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중국

중국 둔황(敦煌), 서역으로 출발하는 실크로드 도시

중국 간쑤성(甘肃省) 둔황(敦煌)은 간쑤성, 청해성(青海省), 신장 위구르자치구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는 인구 19만의 지방소도시이다. 고대 실크로드에서 중국 밖(外地)으로 떠나는 출발지이자, 시안(長安)에서 옥문관까지 이어지는 길이 900 km 하서주랑(河西走廊) 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기원전 111년 한무제가 실크로드를 개척하면서 둔황현(敦煌縣)을 설치하였으며 명나라 때 해상교역로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실크로드 관문도시로서 물자와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다. 지금은 철도를 비롯한 주요 교통로에서 소외되어 있으며 농업과 관광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주요 유적으로 실크로드 서역북도 출발점인 옥문관, 서역남도 출발점인 양관, 천불동이라 불리는 막고굴 등이 있으며, 중앙아시아 사막 풍경을 대표하는 명사산과 월아천, 아단지질공원 등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실크로드를 대표하는 풍경인 명사산과 월아천>

둔황공황은 도심에서 동쪽으로 12.7 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란저우, 우루무치, 시안, 베이징 등과 연결되는 항공편이 있다. 둔황 공항 앞에 기차역이 있으며 시안에서 둔황까지는 10시간 이상 소요된다. 막고굴이 남쪽 15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버스로 직접 연결된다.

SANYO DIGITAL CAMERA<둔황 공항>

막고굴(莫高窟, Mogao Cave)은 명사산 동쪽 남북으로 약 1.6 km 걸쳐 약 600 여개의 석굴사원을 말한다. 오호십육국 때 처음 조성되기 시작되어으며 원대(元代)까지 약 1,000에 걸쳐 조성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은 5세기 북양 때 조성된 것이며 북위 때 조성된 굴에는 서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북주(北周)와 수당(隋唐) 조성된 굴에서는 중국적인 모습을 많이 보인다. 19세기 말 장경동에서 많은 고문서들이 발견되면서 서구에 그 존재가 알려졌으며, 혜초의 『왕오천축국전』도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SANYO DIGITAL CAMERA<막고굴이 있는 명사산 동쪽 언덕>

SANYO DIGITAL CAMERA<둔황 막고굴>

SANYO DIGITAL CAMERA<막고굴 96호굴인 북대불전>

명사산은 감숙성 둔황시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모래언덕으로 모래들이 바람에 날리는 소리가 울림소리처럼 들린다고 하여 명사산(鳴沙山)이라 부르며 그 아래 샘이 솟는 작은 오아시스인 월아천이 사막의 극적인 풍경을 잘 표현하고 있어 예로부터 둔황을 대표하는 명소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명사산과 월아천은 낙타를 타고 실크로드를 출발하는 장면으로 많이 등장하는 곳이다.

SANYO DIGITAL CAMERA<명사산 모래언덕>

OLYMPUS DIGITAL CAMERA<월아천과 월아산장>

둔황의 전통시장인 사주시장(沙州夜市)에서는 실크로드의 전통 음식과 이곳에서 거래되었던 물품들과 지역민들이 사용하는 생활용품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시장에서는 물품이 활발히 거래되는 옛날의 영화는 찾아보기 힘들고, 중소도시 전통 재래시장의 모습을 접할 수 있다. 신장의 중심도시인 우루무치에서 옛 실크로드의 모습이 재현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둔황 사주시장>

SANYO DIGITAL CAMERA<생필품이 거래되는 모습>

사주시장에서는 다양한 먹거리와 이를 즐기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에서 시장의 활기찬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시장 광장 한편에 설치된 벤치에서 다양한 음식들을 즐길 수 있다. 이곳은 음식을 만드는 사람과 주문을 받는 사람이 다르며 음식 주문을 받으면 서비스를 하는 사람이 여러 곳에서 음식을 가져다 주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사주시장 중심부 광장>

