호)
-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국보 333호), 고려초 승려의 조각상
- 삼국사기(국보 322호),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 청자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의 금속공예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지식인의 문학과 예술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의 차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지장보살과 시왕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공양구와 복장유물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시대 불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시대 불상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시대 불경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 왕실 미술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물산의 집산지, 개경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의 수도 개경
- [중앙박물관특별전, 황금인간의 땅] 카자흐스탄 이슬람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황금인간의 땅] 카자흐스탄 은공예품
- [중앙박물관특별전, 황금인간의 땅] 쿠르간(Kurgan), 스키타이인 무덤
- [중앙박물관특별전, 황금인간의 땅] 스키타이인의 화려한 금속세공품
-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周王溪谷) 일원(명승 11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청송 주왕산 주왕암(周王庵)
- 청송 주왕산 대전사(大典寺), 주왕산을 대표하는 사찰
- 청송 대전사 보광전(普光殿, 보물 1570호)
- 경상도 청송도호부 관아, 객사 운봉관(雲鳳館)과 누각
- 청송 찬경루(黃震樓, 보물 2049호), 관아에 운영했던 누각
- 청송 보광사(普光寺), 청송심씨 시조와 관련된 사찰
- 강화 교동향교, 교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경기도 교동도호부 관아, 교동읍성과 삼도수군통어영
- 남양주 수종사(명승 109호),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경치가 아름다운 곳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1808호), 고려시대 팔각석탑을 계승한 조선초기 석탑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2013호), 조선초 왕실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 중국 둔황(敦煌), 서역으로 출발하는 실크로드 도시
- 중국 투루판(吐鲁番), 실크로드를 대표하는 도시
- 중국 우루무치(乌鲁木齐),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
- 우루무치 남산목장(南山牧场), 천산산맥 유명 피서지
- 우루무치 천산 천지(天山 天池), 천산산맥을 대표하는 풍경
- 우루무치 철와사(鐵瓦寺), 천산산맥 천지(天池)에 있는 도교사원
- 투루판 자오허고성(交河故城), 사막에 남아 있는 고대도시 유적
- 투루판 자오허고성 대불사(大佛寺) 절터
- 투루판 카레즈(Karez), 사막에 물을 공급하는 관개시스템
- 투루판 소공탑(蘇公塔), 투루판을 대표하는 이슬람사원
- 투루판 베제클리크 석굴(柏孜克里千佛洞), 투루판을 대표하는 석굴사원
-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군(阿斯塔那古墓)
- 투루판 가오창고성(高昌古城), 당 장안성을 모방해서 건설한 도성
- 투루판 가오창고성 대불사(大佛寺)터, 당 현장법사가 인도 순례길에 머물렀던 곳
- 투루판 토유크 마가촌(吐峪沟麻扎村), 전통 위구르인 마을
- 투루판 토유크석굴(吐峪沟石窟), 서진시대 처음 조성된 석굴사원
- 둔황 아단국가지질공원(敦煌雅丹国家地質公園)
- 둔황 만리장성 양관(陽關)과 양관박물관
- 둔황 만리장성 옥문관(玉門關)과 한장성(漢長城)
- 둔황 명사산(鳴沙山)과 월아천(月牙泉), 실크로드를 대표하는 풍경
- 둔황 막고굴(莫高窟), 혜초 왕오천축국전이 발견된 석굴사원
- 중국 시안(西安, Xian), 역대 가장 많은 왕조가 수도로 삼았던 도시
- 시안 섬서역사박물관(陕西历史博物馆), 고대 중국을 대표하는 박물관
- 시안 대흥선사(大興善寺), 당나라 밀종(密宗)의 중심 사찰
- 시안 대청진사(西安大淸眞寺, The Great Mosque of Xi’an)
- 시안 천복사 중수비
- 시안 천복사(荐福寺), 당나라 장안 화엄종 중심 사찰
- 시안 천복사 소안탑(小雁塔), 화엄탑으로 불렸던 벽돌로 쌓은 전탑
- 시안 대자은사(大慈恩寺), 당나라 장안을 대표하는 사찰
- 시안 대자은사 대안탑(大雁塔), 당나라 장안의 랜드마크였던 탑
- 시안 당 대명궁 유적
- 시안 진시황 병마용박물관
- 시안 진시황 병마용갱 3호갱
- 시안 진시황 병마용갱 2호갱, 발굴현장 모습을 체험할 수 있는 곳
- 시안 진시황 병마용갱 1호갱, 처음 발견된 곳
