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공원

담양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담양에서 순창으로 가는 24번 국도는 메타세콰이어가 가로수로 심어져 아름다운 숲길을 만들고 있다. 메타세쿼이어는 곧고 빨리 자라는 특징이 있어 70년대에 조성한 가로수 임에도 불구하고, 아주 오래된 고목처럼 느껴진다. 메타세콰이어가 가로수로 심어진 곳이 다른 곳에도 있기는 하지만 이 국도는 2차선 국도와 함께 가로수가 제대로 보전되어 담양군을 대표하는 볼거리로 자리잡았다. 울창한 메타세쿼이어 가로수 길을 지나가다 보면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거리를 달리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담양메타세콰이어는 담양 전역에 가로수로 심어져 있어 여러 곳에서 하늘로 솟아 오른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을 볼 수 있다. 그중 오층석탑이 있는 담양읍 객사리 부근에서 시작되는 옛 국도가 가장 울창하여 지금은 길을 막고 관광지를 조성해 놓고 있다. 이곳을 지나서 순창방향으로 자동차를 타고 계속 가다보면 비슷한 분위기의 울창한 가로수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자동차를 타고 가면서 가로수길을 즐길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담양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담양에서 순창으로 연결되는 24번 국도는 70년대 가로수로 메타세콰이어가 심어져 울창한 가로수가 숲을 이루고 있다. 그 중 담양읍 객사리 부근에 새로운 국도가 개설되면서 옛 국도는 담양을 대표하는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관광지로 바뀐 엣 국도의 가로수.

OLYMPUS DIGITAL CAMERA가로수길이 시작되는 객사리 오층석탑 부근.

OLYMPUS DIGITAL CAMERA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국도. 울창한 가로수가 계속 이어진다.

OLYMPUS DIGITAL CAMERA금성면 소재지 부근 메타세콰이어길.

OLYMPUS DIGITAL CAMERA영산을 건너는 다리.

OLYMPUS DIGITAL CAMERA다리를 지나면 다시 가로수길이 이어진다.

OLYMPUS DIGITAL CAMERA2004년 가을.

담양 죽녹원, 울창한 대나무숲으로 잘 알려진 공원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에 있는 죽녹원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이 조성한 많은 정자가 있는 곳은 아니지만, 대나무숲이 아름다운 공원으로 전국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담양을 찾았던 많은 사람들이 담양향교를 방문할 때 이 숲을 찾았던 것으로 보인다. 담양향교 강당에서는 담양읍치와 주변의 넓은 평야, 죽녹원 앞을 흐르는 영산강과 관방제림이의 경치가 한 눈에 들어온다. 또한 죽녹원으로 들어가 하늘을 찌를듯이 자라고 있는 대나무 숲 사이로 걷다보면 별천지를 걷는 기분이 드는 곳이다.

죽녹원은 담양향교 뒷산인 성인산 일대에 담양군에서 대나무 숲을 조성하여 2003년에 개원한 곳으로 메타세콰이어 숲과 함께 담양군을 대표하는 명소로 발전하였다. 죽녹원에는 ‘운수대통길’, ‘철학자의 길’ 등 대나무숲 사이로 조성한 ‘죽녹원 8길’을 비롯하여 영산강과 관방제림, 담양읍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 대나무숲 사이에 조성한 한옥과 휴게소 등 다양한 휴식시설을 설치해 놓고 있다. 울창한 대나무숲은 드라마 ‘의적 일지매’, 영화 ‘알포인트’ 등의 촬영지로 유명하며, TV예능프로램 ‘무한도전’, ’1박2일’ 등에서도 이곳을 찾았다. 죽녹원에서는 메타세콰이어길, 관방제림, 담양향교 등이 가까이 있어 담양을 압축적으로 즐길 수 있는 명소라 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담양 죽녹원. 담양읍 북쪽 영산강과 관방제림이 내려다 보이는 성인산 일대에 조성한 대나무숲이다. 최근에 조성한 곳이지만 TV드라마나 예능에 등장하면서 담양을 대표하는 대나무숲의 명소로 자리잡았다.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입구 첫번째 기념촬영 포인트. 울창한 대나무숲을 배경으로 작은 광장을 설치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첫번째길인 운수대통길, 대나무로 이름난 담양에는 예로부터 대나무에 뚫린 구멍에 동전을 던져 들어가면 그날 운수가 좋다는 설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대나무가 빽빽히 들어선 숲.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을 대표하는 장면 중 하나이다. 하늘을 덮고 있는 울창한 대나무숲.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휴게소 앞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휴게소.

