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도자공예

백자 달항아리(국보), 2007-2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달항아리’(국보)이다. 조선후기 왕실의 도자기를 공급하던 관요인 사옹원 분원 백자제작소에서 만든 것이다. 높이 43.9 cm, 몸통지름 44cm 대형 백자 항아리로 유약과 태토의 상태가 우수하고, 입지름과 바닥지름이 비례가 안정감을 주고 있다. 약간 비틀어지고 변형된 상태이지만 전체적인 조형미에 생동감을 주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백자 달항아리(백자대호, 국보)>

SANYO DIGITAL CAMERA<옆에서 본 모습>

<출처>

  1. 안내문, 고궁박물관, 2010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국보)

서울 성북구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국보)이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고려청자 중 하나이다. 어미 원숭이가 아기 원숭이를 안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작품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형태이다. 원숭이 모자의 모습을 재미있게 묘사하고 있는데, 어미 원숭이 위에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 원숭이 위에 물을 따라내는 구멍이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12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원숭이모양 연적, 국보, 고려 12세기)>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국보)

고려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국보)이다. 왕실에서 태를 담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내항아리와 외항아리로 구성되어 있다. 외항아리는 풍만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卍자무늬, 연꽃무늬, 국화무늬로 장식하고 있다. 내항아리는 홀쭉한데 뚜껑에는 육각형 무늬가, 몸통에는 국화무늬가 있다. 1970년 고려대학교 구내에서 공사를 하는 중에 발견되었다.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OLYMPUS DIGITAL CAMERA<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외항아리, 조선 15세기, 국보>

OLYMPUS DIGITAL CAMERA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내항아리, 조선 15세기, 국보>

<출처>

  1. 안내문, 고려대학교 박물관, 2010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국보)

강화도 국화리에서 발견된 청자 퇴화점문나한좌상(국보)이다. 나한이 책상 앞에 앉아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얼굴은 눈썹과 눈이 수려하고 코는 오똑하다. 옷의 주름에 백토를 사용하여 점을 찍어 퇴화점문 나한좌상이라 부른다. 사람의 모습을 표현한 상형청자로 고려청자 중 걸작으로 손꼽힌다.

OLYMPUS DIGITAL CAMERA
<나한상, 고려 12세기, 국보>

고려는 불교는 국교로 삼았기 때문에 불교와 관련된 여러 용구와 경배의 대상을 청자로 만들기도 하였다. 강진 사당리, 부안 유천리, 용인 보정리 가마터 등에서 보살상을 청자로 제작한 예를 확인할 수 있는데, 당시 사람들이 향유했던 도자문화의 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알 수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 거북모양 주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이다. 청자로 만들어진 이 주전자는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연꽃위에 앉아 있는 거북 형상을 하고 있는데 물을 넣는 수구(水口), 물을 따르는 부리, 몸통,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받침돌에 사용되었던 거북과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다. 얼굴은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뿔과 수염, 비늘 등을 정교하게 새겨놓고 있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은은한 윤기가 흐른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상형청자 중에서도 조형미와 조각수법이 뛰어난 작품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

OLYMPUS DIGITAL CAMERA<뒤에서 본 모습>

<출처>

  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