SANYO DIGITAL CAMERA<광장에 설치된 테이블과 의자>

SANYO DIGITAL CAMERA<실크로드의 특성을 보여주는 낙타고기 요리>

SANYO DIGITAL CAMERA<도심에 위치한 호텔>

실크로드(緋緞路)는 근대 이전 중국과 서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를 말하며 좁게는 고대 북방민족이 중앙아시아 오아시스를 연결하는 오아시스길을 말한다. 둔황은 실크로드 타클라마칸 사막 남북쪽에 만들어진 서역남로와 북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이곳에서 중국 바깥으로 나간다고 여겨졌다. 둔황에는 한대 만리장성 서쪽 끝 2개의 관문인 양관(陽關)과 옥문관(玉門關)이 있다. 양관(陽關)은 서역남로를 출발하는 관문으로 타클라마칸사막 남쪽길을 통해 호탄, 카슈카르 등을 거쳐 서역으로 연결된다. 옥문관(玉門關)은 서역북로를 출발하는 관문으로 누란, 투루판, 쿠울러 등을 거쳐 서역으로 연결된다.

SANYO DIGITAL CAMERA<옥문관 부근 한대 만리장성>

옥문관(玉門關)은 한 무제 때 흉노를 공략하기 위해 하서사군(河西四郡)을 설치하면서 옥(玉)을 수입하던 통로라 하여 옥문관이라 불렀다. 옥문관은 설치된 이래 여러 차례 위치를 옮겼으며 당대(唐代)까지 서역과 연결되는 중요 교통로로 번창하였다. 둔황 북서쪽 90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옥문관 유적은 1907년 영국 탐험가가 소방반성(小方盤城)을 조사하다가 옥문도위(玉門都尉)라 적힌 목간을 발견하면서 그 위치가 확인되었다. 현재의 유적은 당나라 때 건설된 것이다.

SANYO DIGITAL CAMERA<옥문관 관성>

SANYO DIGITAL CAMERA<한대 만리장성 성벽>

SANYO DIGITAL CAMERA<옥문관 주변 봉수대>

아단국가지질공원(敦煌雅丹国家地質公園)은 옥문관에서 25 km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옥문관을 나서 사막길에 볼 수 있었던 이채로운 풍경은 많은 전설을 만들어 냈던 것으로 보인다. 옥문관에서 사막을 가로질러 물이 흘렀던 강을 따라서 도로가 개설되어 있는데 주변에 다양한 모습의 바위들을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둔황국가지질공원 전경>

SANYO DIGITAL CAMERA<기암괴석>

양관(陽關)은 서역 남도(南道)로 나가는 관문으로 당대(唐代) 인도를 방문했던 현장법사가 양관을 통해 중국으로 돌아왔다. 양관 일대는 소륵하(疏勒河, Shule River) 주변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크게 번창했는데 송대(宋代) 이후 실크로드와 함께 쇠퇴하였다. 당시 쌓았던 성벽은 남아 있지 않으며 언덕에 봉수대터만 볼 수 있다. 지금은 양관박물관이 세워져 실크로드 관련 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한대 만리장성 관문을 재현해 놓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양관 부근 봉수대>

양관박물관에는 엣 양관의 모습을 재현해 놓고 있다. 벽돌로 쌓은 명청대 성벽에 비해 성벽이 높지 않으며 내부도 넓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양관 성문, 성벽, 치성, 공성과 방어무기 등을 재현해 놓고 있다.  옥문관 주변 있는 한대 장성의 원래 모습을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양관박물관>

양관은 둔황 도심에서 남서쪽으로 75 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양관 일대는 남쪽 높은 산악 지역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이는 곳으로 여러 곳의 오아시스가 있고, 그 주변에 농경지와 촌락이 형성되어 있다.