- 시안 종루(钟楼)와 고루(鼓楼)
- 시안 시안성벽(西安城墙), 중국을 대표하는 도시 성곽
- 시안 비림(碑林), 고대 중국의 비석을 모아 전시한 곳
- [시안(Xi'an) 비림박물관] 전마장(拴馬桩), 말을 묶어 두는 기둥
- [시안(Xi'an) 비림박물관] 가성호조비, 공자께 시호를 올린 사실을 알리는 비석
- [시안(Xi'an) 비림박물관] 황자안서왕성덕지비, 원나라 송덕비
- [시안(Xi'an) 비림박물관] 석각예술실(石刻藝術室) 동관, 무덤을 장식했던 석물들
- [시안(Xi'an) 비림박물관] 석등(石燈), 당나라 사찰을 밝히던 석등
- [시안(Xi'an) 비림박물관] 4실, 그림이 새겨진 석각도화(石刻圖畵) 등
- [시안(Xi'an) 비림박물관] 3실, 역대 서체들을 살펴볼 수 있는 비석들.
- [시안(Xi'an) 비림박물관] 회소초서천자문(懷素草書千字文), 초서체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미원신천시서비(美原神泉詩序碑), 전서체
- [시안(Xi'an) 비림박물관] 장회각비(藏懷恪碑), 해서체
- [시안(Xi'an) 비림박물관] 사마방잔비(司馬芳殘碑), 예서체
- [시안(Xi'an) 비림박물관] 2실, 당대 유명 비석들.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다보탑감응비(多寶塔感應碑), 명필 안진경의 대표작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동주삼장성교서비, 명필 저수량이 글씨를 쓴 비석
- [시안(Xi'an) 비림박물관] 황보탄비, 명필 구양순의 대표작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도인법사비, 명필 구양통이 글씨를 쓴 비석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당대 중국에 전파된 기독교를 기록한 비석
- [시안(Xi'an) 비림박물관] 개성석경(開成石經), 유가 13경전을 새겨놓은 비석
- [시안(Xi'an) 비림박물관] 석대효경 (石臺孝經), 당 현종 글과 글씨가 있는 비석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당 경운종(景雲鐘), 시안 종루에 걸려 있던 종
- [시안(Xi'an) 비림박물관] 대하석마(大夏石馬), 5호16국시대 유물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실크로드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종교문화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문화오락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복식예술(服飾藝術)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상업의 발달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당삼채와 자기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금속공예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농업과 목축업의 발전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장안성 궁궐과 황릉
- [섬서역사박물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일상생활
- [섬서역사박물관] 위진.남북조(魏晉, 南北朝), 충돌과 융합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대외교류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사회 모습과 기술의 발전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산업의 발전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농업경제의 발전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수도 장안(長安)
- [섬서역사박물관] 진(秦), 여산(驪山)이라 불린 진시황릉
- [섬서역사박물관] 진(秦), 천하통일
- [섬서역사박물관] 전국시대, 진(秦)의 성장
- [섬서역사박물관] 전국시대, 진(秦)의 건국
- [섬서역사박물관] 서주(西周), 청동 예기(禮器)
- [섬서역사박물관] 서주(西周), 예악(禮樂)의 나라
- [섬서역사박물관] 선주(先周), 상대 제후국
- [섬서역사박물관] 선사시대 , 앙소문화(仰韶文化)
- [산동성박물관 명 노왕(魯王)실] 친왕의 출행 의례(出行依例)
- [산동성박물관 명 노왕(魯王)실] 학자적 취향을 보여주는 서적과 문방구
- [산동성박물관 명 노왕(魯王)실] 친왕의 지위를 보여주는 생활용품들
- [산동성박물관 명 노왕(魯王)실] 명대 친왕의 상징물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송대 이후 산동성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수.당 전성기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위.진.남북조시대 산동지방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한대 주거생활을 보여주는 집모양 도기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한대 농업경제와 산업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한대 국가 철학과 규범이 된 유교