OLYMPUS DIGITAL CAMERA대나무 숲길.

OLYMPUS DIGITAL CAMERA‘알포인트’ 영화촬영지, 알포인트 영화 주연배우 감우성이 썼던 철모로 영화촬영 후 담양군에 기증한 것이라 한다. 베트남전을 소재로 한 영화인것 같은데 대나무숲이 베트남 분위기를 주고 있는 듯 하다.

OLYMPUS DIGITAL CAMERA촬영지 주변 대나무숲.

OLYMPUS DIGITAL CAMERA담양향교 부근 ‘철학자의 길’로 이어지는 대나무 숲길.

OLYMPUS DIGITAL CAMERA최근의 지은 것으로 보이는 휴게소 역할을 하는 작은 한옥.

OLYMPUS DIGITAL CAMERA동쪽편 ‘사랑이 변치않는 길’, 죽녹원을 찾아온 연인들이 이곳 사랑이 변치 않은 길을 거닐며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고 서로가 평생을 같이하는 확약의 길이라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노무현 전대통령이 담양을 방문했을 때 걸었던 길.

OLYMPUS DIGITAL CAMERA안내표지판과 옛 사진.

OLYMPUS DIGITAL CAMERASBS드라마 ‘의적일지매’ 촬영 장소.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뒷편 작은 샛길.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입구에서 첫번째 휴게소로 연결되는 샛길로 ‘죽마고우길’이라 부른다. 죽마고우길은 죽마지우와 같은 뜻으로 죽마를 타던 옛 친구라는 뜻이다. 이 길을 어린시절 옛 친구와 거닐며 정감어린 추억을 되살리는 길이라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입구의 기념촬영 장소. 대나무 죽순을 먹고사는 팬더곰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죽녹원 전망대. 영산강과 관방제림, 담양읍 경치가 한눈에 들어오는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전망대에서 내려다 보이는 관방제림과 영산강.

OLYMPUS DIGITAL CAMERA영산강에서 보이는 죽녹원.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세계박람회가 열렸던 곳

대전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는 과학테마파크인 엑스포과학공원이다. 이곳은 1993년 세계박람회(EXPO) 행사가 열렸던 장소로, 행사가 끝난 뒤 과학테마공원으로 재개장하여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대전의 랜드마크가 된 높이 93m의 한빛탑을 중심으로 테크노피아관, 우주탐험관, 에너지관 등 많은 전시관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폐쇄되고, 지금은 한빛탑과 대전엑스포기념관 등 일부만 운영하고 있다. 박람회 때 세워졌던 많은 전시관을 활용하여 과학교육과 휴식공간으로 사용하고자 했으나 사실상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과학테마파크로서의 기능은 거의 없어졌지만 넓은 부지와 대전을 가로지는 갑천 수변공원, 둔산 수목원과 연결되어 있어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아 있는 건물들은 철거되고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93년 세계박람회를 개최하면서 건설된 엑스포과학공원. 중앙에 위치한 한빛탑이 대전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엑스포과학공원 현황.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안에 있는 5곳 정도의 시설만이 지금도 운영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박람회 마스코트.

OLYMPUS DIGITAL CAMERA엑스포과학공원 입구. 겨울이기는 하지만 찾는 사람이 거의 없는 텅빈 공원의 모습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공원입구 광장.

OLYMPUS DIGITAL CAMERA공원 입구에 위치한 전시관 건물.

OLYMPUS DIGITAL CAMERA전시관 앞에는 사용하는 사람도 없는 낡은 놀이시설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전기에너지관 입구.