SANYO DIGITAL CAMERA<양관 성벽 안쪽에 있는 오래된 오아시스, 황수 파수고(黄水坝水库)라 한다.>

SANYO DIGITAL CAMERA<사막과 풍부한 수량의 저수지>

SANYO DIGITAL CAMERA<저수지 뒷편으로 보이는 양관 봉수대 유적지>

SANYO DIGITAL CAMERA<큰 규모의 저수지>

SANYO DIGITAL CAMERA<저수지 제방>

SANYO DIGITAL CAMERA<제방 아래 수로 입구>

SANYO DIGITAL CAMERA<풍부한 수량의 마을 수로>

마을은 사막지역에 방풍림으로 많이 이용되는 포플러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가운데에 농작물이 심어져 있다.  이 곳의 농작물을 주로 포도를 많이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 건포도를 만들어서 내륙으로 보내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제 발전에 따라서 수요가 늘어서인지 경작지는 계속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최근에 심은 어린 포도나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방풍림이 울창한 마을 가로수>

SANYO DIGITAL CAMERA<마을 주택가>

SANYO DIGITAL CAMERA <포도 농장>

SANYO DIGITAL CAMERA<포노 농장 식당>

SANYO DIGITAL CAMERA<사막에서 볼 수 있는 포도 건조장>

<출처>

  1. 위키백과, 2021년
  2. 실크로드 문명기행, 정수일, 한겨레출판, 2006년
  3. 실크로드사전, 편저 정수일, 창비, 2013년
  4. 百度百科, 2021년

 

중국 투루판(吐鲁番), 실크로드를 대표하는 도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투루판시(吐鲁番市)이다. 타틀라마칸 사막과 천산산맥 사이에 있는  투루판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동서교역로였던 실크로도 북도에서 가장 큰 도시였으며, 북쪽 만년설이 쌓여 있는 천산산맥 흐르는 풍부한 수량에 의존해 살고 있다. 전한(前漢) 이후 차사전국(車師前國)이 자호허고성(交河故城)에, 당대에는 고창국(高昌國)이 가오창고성에 자리 잡았다. 당대 이후에는 위구르족이 터를 잡고 살아오고 있다. 투루판분지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여름에는 매우 더운 건조지역으로 카레즈(Karez)라는 관개시스템을 이용하여 포도를 비롯한 과일을 풍부하게 생산하고 있다. 인구는 약 60만명으로 주요 민족으로 위구르족(70%), 한족(23%), 후이족(6%) 등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 화염산>

투루판은 우루무치와는 187 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투루판 분지 서쪽 자오허고성(交河故城) 부근에 도심이 자리잡고 있으며, 베제클리크 계곡 입구 가오창고성(高昌古城) 부근에도 구도심이 형성되어 있다. 도심은 다른 도시에 비해서 도로가 넓고 거리도 상당히 깨끗하다. 철도가 도심을 지나가지 않고 인구가 많이 살고 있지 않아 도심 거리를 지나가는 사람과 자동차도 많지 않은 편이다.

SANYO DIGITAL CAMERA<도심 대로>

투루판은 카레즈라는 관개시스템을 통해 천산산맥에서 지하수로를 통해 물을 충분히 공급받고 있다. 도심에는 많은 가로수들이 심어져 있고, 농경 주변이나 마을 근처에는 크고 작은 나무들이 심어져 있다. 경제 발전에 따라 중국내 과일 수요가 많아서 그런지 사람들은 경제적으로는 비교적 풍부해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 관개시스템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도심 호수공원>