- [산동성박물관 진.한 이후] 진시황 순행과 도량형 통일
- 청도 청도읍성, 청도군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읍성
- 경상도 청도군 관아, 객사인 도주관과 동헌
- 청도 척화비, 구한말 서양세력을 배척하고자 전국적으로 세운 비석
- 청도 석빙고(보물 323호), 조선시대 얼음을 저장하던 창고
- 청도 장연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677호)
- 청도 삼족대, 조선중기 문신 김대유가 후학 양성을 위해 지은 정자
- 청도 신지리마을, 교통요지에 위치한 밀양박씨 집성촌
- 청도 신지리마을 섬암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명중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운남고택
- 청도 신지리마을 운강고택 및 만화정, 조선후기에 지은 대저택
- 청도 선암서원, 구한말 서원 훼철 이후 서당으로 다시 지어진 곳
-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보물 203호),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
- 청도 운곡정사와 원모재
- 청도 운문사 북대암, 북쪽 봉우리 아래 작은 암자.
- 청도 운문사 내원암, 동쪽 계곡에 세워진 암자
- 청도 운문사 사리암, 남쪽 계곡에 세워진 암자
- 청도 운문산 운문사, 현대 불교 대표적 비구니 수행 사찰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보물 318호)
- 청도 운문사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317호)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보물 835호)
-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보물 678호)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보물 316호), 고려중기 승려 학일의 탑비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천연기념물 180호)
- 영천 청제와 청못, 삼국시대 신라가 쌓은 오래된 수리시설
- 영천 청제비(보물 517호), 삼국시대 신라가 저수지를 쌓고 세운 비석
- 영천 팔공산 은해사 거조암, 고려중기 불교개혁 운동이 시작된 유서깊은 사찰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국보 14호)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삼층석탑
- 경산 병영유적(사적 218호), 삼국시대 신라의 군사훈련장
- 경산 조영동 고분군(사적 516호), 삼국시대 초기 신라 지방세력 무덤
- 경산 임당토성과 저습지 유적, 신라 지방세력 압독국 생활유적
- 경산 임당동 고분군(사적 516호), 삼국시대 신라 지방세력 무덤
- 경산 팔공산 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 갓바위로 불리는 대표적인 기도처
- 서울 호암산(해발 393 m), 역사탐방을 할 수 있는 관악산 둘레길
- 서울 호암산성(사적 343호), 통일신라가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쌓은 산성
- 서울 관악산 호압사, 호랑이 기운을 누르기 위해 세운 사찰
- 인천 인천대공원, 울창한 가로수길이 걷기 좋은 공원
- 인천 인천향교, 인천도호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 경기도 인천도호부(仁川都護府) 관아, 동헌과 객사
- 인천 문학경기장
- 인천 무의도 호룡곡산 해안 탐방로
- 인천 무의도 하나개 해수욕장
- 인천 공화춘, 화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짜장면박물관
- [짜장면박물관 특별전] 청관(淸館), 그 기억을 거닐다
- 경기도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 관아, 초등학교에 남아 있는 내아(內衙)
- 시흥 소래산(해발 299 m), 서해안 경치가 아름다운 산
-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보물 1324호), 회화적 기법이 돋보이는 고려시대 불상
- 칠곡 가산산성(사적 216호), 칠곡도호부 읍치가 설치되었던 큰 산성
- 칠곡 가산 송림사, 중국풍 전탑이 세워져 있는 고찰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 325호)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189호)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보물357호), 경북지역 향리들이 세운 고려 석탑
- 군위 제 2 석굴암으로 불렸던 작은 사찰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국보 109호), 제대로된 모습을 갖춘 삼국시대 석굴사원
- 군위 인각사지(사적 374호), 일연이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 탑 및 비(보물 418호)
- 춘천 구곡폭포, 강촌에서 걷기 좋은 명소
- 춘천 신매리유적(사적489호), 춘천지역의 대표적 선사유적지
- 춘천 남이섬, 정원이 아름다운 북한강의 명소
