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산/강

예천 선몽대 일원(명승)

경북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에 있는 선몽대 일원(명승)이다. 조선중기에 처음 세워진 정자인 선몽대와 주변 숲, 그 앞을 흐르는 내성천과 백사장이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 내는 곳이다. 선몽대 일대는 기러기가 백사장에 한가로이 쉬고 있는 형태라 하여 풍수상 평사낙안형(平沙落雁形)이라 전하고 있다. 내성천의 아름다운 풍경과 많은 문인들이 찾았던 선몽대의 내력을 더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명승지로 손꼽히는 곳이다.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1<예천 선몽대 일원(명승)>

선몽대(仙夢臺)는 퇴계 이황의 조카인 이굉(1515~1591년)이 1563년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현판에 적힌 ‘선몽대(仙夢臺)는 퇴계 이황이 친필로 알려져 있으며 약포 정탁, 서애 류성룡, 청음 김상헌, 한음 이덕형, 학봉 김성일 등의 친필시가 목판에 새겨져 전해오고 있어 많은 문인들이 이곳을 찾아 교류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건물은 2층 문루가 있는 대문간채와 내성천 경치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정자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0<선몽대>

대문간채는 크지는 않지만 앞면 6칸의 건물로 가운데 문루가 있는 대문이 있으며 양쪽에 온돌방과 부엌 등이 있다.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7<대문간채>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2<안쪽에서 본 모습>

예천_선몽대_일원_대문_현판_(촬영년도___2015년)
<선몽대 현판>

정자는 앞면 4칸 규모로 암반 위에 축대를 쌓고 건물을 올렸다. 앞쪽에 기둥을 세워 반칸 정도 툇간을 달아내어 누마루처럼 꾸몄으며 난간을 둘렀다.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5<선몽대 정자>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3<옆에서 본 모습>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4<정자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선몽대 숲은 뒤편 백송리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조성된 숲으로 소나무, 은행나무, 버드나무 등 다양한 나무들이 심어져 있다. 수해를 방지하는 수해방비림, 방풍림의 역할과 함께 풍수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구막이 숲과 비보림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8<백사장에서 올려다 보이는 선몽대와 선몽대 숲>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4<백사장 입구>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3<백사장 옆 울창한 소나무숲>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8<선몽대 표지석>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2<백사장에서 보이는 소나무숲>

내성천은 경북 봉화군 선달산(1,236m)에서 발원하여 영주시, 예천군을 지나 문경시에서 낙동강과 합류하는 지천이다. 백두대간 높은 봉우리에서 흘러내려 온 크고 작은 하천들이 내성천을 거쳐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낙동강 중류와 상류에 해당하는 곳으로 수량이 풍부하며 땅을 휘감아 도는 곡류가 많고 백사장도 상당히 넓은 편이다. 내성천 주변에는 봉화에서부터 양반들이 터를 잡고 살았던 부유한 전통마을이 많으며 경치가 빼어난 곳도 많다. 예천 선동대(명승)는 영주 무섬마을, 예천 회룡포(명승)와 함께 내성천을 대표하는 명승지이다.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6<선몽대 앞 내성천(하류방향)>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19<선몽대와 내성천(상류방향)>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7<내성천 백사장>