OLYMPUS DIGITAL CAMERA바깥에서 본 전기에너지관. 상당히 큰 규모의 전시공간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전 엑스포 당시 건설되었던 많은 전시관들은 운영되지 않고 철거가 진행중이다. 안내그림에 따르면 과학.기술관련 시설이 새로 들어서는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엑스포과학공원 반대편에는 아파트 등이 들어서 있으며, 앞쪽에는 대전무역전시관이 자리잡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전무역전시관.

OLYMPUS DIGITAL CAMERA대전무역전시관 주변으로 고층아파트들이 들어서 있다.

엑스포다리, 견우와 직녀다리
『대전엑스포 ’93』 당시 설치된 엑스포다리는 둔산대근린공원(한밭수목원)과 엑스포과학공원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견우직녀다리』라고 별칭하게 되었으며, 2009년에 음악분수와 경관조명을 설치하여 대전을 대표하는 다리로 거듭나게 되었다. 『견우직녀다리』는 다리에 걸쳐있는 아름다운 두개의 아치가 마치 음과 양으로 상징되는 한쌍의 선남선녀로 매년 갑천에서 열리는 견우직녀 축제와도 일맥상통하며, 갑천 은하수에 놓인 『견우직녀다리에서 사랑을 고백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출처: 대전시청>

OLYMPUS DIGITAL CAMERA대전엑스포과학공원과 대전 정부청사가 있는 둔산지역을 연결하는 다리. 이곳에서는 ‘견우직녀다리’라고 부른다.

OLYMPUS DIGITAL CAMERA다리에서 본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랜드마크인 한빛탑과 다리가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다리는 둔산지역 중심지에 위치한 한밭수목원과 연결된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전 도심 북쪽을 흐르는 금강 지류인 갑천(하류방향). 주변에 넓은 들판이 형성되어 있어 선사시대 이래로 사람들이 거주해 왔던 지역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갑천 상류방향(서쪽).

OLYMPUS DIGITAL CAMERA갑천 수변공원.

OLYMPUS DIGITAL CAMERA갑천을 건너는 다리. 두개의 아치 너머로 한빛탑이 보인다.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춘천 공지천유원지, 춘천MBC가 있는 언덕

호반의 도시 춘천시에 있는 공지천유원지(현재는 ‘황금비늘테마거리’라 부른다.)이다. 홍천군에 있는 대룡산에서 발원하여 춘천 도심을 지나 의암호로 흘러 들어가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관광객보다는 춘천시민들이 많이 찾는 휴식공간의 성격을 갖고 있는 곳이다. 공지천 주변에는 조각공원, 보트장, 에티오피아 참전기념관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의암호의 아름다운 경치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춘천MBC, 춘천지구 전적기념관, 어린이회관(현 KT&G상상마당) 등이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춘천 의암호를 일주하는 자전거도로가 개설되어 있어 산책하면서 호반의 도시 춘천의 빼어난 경치들을 감상하기에 좋다.

OLYMPUS DIGITAL CAMERA춘천 시만들이 많이 찾는 도심공원인 공지천유원지 중 의암호 경치가 아름다운 춘천MBC 앞 광장.

OLYMPUS DIGITAL CAMERA광장에서 의암호와 춘천시가지 경치를 내려다 볼 수 있는 명소.

OLYMPUS DIGITAL CAMERA이곳에서 내려다 본 춘천시가지. 의암호 동쪽편 봉의산(해발 300.4m)를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평지에 춘천 도심이 형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물놀이보트장, 조각공원, 에티오피아 참전기념관 등이 들어서 있는 공지천유원지 부근.

OLYMPUS DIGITAL CAMERA의암댐은 건설로 생긴 의암호. 유원지로 유명한 중도를 비롯하여 작은 크고 작은 섬들이 호수에 생겼다.

OLYMPUS DIGITAL CAMERA의암호수의 아름다운 경치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춘천MBC.