- 춘천 공지천유원지, 춘천MBC가 있는 언덕
- 춘천향교, 옛 춘천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춘천 김유정 생가, 지주계층이 살았던 초가집
- 춘천 오봉산 청평사, 경치좋은 계곡에 자리잡은 사찰
- 춘천 어린이회관(현 KT&G 상상마당), 건축가 김수근이 어린이를 위해 설계한 문화공간
- 춘천명물닭갈비, 공지천 유원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맛집
- 춘천 명동 닭갈비골목, 춘천을 대표하는 향토음식
- 춘천 소양강댐과 소양호,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
- 양평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로 유명한 사찰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30호),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나무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과 비(보물 531호)
- 양평 벽계강당( 蘗溪講堂), 구한말 유학자 이항로가 후학을 양성하던 곳
- 양평 이항로선생 생가, 벽계구곡 경치좋은 곳이 자리잡은 저택
-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국보 186호), 7세기 신라의 금동불상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 361호)
- 예천 회룡포 (명승 16호), 내성천이 휘감아 돌아가면서 만든 경치
- 예천 삼강주막과 나루터
- [상주박물관] 상주의 근대
- [상주박물관] 상주의 유학
- [상주박물관] 조선시대 지방통치
- [상주박물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 [상주박물관] 사벌국과 신라
- [상주박물관] 선사시대의 상주
- 상주 수암종택, 손님 접대를 위한 큰 사랑채를 두고 있는 고택
- 상주 승곡리 추원당, 검간 조정을 모신 재사
- 상주 양진당(보물 1568호), 낙동강 주변 자연환경이 잘 반영된 고택
- 상주 오작당, 임진왜란 직후에 지은 고택
- 상주 상주향교, 상주목 관아에서 설치.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상주 왕산역사공원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임진왜란 때 중앙 관군이 왜군과 첫 전투를 벌렸던 곳
- 경상도 상주목 관아, 경상감영이 있었던 큰 고장
- 상주 향청, 옛 상주목 관아 부속 건물
- 상주 상산관, 옛 상주목 관아 객사 건물
-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 477호), 읍치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이후 생활유적
-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 119호)
- 상주 석조천인상(보물 661호),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과 공양하는 모습을 표현한 작품
- 상주 전 사벌왕릉, 후삼국시대 지방세력 무덤
-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보물 117호), 사벌왕릉 옆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 상주 노악산 남장사, 옛 상주목 읍치 가까운 곳에 위치한 큰 사찰
- 상주 천주산 북장사, 상주지방의 유력 사찰
-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 상주 도남서원, 정몽주 등을 배향하기 위해 지역 유림들이 세운 서원
- 상주 옥동서원 (사적 532호), 조선초 황희 정승을 모신 서원
- 문경 희양산 봉암사, 통일신라 구산선문 희양산문 중심사찰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137호),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진 승탑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315호),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169호)
-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1574호)
- 문경 고모산성, 계립령 고갯길을 지키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 문경 석현성, 영남대로 토끼비리 옛길을 지키는 조선시대 관문성
- 문경 토끼비리(명승 31호), 영남대로 옛길
- 문경 문경새재(명승 32호), 영남과 서울을 연결하는 백두대간 고갯길
- 문경 조령 관문(사적 147호), 백두대간 고갯길에 쌓은 관문성
- 충주 누암리고분군(사적 463호), 신라 지방세력의 무덤
- 충주 탄금대(명승 42호),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이라 여겨진 곳
- 충주 조동리 유적, 선사시대 생활유적
- 충주 충주댐, 남한강을 막아 조성한 국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댐
- 충청도 충주목 관아, 청녕헌과 제금당
- 충주 윤양계 고택, 19세기 중부지방 양반가옥
- 충주 백운암, 구한말에 창건된 작은 암자.
