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비석/금석문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이다. 2009년 포항시 흥해읍 중성링서 발견된 석비(石碑)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라비이다. 모양이 일정치 않은 돌에 203자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글자가 뚜렷하게 남아 있어 대부분 판독이 가능할 정도이다. 신라 관등제 성립과정, 신라 6부의 내부구조, 신라의 지방통치와 분쟁 해결절차 등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글씨체는 예서인데 다른 신라비와 마찬가지로 고구려 광개토대왕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포항 중성리 신라비, 복제품, 삼국시대(신라) 501년, 포항 중성리>

OLYMPUS DIGITAL CAMERA
<탁본>

비문 맨 앞에 나오는 ‘辛巳’는 이 비가 건립된 시기를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신라 지배층이 포항 중성리 지역 호족에게 명령을 내려, ‘궁宮’, 즉 토지를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조정한 내용에 대해서 기록한 비석이다. 이제까지 알려진 신라 비석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부정형의 자연석으로 한 면에만 음각을 하였다. 이 비가 발견된 지점은 ‘영일 냉수리비(국보)’가 발견된 지점에서 동쪽으로 약 8km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울진 봉평 신라비(국보)

경북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에 있는 울진 봉평 신라비(국보)이다. 삼국시대 신라 법흥왕 때(524년경)에 세운 석비이다. 비는 자역석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다. 한쪽 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400자 정도이다. 울진 지역에 신라에 복속되면서 주민들이 저항하자 신라에서 육부회의를 열어 책임자에게 형벌을 내리고 이를 기록해 놓았다. 법흥왕 떄 율령반포와 6부제 실시, 왕권의 실태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삼국사기>에 기록된 내용을 검증해 주고 있다. 비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고구려 광개토왕비와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울진 봉평 신라비, 524년, 경북 울진, 국보, 복제품>

OLYMPUS DIGITAL CAMERA
<봉평신라비에 새겨진 글씨>

524년(신라 법흥왕 11)에 신라 지배층이 울진 봉평리 지역에 명령을 내린 내용을 기록한 비석이다. 명령을 이행한 뒤 소를 잡아 제사를 지내고, 책임자에게 형벌을내렸다.
“525년 정월 15일, 탁부 모즉지 매금왕 등 …. 명령을 내렸다. …. 노인법에 따른다. 신라 6부는 점박이 소를 잡아 제사를 지냈다. …. 아척혜 마을의 나니리에게 곤장 60대를 쳤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1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국보)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리에 있는 봉선홍경사 갈기비(국보)이다. 갈기비(碣碑碑)는 간략한 형태의 석비를 말하는데 이 석비은 머릿돌, 비몸, 거북받침돌을 제대로 갖추고 있다. 고려 현종 때(1021년) 이곳에 봉선홍경사라는 사찰을 세우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석비이다. 사찰의 창건에 관한 내용만 비문에 남아 있고 사찰은 폐사되어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
<봉선홍경사 갈기비(국보)>

비몸돌 앞면 윗쪽에  ‘봉선홍경사갈기’는 이름이 적혀 있고, 머릿돌에는 구름에 휩싸인 용이 새겨져 있다. 해동공자로 불렸던 고려시대 유학자 최충이 글을 지었고 백현례가 썼다고 한다. 고려초에 만든 비석이지만, 글자가 또렷히 남아 있어 지금도 읽어 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머릿돌과 비몸 윗부분>

OLYMPUS DIGITAL CAMERA<글자가 새겨진 몸돌>

OLYMPUS DIGITAL CAMERA
<옆쪽에서 본 비몸>

받침돌의 머리는 어룡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오른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있다. 머리에 물고기 지느러미처럼 생긴 날개를 새겨 생동감을 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거북받침돌>

OLYMPUS DIGITAL CAMERA<어룡모양을 하고 있는 머리>

OLYMPUS DIGITAL CAMERA<옆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뒤에서 본 모습>

이곳은 호남지역으로 연결하는 교통로가 위치하고 있다. 당시 교통의 요지이지만 마을이 없고 주변에 습지가 많아 도적이 자주 출몰하여 여행객의 안전을 위하여 절과 숙소인 원(院)을 세웠다고 한다. 지금은 이 석비와 작은 석탑 부재만이 절터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석비가 있는 비각>