OLYMPUS DIGITAL CAMERA춘천을 대표하는 상징물들이 세워져 있다. 소양강처녀와 TV드라마 ‘겨울연가’가 춘천을 대표하는 이미지인 모양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최근에 춘천 의암호수를 일주하는 자전거길이 만들어지면서 춘천MBC가 있는 언덕을 따라서 좋은 산책로가 생겼다.

OLYMPUS DIGITAL CAMERA산책로 중간에 의암호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의암호 자전거길.

OLYMPUS DIGITAL CAMERA자전거 데크길이 생기기전 원래 있던 산책길.

OLYMPUS DIGITAL CAMERA춘천MBC가 있는 언덕을 넘어가면 시민들의 휴식공간인 어린이회관(현 KT&G상상마당)을 볼 수 있다. 이 건물은 건축가 김수근이 1980년대에서 설계한 건축물로 그의 작품 중에서도 걸작에 속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춘천 어린이회관 앞 잔디마당.

OLYMPUS DIGITAL CAMERA춘천 어린이회관에서 내려다 본 의암호.

OLYMPUS DIGITAL CAMERA어린이회관 앞에서 보이는 중도선착장. 중도유원지로 들어가는 배를 탈 수 있는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어린이회관을 지나면 보이는 강원국악예술회관

 

<참고문헌>
1. 대한민국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 두산백과, 3.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단양 온달관광지 드라마세트장

단양군 영춘면 온달산성을 오르는 입구에 있는 온달관광지 드라마세트장이다. 예전에 인기를 끌었던 TV드라마 ‘태왕사신기’를 촬영하기 위해 궁궐과 도심풍경으르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궁궐이 이 곳에 있다. 세트장은 궁궐 건물과 도심 풍경, 그리고 성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구려 왕성와 궁궐을 재현한 것 같은데 북경 자금성을 축소해 놓은 것처럼 보인다. 성벽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벽돌로 쌓은 전성을 사용하고 있다. 고구려 왕성을 표현한다는 것이 명.청시대 중국 궁궐과 거리풍경을 재현해 놓고 있다. 물론 발굴조사된 평양의 고구려 왕궁은 북경 자금성과 비슷한 형태이기는 하다.

SANYO DIGITAL CAMERA온달산성 오르는 길에 보이는 드라마세트장. TV드라마 ‘태왕사신기’ 촬영을 위해 조성한 세트장으로 고구려 왕궁과 왕성을 표현하고 있다. 왕궁은 북경 자금성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왕성의 성벽. 명.청시대 중국 읍성이나 왕성의 형태를 재현하고 있는데 실제와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드라마세트장 입구의 기념 조형물.

SANYO DIGITAL CAMERA왕성성문. 삼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명.청시대 중국의 성문에 한국의 문루를 사용하고 있는 등 실제와는 많이 다르게 만들었다.

SANYO DIGITAL CAMERA실제보다 크고 과장되게 만든 망루

SANYO DIGITAL CAMERA중국 자금성이나 읍성에서 볼 수 있는 해자. 실제보다 아주 작게 만들었다.

SANYO DIGITAL CAMERA읍성 성벽과 궁궐건물들이 섞여 있다.

SANYO DIGITAL CAMERA궁궐로 들어가는 길과 궁궐 정문.

SANYO DIGITAL CAMERA궁궐 월대에서 내려다 본 궁궐마당.

SANYO DIGITAL CAMERA다양한 건물들을 배치한 거리풍경. 중국 읍성에서 주로 볼 수 있는 2층건물들이 많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중국 거리에서 볼 수 있는 2층 건물.

SANYO DIGITAL CAMERA또 다른 중국풍 건물

SANYO DIGITAL CAMERA조선시대 한옥같은 건물

SANYO DIGITAL CAMERA드라마에 사용되었던 수레

SANYO DIGITAL CAMERA온달산성 입구. 중국 풍 패루에 한옥 지붕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형태의 출입문이다.

SANYO DIGITAL CAMERA마을 풍경.

SANYO DIGITAL CAMERA온달장군의 전설이 남아 있는 온달산성. 남한강 주변 경치가 한눈에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