-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1527호)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보물 16호)
- 충주 청룡사지, 조선 태조가 보각국사를 위해 크게 중창한 사찰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197호),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보물 658호)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보물656호), 승탑 앞에 세워진 장명등
- 충주 청룡사 위전비, 사찰 경영 내력이 적혀 있는 조선후기 비석
- 충추 탑평리칠층석탑(국보 6호), 중앙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석탑
- 충주고구려비(국보205호),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고구려비
- 충주 장미산성(사적 400호), 남한강변 고구려비 부근 고구려 산성
- 충주 미륵대원지(사적317호), 백두대간 고갯길에 있던 고려시대 절터
-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 96호)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95호)
- [광주박물관특별전, 전라천년] 임진왜란의 극복
- [광주박물관특별전, 전라천년] 대동세상을 꿈꾸며
- [광주박물관특별전, 전라천년] 부처의 가르침을 새롭게
- [광주박물관특별전, 전라천년] ‘전라도’ 이전의 전라도를 일군 사람들
- [광주박물관특별전, 전라천년] 온전하고 비단결 같은 땅, 전라도
- [광주박물관] 회화와 서예
- [광주박물관] 도자공예
- [광주박물관] 전남지역 불교문화
- [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유적, 농경의례
- [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유적, 집과 생활용품
- [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유적, 목기와 칠기
- [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 유적, 마한의 대표적 생활 유적
- [광주박물관] 마한의 대외교류
- [광주박물관] 마한사람들
- [광주박물관] 청동기문화의 발전
- [광주박물관] 청동기시대 무기
- [광주박물관] 토기의 변천
- [광주박물관]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 [광주박물관] 야외전시장
- 강진 영랑생가, 일제강점기 부호가 살았던 저택
- 강진 전라병영성(사적397호), 전라도 병마절도사 본영
- 영암 월출산 도갑사, 통일신라말 도선국사가 머물렀던 사찰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보물 1395호)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보물 1433호)
- 영암 도갑사 해탈문(국보 50호)
- 나주 창계서원, 조선후기 학자 임영을 모신 서원
- 나주 복암리 고분군(사적 404호), 영산강 이북 백제 토착세력 무덤
- 나주 반남고분군(사적 513호), 영산강유역 백제 토착세력 무덤
- 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 나주 영산포, 영산강 주변 물산의 집산지였던 옛포구
- 나주 나주읍성(사적 337호), 전라도 나주목 읍치
- 전라도 나주목 관아(사적 483호), 객사인 금성관과 내아
- 나주 나주향교(사적 483호), 교육기능을 제대로 갖춘 큰 규모의 향교
- 나주 나주향교 대성전(보물 394호),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묘 건축물
- 김제 모악산 금산사(사적 496호), 통일신라 법상종 근본도량이었던 사찰
-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보물 28호)
- 김제 금산사 대장전(보물 827호), 미륵전 앞 목탑으로 세워졌던 건물
- 김제 금산사 미륵전(국보 62호), 삼국시대 장륙전 모습이 남아 있는 거대 불전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보물 26호), 부처의 사리를 모신 석종형 사리탑
- 김제 금산사 노주(보물 22호), 용도를 알 수 없는 석조유물
- 김제 금산사 석등(보물 828호)
- 김제 금산사 석련대(보물 23호), 하나의 돌로 만든 거대한 석조대좌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보물25호), 금강계단 앞에 세워진 석탑
-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보물27호), 검은색 점판암으로 만든 다층석탑
- 김제 김제향교(사적 482호)
- 전라도 김제군 관아, 동헌과 내아 (사적 482호)
- 김제 벽골제(사적 111호), 삼국시대 수리시설 유적
- 남원 광한루원(명승 33호), 신선이 사는 삼신산을 구현해 놓은 인공정원
- 남원 광한루(보물 281호),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 남원 춘향사당
- 남원 광한루 월매집, 남부지방 중상계층이 살았던 초가집
- 남원 만복사지(사적349호), 김시습 소설 금오신화의 무대였던 절터
-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보물 31호), 거대한 금동불상이 올려졌던 대좌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43호), 통일신라 불상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보물 30호), 전형적인 고려시대 다층석탑
-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보물 32호)
- 남원 선원사, 도선국사가 남원의 지세를 보완하기 위해 세운 사찰
- 남원 용담사지, 고려초 조성한 거대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 고려 초에 조성한 거대 불상
-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고려시대에 세워진 석탑
-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104호),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 남원 지리산 실상사(사적 309호),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처음 창건된 사찰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 37호), 상륜부가 온전히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 남원 실상사 석등(보물 35호), 조형미가 돋보이는 큰 석등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33호)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 34호)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38호),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39호), 통일신라 비석의 원형을 보여주는 탑비