SANYO DIGITAL CAMERA<가로수가 울창한 도로>

SANYO DIGITAL CAMERA<도심 거리>

SANYO DIGITAL CAMERA<호수공원을 즐기는 시민들>

투루판은 천산산맥 관개수로에 의존한 오아시스 농업과 실크로드 교통요지로 역사 이래 번창했던 도시였다. 기원전 1세경 한(漢) 왕조에 정복되기 전에는 차사전국(車師前國)이 자오허고성을 중심으로 번창했다. 이후 한족과 소그드족이 투루판에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여러 왕조가 이 지역을 지배했으며 5세기까지 자오허고성이 지역의 중심지였다. 카라호자라 불리는 고창(高昌)은 투루판분지 중심부 가오창고성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고창국은 5호16국시대 북량의 패잔병들이 자리를 잡았으며 여러 왕조가 바뀌면 651년 당나라에 멸망하기까지 실크로드에 불교의 전파 등 동서교류에 큰 역할을 했다. 가오창고성, 이스타나고분군, 베제클리크 석굴, 토욕구 석굴 등 이 대표적인 고창국 유적이다. 당나라는 투루판에 안서도호부를 설치했다. 803년 위구르인이 투루판을 점령하면서 위구르족이 대량으로 이주해 왔으며 이후 위구르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자오허고성(交河故城)>

SANYO DIGITAL CAMERA<가오창고성(高昌古城)>

SANYO DIGITAL CAMERA<아스타나 고분군(阿斯塔那古墓)>

불교는 실크로드 천산북로를 따라 4~5세경 중국 북위에 전파되었으며 투루판지역도 불교가 크게 번성하였다. 고창국은 당나라 현장법사가 불경을 구하려 인도를 여행할 때 융숭한 대접을 받았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가오창고성과 자오허고성에 남아 있는 절터는 실크로드 도시에서 불교사원의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 투루판분지 입구에 있는 석굴사원 단지인 토유크천불동과 베제클리크천불동이 당시 번성했던 불교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자오허고성 대불사 절터>

SANYO DIGITAL CAMERA<가오창고성 대불사 절터>

SANYO DIGITAL CAMERA<토유크석굴 사원(吐峪沟石窟)>

SANYO DIGITAL CAMERA<베제클리크 석굴(柏孜克里千佛洞)>

위구르인(Uygurla)은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민족으로 신장 위구르자치구에 주로 고 있다. 투루판 주민의 75% 정도가 위구르인이다. 866년 위구르족은 투루판지역을 장악하고 가오창고성에 위구르왕국을 세웠다. 원(元), 명(明) 시기 중국과 갈등 관계였으며 1755년 청나라에 속하게 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위구르인은 원래 마니교인이었는데 불교로 개종했으며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15세기 이후 이슬람 사회가 되었다. 이슬람 관련 유적으로 토요크 마가촌에 1,300년 전 이슬람을 전파한 현자들의 무덤인 <오카피 마자(霍加木麻扎)>와 이슬람 사원이 소공탑 등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오카피 마자(霍加木麻扎)>

SANYO DIGITAL CAMERA<소공탑>

SANYO DIGITAL CAMERA<토유크 마가촌>

투루판 분지는 평균 고도가 해수면 보다 낮으며 중동의 사해(死海) 다음으로 수면이 낮은 아이딩호가 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분지이다. 여름에는 일평균 40˚C 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많으며, 그늘에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땀이 비가 오듯 흘러내린다고 한다. 투루판 명소 중 한곳인 화염산은 붉은 사암으로 이루어져 햇빛을 받으면 마치 불길이 치솟는 모양이다. 소설 서유기에는 손오공이 천상세계에서 화로를 땅으로 던져 투푸판 분지가 만들어 졌고, 화로의 열기로 불타오르는 화염산이 생겼으며 파초선으로 불을 껐다고 표현되어 있다. 이곳의 더위는 여행객이나 주민들에게 모두 상당히 인상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풀한포기 찾아 볼 수 없는 투루판 분지 북쪽에 있는 화염산>

SANYO DIGITAL CAMERA<화염산 골짜기 바위언덕>

천산산맥 남쪽 실크로드에서 투루판 분지로 이어지는 길과 큰 강은 크게 동쪽 신산현(鄯善县)으로 연결되는 계곡, 토욕구 석굴이 있는 계곡, 베제클리크 석굴이 있는 계곡과 우루무치로 연결되는 길이 있다. 오랜 세월 분지로 들어오는 입구에 도시가 번성했다.