OLYMPUS DIGITAL CAMERA<비각 옆에 있는 옛 석탑 부재>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국보, 천안시 성환읍 대흥리
1021년(고려 현종12)에 봉선홍경사라는 사찰을 짓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1026년(고려 현종17)에 세운 비이다. 이곳은 호남과 한양을 잇는 갈래 길로 교통의 요지였으나, 갈대가 무성한 못이 있고, 사람이 사는 곳과 떨어져 있어 강도가 자주 출몰하여 사람들의 왕래가 어려웠다. 이에 현종이 불법을 펴고 갈가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선홍경사라는 사찰을과 광연통화원이라는 숙소를 세우도록 한 것이다. 사찰의 이름 앞에 봉선이라 붙인 것은 현종의 부왕 안종의 뜻을 받들어 지었기 때문이다. 최충이 비문을 지었고, 백현례가 썼다. 비는 거북모양의 받침인 귀부와 이무기를 조각한 덮개돌인 이수를 갖추고 있다. 귀부는 지대석과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어룡의 머리가 정면을 보지 않고 오른편으로 고개를 돌리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고려시대 조각과 금석문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안내문, 천안시청, 2014년)

<안내문>

  1. 안내문, 천안시청, 2014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산청 문익점 효자비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 있는 문익점 효자비이다. 중국에서 목화씨를 가져와 장인과 함께 목화를 재배했던 마을에 남아 있는 비석이다. 문익점은 모친이 돌아가신 후 묘곁에서 움막을 짓고 살았는데 당시 이곳을 침범했던 왜적이 그의 효성에 감복하였다고 한다. 이후 조정에 알려져 고려 우왕 때(1383) 그에게 표창을 내리고 마을을 ‘효자리’라 이름하도록 하였다. 비석은 윗변을 살짝 둥글게 다음은 단순한 형태로 ‘孝子里’라는 글자가 크게 새겨져 있다. 앞쪽에 최근에 다시 세운 비석이 같이 놓여 있다.

산청 문익점 효자비 03-20220222
<산청 문익점 효자비>

산청 문익점 효자비 01-20220222<효자비 비각>

산청 문익점 효자비 02-20220222<최근에 세운 비석>

산청 문익점 효자비,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삼우당 문익점(1329 ~ 1398)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비석이 세워진 곳은 원래 문익점 선생이 살던 마을이었다. 선생이 모친상을 당하여 시묘를 하고 있을 때 왜적이 침범해 왔다. 지나는 곳마다 분탕질이 심하여 모두 피난을 갔지만, 선생은 홀로 여막을 지키며 평소와 같이 곡하고 있었는데, 왜적도 이를 보고 감동하여 나무를 다듬어 “효자를 해치지 말라”고 써서 세웠기에 일대가 모두 평안하였다 한다. 2383년(우왕9)에 정려를 내리고 이마을을 효자리라 이름지었다. 크기는 세로 160cm, 가로 50cm이다. (안내문, 산청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산청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통영 두룡포기사비

경남 통영시 세병로 삼도수군통제영 유적에 남아 있는 두룡포기사비(頭龍浦記事碑)이다. 이곳에 삼도수군통제영을 건설한 제6대 통제사 이경준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이다. 비는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형태이다. 비문에는비를 세운 경위, 통제영을 두룡포로 옮긴 이유, 이경준의 행적 등이 적혀 있다. 인조 때(1625년) 19대 통제사 구인후가 세운 것으로 원래는 남문 밖 바닷가에 있었는데 1904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통영 두룡포기사비 01-20220221<통영 두룡포기사비>

통영 두룡포기사비 04-20220221
<비석>

머릿돌에는 구름과 두미리의 용을 조각해 놓고 있다. 일반적인 공덕비에 비해 화려하게 장식해 놓고 있다.

통영 두룡포기사비 02-20220221<머릿돌>

이경준은 선조 때 6대, 광해군 떄 9대 통제사를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곽산군수로 재직하다 선조가 의주로 피난할 당시 호종하였으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통제사를 역임하면서 삼도수군통제영을 두룡포로 옮기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통영 두룡포기사비 03-20220221<비몸에 새겨진 글자>

두룡포에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을 설치한 제6대, 제9대 이경준(李慶濬) 통제사의 치적을 기록한 ‘이경준사적비’로 인조 3년(1625년)에 제19대, 제25대 구인후(具仁) 통제사가 세웠다. 두룡포는 원래 작은 포구에 지나지 않았으나 이경준이 이곳에 삼도수군통제영을 옮겨옴으로써 전략적인 요충지가 되었다. 이 비석은 받침대 없이 비신(碑身)과 머릿돌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비문은 창원대도호부(昌原大都護府)의 부사(府使)였던 박홍미가 지었다. 비문은 아랫부분이 마멸되어서 판독이 어려운 부분도 있으나 대체로 그 내용은 확인된다. 비문에는 이 비를 세우게 된 경위와 함께 통제사 이경준의 약력(略歷)과 업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 머릿돌에는 두 마리의 용이 하늘을 오르며 하나의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다. 이 비석은 원래 통제영의 영문(營門) 자리에 세웠던 것을 1904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 (안내문, 통영시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통영시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