- 남원 실상사 석장승, 사찰입구에 세워진 장승
- 남원 지리산 실상사 백장암, 참선도량으로 지은 부속 암자.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10호), 다양한 부조상이 새겨진 자유로운 형식의 석탑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40호),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석등
- 남원 남원향교, 남원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남원 창주서원, 조선중기 문신 노진을 모신 서원
- 남원 남원읍성(사적 298호), 정유재란 때 큰 전투가 있었던 역사적인 장소
- 남원 만인의총(사적 272호), 정유재란 남원전투에서 희생된 이들이 함께 묻힌 곳
- 정읍 황토현 전적(사적 295호)과 만석보 옛터
- 정읍 전봉준 유적(사적 293호), 전봉준 선생이 살았던 옛 집
- 정읍 피향정(보물 289호),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정자 건축
- 전라도 태인현 관아
- 정읍 태인향교
- 정읍 무성서원(사적 166호), 통일신라 유학자 최치원을 모신 서원
- 강진 월출산 월남사지, 백제계 양식 석탑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절터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보물 313호)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298호), 백제 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 강진 월출산 무위사, 수륙재로 유명했던 사찰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보물 507호)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13호),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불교건축
- 강진 송정리 지석묘군
- 해남 단군전
- 해남 연동리 마을, 윤선도 유적지
- 해남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167호), 윤선도 고택
- 해남 추원당과 어초은사당, 마을 입향조를 모신 재실과 사당
- 강진 다산초당과 정약용 유적(사적 107호)
- 강진 백련사, 고려중기 불교개혁 백련결사를 이끌었던 사찰
- 강진 백련사 사적비(보물 1396호)
- 순천 순천왜성,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가 쌓은 왜성
- 전라좌수영 본영
- 여수 진남관(국보 304호), 전라좌수영 객사
- 여수 오동도, 동백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아름다운 섬
- 여수항, 남해안을 대표하는 큰 항구
- 여수 향일암, 일출이 아름다운 남해안 관음성지
- 여수 영취산 흥국사, 전라좌수영과 함께 했던 호국사찰
-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보물 1566호)
-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1550호)
-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보물 578호)
- 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396호)
- 여수 흥국사 홍교(보물 563호)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도금은의 방, 청동의 방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도자기 궁전, 미완의 꿈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보석의 방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금은보화의 방과 코너캐비닛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은의 방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상아의 방
- [중앙박물관특별전, 왕이 사랑한 보물] 강건왕 아우구스투스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철과 예술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철과 생활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전쟁무기의 발달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철갑옷과 투구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철, 권력을 낳다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아시아의 철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철의 문화사] 철, 인류와 만나다.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길]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탄생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말라 지역의 묘비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이슬람교의 확대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메카와 메디나로 가는 길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향료 교역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사막의 고대도시, 까르얏 알파우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고대 유적지 울라와 마다인 살레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사막위의 고대도시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오아시스에 핀 문명
- [중앙박물관특별전, 아라비아로 가는 길] 아라비아의 선사시대
- 순천 낙안읍성(사적 302호), 왜구 침입을 대비하여 쌓은 대표적인 조선시대 읍성