SANYO DIGITAL CAMERA<우루무치에서 투루판 분지로 이어지는 계곡>

SANYO DIGITAL CAMERA< 베제클리크 석굴사원이 있는 계곡>

SANYO DIGITAL CAMERA<베제클리크 석굴사원과 천산산맥 남쪽으로 이어지는 계곡>

SANYO DIGITAL CAMERA<토욕구 계곡에서 내려다 보이는 투루판분지>

투루판 분지는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 끝 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물이 거의 없어 죽음의 사막으로 알려졌으며, 이 사막을 건넌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로 간주되었다.  고대 실크로드는 타클라마칸 사막을 횡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막 남쪽 쿤룬 산맥을 따라서 인도로 향하는 남도와 북쪽 천산산맥을 따라 가는 북도가 있었다.

SANYO DIGITAL CAMERA<타클라마칸 사막>

도심에서 동쪽으로 60 km 정도 떨어진 농촌 지역으로 가면 거대한 모래산을 볼 수 는데 타클라마칸 사막을 대표하는 풍경 중 하나이다. 모래사구 앞쪽에는 언제 물이 흘렀는지는 알 수 없지만, 큰 강물이 흘렀던 흔적을 볼 수 있다. 이 곳 사람들은 신경통에 좋다고 해서 파라솔을 세워 놓고 모래찜질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거 한다.

SANYO DIGITAL CAMERA<타클라마칸 사막 모래사구>

SANYO DIGITAL CAMERA<사막에 물이 흘렀던 흔적>

SANYO DIGITAL CAMERA<모래찜질을 하기 위해 사막을 찾는 현지 주민들>

투루판 분지에서 유전이 발견되어 석유 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천산산맥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강풍이 풍력발전이라는 새로운 에너지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시추한 원유를 저장하는 시설. 저장탱크는 크지 않은 편이다. 투루판 지역은 천연가스도 많이 생산되는 것으로 보이며 많은 자동차들이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분지 사막에서 볼 수 있는 석유시추공>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 석유회사에서 운영하는 도심 호텔>

투루판에서 우루무치로 연결되는 고속도로에서는 끝없이 펼쳐진 풍력발전소 풍차들을 볼 수 있다. 투루판은 바람이 많은 지역으로 북쪽 천산 산맥에서 투루판 분지로 바람이 분다.

SANYO DIGITAL CAMERA<우루무치 가는 길에 볼 수 있는 끝없이 이어지는 바람개비>

SANYO DIGITAL CAMERA<풍력발전소 바람개비>

투루판 사람들은 북쪽 천산산맥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끌어 들여 경작을 하고 있다. 옛날에는 비교적 풍부한 수량의 강물이 흘렀으며 사람이 정착해 살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점차 강의 수량이 줄어들면서 사람들은 인공적으로 관개수로를 만들었는데 이를 카레즈라고 부른다. 카레즈는 운하처럼 수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물의 증발을 막기 위해 지하 수m~수십m에 터널을 파서 관개수로를 만드는 것으로 전체가 5천 km에 이른다고 한다.

SANYO DIGITAL CAMERA<자오허고성 주위를 흐르는 강물>

SANYO DIGITAL CAMERA<카레지 지하수로>

SANYO DIGITAL CAMERA<지하수로에 연결된 우물>

투르판은 지열이 높고 일조량이 많으며 과일이 풍부하게 산출되며, 당도도 높다. 카레즈라 불리는 관개시스템 덕분에 수량도 비교적 풍부하여 농업이 발달한 편이다. 투루판을 대표하는 작물로는 포도, 하미과 등이 있으며 면화와 채소류의 재배도 활발한 편이다.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에서 재배되는 포도>

