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안 비림박물관 마당에 있는 경운종(景雲鐘, Jingyun Bell)이다. 황실 도교 관청인 경룡관(景龍觀)에서 만들어 ‘경룡관종’으로 불렸으며, 당 예종 경운 2년(711)에 만들어져 경운종이라 부른다. 명나라 때 시안 종루가 세워지면서 1953년까지 종로에 걸려 시간을 알려주었다. 통일신라 성덕대왕 신종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져 같은 역할을 했던 중국을 대표하는 종이다. 중국 국가1급문물에 지정된 중요한 문화재이다.
<시안 비림박물관 마당으로 옮겨져 있는 당 경운종.>
종은 높이 2.47 m, 무게는 6 톤으로 위에 짐승모양 고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6각형을 이루고 있다. 몸체는 위, 중간 및 아래쪽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은 6 개의 사각형으로 나뉩니다. 아래 부분 가운데는 당 5대 황제 예종 이단(李旦) 쓴 글이 새겨져 있다. 글의 내용은 도교의 신비와 종에 예찬 등 이다. 다른 부분에는 봉황, 사자, 학, 소 등을 표현하고 있으며 322개의 상서로운 구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당 경운종. 전체적으로 6각형을 이루고 있다.>
각면에는 글씨를 비롯하여 다양한 문양들이 조각되어 있다.
<당 예종이 직접 글을 짓고 글을 쓴 부분. 글자가 지금까지도 또렷히 남아 있다.>
<각 면에는 봉황, 학, 사자 등을 새겨 놓고 있으며, 주위에 상스러운 구름이 표현되어 있다.>

<옆면>

<뒷편. 봉황이 조각되어 있는데 중국의 전통적인 봉황문양과 약간 다른 모습이다.>

<사자와 소가 새겨져 있다.>
용, 호랑이 등을 표현한 전통적인 문양과는 달리 서역 불교 등의 영향을 받아 사자, 소 등이 표현되었다.
<종을 매다는 고리. 음통이 있는 신라 범종과는 다른 중국종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경운종이 걸려 있던 시안 종루.>
1953년 비림박물관으로 옮겨지면서 지금은 복제품이 종루에 걸려 있다.
<경주박물관에 걸려 있는 성덕대왕 신종(국보).>
경운종보다 60년 정도 늦은 771년에 만들어졌는데 경운종과 마찬가지로 성덕대왕을 칭송하는 글자가 비슷한 규모로 새겨져 있다.
경운종(景雲鐘, Jingyun Bell). 당 경운 2년(711), 당예종 이단 찬 및 서
This bell was cast in the 2nd year of Jingyun Period of the Tang Dynasty(711), hence its name. It weighs six tons, with beast button on its top. The rim of it is in the shape of hexagon. The body of the bell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upper, middle and the lower ones, each section is subdivided into six squares. The middle square in the lower section is engraved with inscriptions, which were composed and written by Emperor Riuzong (Li Dan) of Tang Dynasty. it tells us the mystery of the Taoism and some words of praise of the bell. The other sections are decorated with exquisite designs that include the representations of phoenix, lion, crane, and cow as well as auspicious clouds together with the 32 nipples that work both as decoration and rhythm adjustment.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출처>
-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