-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조선시대 읍치 모습이 잘 남아 있는 전통마을
- 순천 낙안읍성 주막집
- 순천 낙안읍성 서문성벽집
- 순천 낙안읍성 대나무 서까래집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 전라도 낙안군 관아
- 보성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거리
- 보성 벌교읍 봉림리 마을
- 보성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관
- 보성 벌교읍 현부자네, 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일제강점기 개량한옥
- 보성 벌교 홍교(보물 304호), 큰 규모의 조선시대 홍예교
- 보성 벌교읍 김범우의 집, 소설 『태백산맥』에 소개된 대지주 저택
- 보성 벌교읍 옛 보성여관 건물, 벌교읍에 남아 있는 일본식 가옥
- 순천 조계산 송광사(사적 506호), 고려중기 불교개혁 이후 한국 불교를 이끌어 온 승보사찰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 순천 송광사 고려고문서(보물 572호)
- 순천 송광사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보물 204호)
- 순천 송광사 대반열반경소(보물 90호)
- 순천 송광사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보물 205호)
- 순천 송광사 경패(보물 175호)
- 순천 송광사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보물 1909호)
- 순천 송광사 인천안목 목판(보물 1911호)
- 순천 송광사 혜심고신제서(국보 43호),
-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보물 1376호),
-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복장유물(보물 1468호)
- 순천 송광사 영산전 영산회상도와 팔상도(보물 1368호)
-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보물 176호)
- [송광사박물관] 십육조사 진영 (보물 1043호)
- [송광사박물관] 복장유물, 불구, 불화
- [송광사박물관] 불교 경전
- [송광사박물관] 승보사찰 송광사
-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 263호), 조선전기 승방의 모습이 남아 있는 건물
-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56호), 고려말 주심포계열 건축을 잘 보여주는 건물
- 순천 송광사 영산전 (보물 303호)
- 순천 송광사 약사전(보물 302호), 앞면 1칸 규모 작은 불전
- 순천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
- 순천 송광사 조계문, 첫번째 출입문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사적 114호), 정유재란 말 조.명연합군 수군이 주둔했던 곳
- 완도 청해진 유적(사적 308호), 해상왕 장보고가 근거지로 삼은 작은 섬
- 완도 완도항
- 완도 가리포진, 객사 건물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 수영
- 완도 정도리 구계동(명승 3호), 넓은 자갈밭과 숲이 아름다운 곳
- 해남 땅끝, 한반도 최남단 상록수와 남해 바다가 아름다운 곳
- 광주 옛 전남도청 본관을 비롯한 관공서 건물들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국보 103호),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걸작
- 고성 옥천사 괘불
- [천안박물관] 천안의 읍지
- [천안박물관] 천안의 불교문화
- [천안박물관] 삼국시대 천안
- [천안박물관] 선사시대 천안지역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오시리스 신화,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영원한 삶과 미라
- [중앙박물관특별전,이집트보물전] 사자의 서 (Book of the Dead)
- [중앙박물관특별전,이집트보물전] 껴묻거리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샵티(Shabty), 사후세계 동행을 위해 함께 묻은 인형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껴묻거리, 장신구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그림이 새겨진 새김돌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장례의식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동물 미이라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신성한 동물들
- 영주 태백산 부석사, 통일신라 화엄십찰을 대표하는 사찰
-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1636호)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220호), 9세기 후반 비로자나여래 불상을 대표하는 작품
- 영주 부석사 조사당(국보 19호), 고려 이전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는 전각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18호),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249호), 무량수전 동쪽 언덕에 세워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17호),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인근 절터에서 옮겨온 2개의 탑.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255호)
- 영주 선비촌, 옛 선비들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 영주 김상진가옥, 중류층 선비계층이 살았던 아담한 가옥
- 영주 소수서원(사적 55호), 안향을 모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1402호),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을 모신 사당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보물 1403호), 최초의 서원 ‘백운동’이란 현판이 걸린 건물
-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59호)