예천 선몽대 (명승) 20221130_09<내성천 백사장>

예천 선몽대 일원, 명승
선몽대(仙夢臺) 일원은 예천읍지에 수록된 약 450여년의 역사를 가진 유서깊은 곳으로, 한국의 전통적 산수미를 보여주는 내성천 유역의 대표적 경승지의 하나이다. 지형은 풍수상 평사낙안형(平沙落雁形)으로 내성천의 백사장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자아내고 있으며 이 곳에 위치하는 선몽대 숲은 역사적으로 유래가 깊은 숲으로 수해 방비림, 방풍림, 수구막이 숲 및 비보림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선몽대는 퇴계 이황의 종손이며 문하생인 우암 이열도(1538~1591) 공이 1563년 창건한 정자로서 “선몽대”의 대호 세글자는 퇴계 선생의 친필로 알려져 있으며, 정자 내에는 당대의 석학인 퇴계 이황, 약포 정탁, 서애 류성룡, 청음 김상헌, 한음 이덕형, 학봉 김성일 등의 친필시가 목판에 새겨져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는 곳으로 선인들의 유교적 전통공간으로서 역사적 의미가 큰 경승지이다.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있는 초간정 원림(草澗亭 園林, 명승)이다. 조선 중기 문신 초간 권문해가 처음 세운 정자와 주변 숲을 말한다. 용문산(770m)에서 발원하여 용문면 일대를 흐르는 금곡천이 암반 지역을 굽이쳐 흐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큰 암반 위에 세워진 정자와 정 아래에 형성된 좁은 계곡이 주변의 울창한 숲과 어우러져 빼어난 경치를 만들고 있다. 용문사로 가는 골짜기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낙향하여 정자를 세우고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지냈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곳이다.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9<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20<초간정을 휘감으면서 흐르는 금곡천과 주변숲>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8<초간정 주변 숲>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9<상류방향 개천을 건너는 다리>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7<다리를 건너면 보이는 초간정과 주변 숲>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1<초간정>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8<암반지형을 뚫고 흐른 하천>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6<초간정 아래 하천과 주변 숲>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6<초간정 입구>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4<초간정 건너편 숲>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2<하류 방향>

예천 초간정 원림, 명승
예천 초간정 원림은 용문면 원류마을 앞 계곡 가의 암반 위에 세워진 초간정과 주변의 자연이 하나로 어우러진 전통원림이다. 경치가 아름다운 한국의 자연유산으로 관광지 및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주목받고 있다. 초간정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초간 권문해가 벼슬에서 물러난 뒤 몸과 마음을 수양하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선조 15년 처음 세운 후 여러 차례 화재로 불탔다가 다시 지었다. 현재의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정자로, 영조 16년에 권문해의 현손인 권봉의가 원래 터에서 약간 서쪽으로 옮겨 지은 것을 고종 7년 후손들이 새로 고쳐지었다. 초간정이 세워진 바위를 위돌아 흐르는 계곡은 주변의 울창한 소나무 숲과 어우러져 시원한 운치를 자아낸다. 이곳의 풍경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아름답게 여겼던 옛 선조들의 무위자연사상을 보여준다.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초간정은 권문해가 처음 세운 이래 여러번의 화재를 거치면서 다시 지어졌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1739년) 후손 군봉의가 원래의 위치에서 약간 서쪽으로 옮겨 지은 것이다.  암반 위에 돌로 쌓은 축대 위에 건물을 올렸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왼쪽 2칸은 온돌방, 오른쪽은 1칸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다. 대청마루에 앉아 주변 경치를 감상하기에 좋은 구조이다. 옆에는 손님들을 위한 작은 살림집이 있다.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5<예천 초간정>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0<초간정 건물과 마당>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1<초간정>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2<바깥에서 본 모습>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7<정면에서 본 모습>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5<아래에서 본 모습>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04<아래에서 본 모습>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 20221130_13<초간정에 딸린 살림집>

예천 초간정
초간정(草澗亭)은 조선 선조 때 문신 초간 권문해(1534~1591)가 벼슬에서 물러난 뒤 심신의 수양을 위해 세운 정자이다. 권문해는 퇴계 이황의 제자로서 문과에 급제하여 대구부사, 좌부승지 등을 지냈고,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옥>을 지은 인물이다. 선조 15년(1582)에 처음 세워진 초간정은 1592년에 화재로 불탔으며 권문해의 아들 권별이 인조 4년(1626) 다시 지었으나, 인조 14년(1636)에 다시 불탔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영조 16년(1740)에 권문해의 현손인 권봉의가 원래의 터에서 약간 서쪽으로 옮겨 지은 것을 고종 7년(1870)에 후손들이 새로 고쳐지었다. ‘초간정사’라는 현판은 소고 박승임의 글로, 정자에 여러차례 화재가 나면서 잃어버렸다가 훗날 다시 발견하였는데, 정자 앞 늪에서 영롱한 빛이 보여 파보았더니 현판이 묻혀있었다는 전설이 있다. 정자는 암반 위에 돌로 쌓아 만든 축대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세워졌다. 정면의 왼쪽 2칸은 온돌방을 배치하였고, 나머지는 대청마루로 사면에 난간을 설치하였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 양식이다.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과 어우러진 초간정은 현재 관광지,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 주목받고 있다.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봉화 청량산(명승)