- [맛집] 안동 까치구멍집, 헛제사밥과 간고등어
- 안동 도산서원(사적 170호), 퇴계 이황을 모신 서원건축을 대표하는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보물 211호), 퇴계 이황을 모신 사당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보물 210호), 강학공간 중심건물
- 안동 퇴계종택, 퇴계 이황 종손이 살고 있는 종가집
-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명승 26호)
- 안동 하회마을(河回里),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풍산류씨 세거지
- 안동 양진당(보물 306호), 겸암 류운룡이 살았던 하회마을 종택
- 안동 천전마을(川前理, 내앞마을),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히는 의성김씨 세거지
- 안동 의성김씨 종택(보물450호),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종택
- 안동 귀봉종택(龜峯宗宅), 천전마을 두번째 종택
- 안동 만송헌(萬松軒), 천전마을 고택
- 안동 백하구려(白下舊廬), 독립운동가 김대락의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제산종택(齊山宗宅), 조선후기에 지은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천전마을 추파고택(楸坡古宅), 19세기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한옥
- 안동 운곡서당(雲谷書堂),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천전마을 서당
- 안동 사빈서원(四濱書員), 청계 김진과 그의 다섯 아들을 모시는 천전마을 서원
-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퇴계 이황을 모시기 위해 처음 세워진 서원
-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 안동 금계리마을, 학봉 김성일 후손들이 모여사는 의성김씨 집성촌
-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義城金氏 鶴峯宗宅), 조선중기 학자 김성일이 살았던 집
- 안동 학봉기념관, 학봉종택에서 소장한 김성일의 유품을 볼 수 있는 곳
- 안동 겸와고택(謙窩古宅), 학봉고택과 이웃하고 있는 저택
- 안동 소계서당(邵溪書堂), 학봉 후손 김흥락이 후학을 양성하던 곳
- 안동 모계정사(某溪精舍), 구한말에 지은 정자
- 안동 임하마을, 임하댐 아래 자리잡은 양반들의 세거지
- 안동 이우당 종택(二愚堂 宗宅),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
- 안동 국탄댁(菊灘宅), 임하댐으로 수몰된 지례동 마을에 있던 조선후기 고택
- 안동 치헌(恥軒), 지례마을에서 옮겨온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동에서 옮겨온 전통한옥
- 안동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 안동 임청각(보물182호), 독립운동가 이상룡을 배출한 99칸 대저택
-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553호)
- 안동 예안이씨 상리종택
- 안동향교(安東鄕校), 안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안동 영호루, 공민왕 친필 현판이 걸려 있던 누각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16호),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塼塔)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보물57호), 화강석과 벽돌을 섞어서 만든 전탑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보물56호), 도심 기차역에 남아 있는 벽돌로 쌓은 탑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114호),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115호), 제비원 석불로도 불렸던 고려시대 거대 석불
- [충재박물관] 유물로 본 당시 사회상
- [충재박물관] 충재 권벌의 생애 – 충재일기(보물261호), 권벌 종가 고문서(보물901호) 외
- [충재박물관] 당대 문인들과 교류 – 근사록(보물262호), 권벌 종가 전적(보물896호), 권벌 종가 유묵(보물902호)
- 봉화 닭실마을,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히는 전통마을
- 봉화 닭실마을 권벌 종택
-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명승 60호)
-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국보 201호), 통일신라 초기를 대표하는 불상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보물 680호)
-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보물 60호)
- 영주 가흥리 암각화,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새겨놓은 바위그림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221호)
- 영주 무섬마을, 물위에 떠 있는 섬처럼 생긴 아름다운 전통마을
- 영주 무섬마을, 무섬자료전시관
-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마을로 들어가는 아름다운 다리
- 영주 무섬마을 치류정, 마을 북쪽에 있는 작은 정자
- 영주 무섬마을 오헌고택
- 영주 무섬마을 농당고택
- 영주 무섬마을 작은 초가집
- 영주 무섬마을 무송헌종택, 마을 선성김씨 종택
- 영주 무섬마을 섬계고택(김동근가옥)
- 영주 무섬마을 김성규가옥, 시인 조지훈의 처가였던 집
- 영주 무섬마을 김정규가옥, 9칸 규모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김규진가옥, 6칸 규모 작은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 영주 무섬마을 김덕진가옥
- 영주 무섬마을 박천립가옥,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까치구멍집
-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고택, 반남 박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사는 고택
문화유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