경북 봉화군 명호면 등에 있는 청량산(淸凉山, 명승)이다. 최고봉은 장인봉(해발 870m)이며, 800m 내외의 12개 암봉이 있다. 청량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암석들이 오랜세월 융기, 풍화, 차별침식 등을 거치면서 다양한 지형을 만들고 있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백두대간을 벗어난 4대 명산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고려 공민왕이 피난와서 머물렀던 흔적, 원효, 의상, 김생, 이황 등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장소 등이 많이 남아 있다. 청량산 중턱 경관이 빼어난 곳에 청량사(淸凉寺)가 자리잡고 있으며 멀지 않은 곳에 도산서원이 있다.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6<봉화 청량산(명승)>

청량산에는 전망이 좋은 10곳의 대(臺)와 8곳의 굴 등의 명소들이 있는데 그 중 청량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청량사가 쉽게 탐방할 수 있는 곳이다.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6<청량산 계곡>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5<청량사 입구>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7<일주문>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9<청량사 오르는 길>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8<울창한 숲>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0<청량사 오르는 길>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1<청량사 맞은편 봉우리둘>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2<숲 사이로 보이는 청량사 뒷편 연화봉>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4<청량사 들어가는 길>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5<청량사 입구에서 보이는 암석 봉우리들>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6<청량사 앞 봉우리>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18<청량사>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2<청량사에서 내려다 보이는 경치>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3<청량사 뒷편 연화봉>

봉화 청량산(명승) 20221029_04<근처 범바위고개에서 보이는 낙동강과 청량산 일대>

봉화 청량사, 명승
청량산은 해발 300m 내외의 12개의 바위 봉우리와 기암괴석이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다.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역암.사암.이암층이 융기, 풍화, 차별침식 등을 거치면서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경관이 아름답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청량산을 백두대간의 8개 명산 이외에 대간을 벗어난 4대 명산 중 하나로 보았다. 또한 퇴계 이황이 이곳의 경치를 사랑했다 하여 유교와 퇴계를 숭상하는 선비들이 즐겨 찾는 유교의 순례지이기도 했다. 청량산에는 고려 말 공민왕이 난리를 피하여 머물렀다고 하는 궁궐의 터와 원효.의상.김생.최치원 등과 관련된 장소 등이 남아 있으며, 경관이 아름답고 학술적.역사적 가치로 높아 한국의 대표적 명승지로 평가된다. (안내문, 경북 봉화군, 2022년)

  1. 안내문, 경북 봉화군,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위키백과, 2022년

봉화 닭실마을 석천계곡(명승)과 석천정

경북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있는 석천계곡(명승)과 석천정(石泉亭)이다. 석천계곡은 닭실마을 북쪽을 흐르는 동막천과 마을 앞을 흐르는 창평천이 마을 서쪽에서 합류하여 작은 협곡을 이루면서 흐르는 곳이다. 수량이 풍부하며 기암괴석이 있는 좁은 계곡으로 맑은 개울물이 흐로고 있어 조용하면서도 풍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이곳에는 권벌의 아들 권동보가 지은 정자 건물인 석천정이 있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4-20221028<봉화 닭실마을 석천계곡(명승)>

석천정은 닭실마을 종가인 청암정에서 8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봉화읍으로 연결되는 오솔길에 위치하고 있다. 조용하고 한적한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일반적 정자에 비해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다. 조선시대 청암정은 경치가 좋은 명소이자 봉화읍을 지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어 손남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닭실마을을 찾은 방문객들이 묵을 수 있도록 많은 건물들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1-20221028<봉화 닭실마을 석천정>

정자는 앞면3칸 옆면 2칸의 건물과 앞면 2칸반 건물이 연결된 형태이다. 정자 옆에는 작은 별채가 있으며 담장 바깥쪽에도 독립된 별채 건물이 있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3-20221028<석천정>

별채는 앞면 3칸 규모로 부엌과 온돌방이 있는 작은 건물로 손님들이 묵었던 곳으로 보인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2-20221028<작은 별채>

바깥에 있는 별채는 온돌방과 큰 마루가 있는 독립된 건물로 별도의 손님이 묵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7-20221028<바깥에 있는 별채>

석천계곡은 마을 앞을 흐르는 비교적 큰 하천인 창평천과 청암정 북쪽을 흐르는 동막천이 합류하여 작은 산을 휘감고 흐르고 있다. 수량은 비교적 풍부하고 계곡에는 바위가 많아 물이 상당히 맑아 보인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8-20221028<청암정 앞을 흐르는 동막천>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1-20221028<닭실마을 앞을 흐르는 창평천>

문수산을 분수령으로 남서류하는 창평천과 닭실마을 뒤에서 흘러 내리는 동막천이 유곡 앞에서 합류하여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이곳을 흘러 석천이라 한다. (안내문, 봉화군청, 2022년)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0-20221028<창평천을 따라 석천정으로 연결되는 길>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2-20221028<석천계곡 입구>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3-20221028<기암괴석 사이를 흐르는 개울물>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16-20221028<마을에서 흘러내려오는 석천계곡>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5-20221028<석천정 아래>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4-20221028<석천계곡과 석천정>

봉화 닭실마을 석천정과 석천계곡(명승) 07-20221028<봉화읍 내성천으로 흘러 내려가는 개울>

석천계곡은 맑은 물과 울창한 송림, 기암괴석들로 이루어져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척천정 정자가 있어 더욱 고아한 분위기를 주며 많은 인파가 찾고 있는 명소이다. 석천계곡과 가까운 거리에 권씨종가와 청암정 및 삼계서원, 충재유물전시관 등 조선시대 유교문화 유산이 산재해 있다.  (안내문, 봉화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봉화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영월 봉래산 별마로 천문대

강원도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별마로천문대이다. 영월읍의 주산이라 할 수 있는 봉래산(799.8m)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시민천문대로 지름 800mm 주망원경과 여러대의 보조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봉래산 정상까지 자동차를 이용해서 낮과 밤에도 방문할 수 있으며, 천문대 옆 봉래산 정상에서는 패러글라이딩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 별마로란 “별을 보는 고요한 정상”이라는 뜻이다.

영월 별마로 천문대 11-20220822<영월 별마로 천문대>

해발 800m 위치에 위치한 8m 규모의 원형돔 안에서 주망원경을 통해 성운, 성단, 은하 등 우주의 실제 모습을 자세히 관측할 수 있으며, 보조관측실에서 설치된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 등으로 행성, 운하, 성단 등을 관측할 수 있다.

영월 별마로 천문대 01-20220822<주망원경이 설치된 원형돔>

영월 별마로 천문대 10-20220822<천문대를 오르는 자동차도로>

영월 별마로 천문대 09-20220822<천문대가 있는 봉래산 정상>

봉래산(蓬萊山)은 영월읍 북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산으로 사방으로 보이는 경치가 빼어난 곳이다. 영월읍에서 자동차로 정상까지 30분 정도 소요된다. 정상에서는 패러글라이딩이 출발한다.

영월 별마로 천문대 04-20220822<천문대에서 정상으로 걸어서 오르는 길>

영월 별마로 천문대 18-20220822<봉래산 정상 표지석>

영월 별마로 천문대 17-20220822<영월읍과 동강>

영월 별마로 천문대 08-20220822<동쪽 태백 방향, 31번 국도가 보인다.>

영월 별마로 천문대 06-20220822<봉래산 동쪽을 휘감아 도는 동강>

영월 별마로 천문대 07-20220822<북쪽 평창과 영월 어라연 방향>

영월 별마로 천문대 14-20220822<동남쪽 정양산성이 있는 계축산 방향>

영월 별마로 천문대 03-20220822<표지석 앞 패러글라이딩 출발지>

영월 별마로 천문대 16-20220822<패러글라이딩을 즐기는 사람>

영월 별마로 천문대 15-20220822<영월읍을 향해가는 패러글라이딩>

<출처>

  1. 대한민국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022년
  2. 위키백과,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