SANYO DIGITAL CAMERA<사막에서 볼 수 있는 포도건조장>

SANYO DIGITAL CAMERA<시장에서 볼 수 있는 수박과 하미과(노란색)>

투루판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생활이 약간 윤택하고 여유로운 느낌을 주고 있었으며, 시골마을 곳곳에 작은 시장고 가게를 많이 볼 수 있다. 장터에서는 이슬람식 절차에 따라 잡은 양고기를 팔고 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위구르인들은 양고기와 토마토를 비롯한 채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요리를 만든다.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 시골길>

SANYO DIGITAL CAMERA<시골마을 장터>

SANYO DIGITAL CAMERA<장터에서 거래되고 있는 양고기>

SANYO DIGITAL CAMERA<시골 작은 상점>

<출처>

  1. 위키백과, 2021년
  2. 百度百科, 2021년
  3. 실크로드문명기행, 정수일, 한겨레출판사, 2006년

 

중국 우루무치(乌鲁木齐),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인 우루무치(乌鲁木齐, Ürümqi)이다. 중국 서부지역을 남북으로 가르는 천산산맥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업과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고대 이래 동서교역로인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으로 문화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의 도시와 비슷하다. 인구는 350만 정로 한족(75%), 위구르족(13%), 후이족(8%)이 주를 이루며 카자흐족, 만주족, 몽골족, 우주벡족 등 다양한 소수민족들이 모여살고 있다. 바다에서 2,300 km 이상 떨어져 있어 ‘바다로부터 가장 먼 도시’, ‘유라시아대륙의 중심점’ 등으로 불린다. 예전에는 시안에서 열차를 타고 30시간 이상 가야 했으나 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13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우루무치는 투루판에 있었던 차사국(車師國) 영역이었으며 당나라가 천산 북쪽에 룬타이현(轮台县)을 설치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위구인을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의 땅이었으며 1763년 청나라 건륭제가 이 지역을 정벌하면서 중국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우루무치 도심>

SANYO DIGITAL CAMERA<우루무치 도심 고층빌딩>

SANYO DIGITAL CAMERA<도심 대로>

SANYO DIGITAL CAMERA<도시를 오가는 버스>

우루무치는 표준시가 북경시에 맞추어져 있어 여름에는 저녁 10시가 지나야 해가 진다. 되어야 어두워진다. 해가 지면 많은 사람들을 도심 거리에서 밤을 즐긴다. 이슬람 교도인 위구르인들은 술과 담배를 전혀 하지 않고 밤거리에는 한족이 주를 이루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밤이 되면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거리>

SANYO DIGITAL CAMERA<노점에서 양꼬치를 굽는 설비>

우르무치는 회교국가인 중앙아시아 도시들과 문화적으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슬람사원이 모스크를 중심으로 시장인 바자르가 형성되어 있다. 현재 우루무치는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를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도시 경제에서 3차산업의 비중이 비교적 큰 편이다. 한족들이 많이 살고 있지만 바자르(시장)에서 중앙아시아 도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우루무치 전통 바자르(시장)>

SANYO DIGITAL CAMERA
<현대식 바자르>

우루무치는 해발 800 m 이상의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천산산맥이 투루판 사막지역과 분리하고 있다. 연간 강수량이 많지 않지만 천산산맥에 쌓인 눈이 녹아 흐르는 강물과 지하수 등으로 물은 비교적 풍부한 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천산 천지(天山 天池), 남산목장(南山牧场), 신장 국제 대바르(新疆国际大巴扎), 신장 위구르자치구 박물관(新疆维吾尔自治区博物馆), 홍산공원(红山公园) 등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투루판에서 우루무치를 가는 길에 볼 수 있는 천산산맥>

SANYO DIGITAL CAMERA<천산산맥과 농촌마을>

천산 천지(天山 天池)는 우루무치 일대에서 제일 유명한 명소이다. 천산산맥 보거다봉(博格达峰. 해발 5445 m) 북쪽에 위치한 천연호수로 울창한 숲, 눈덮힌 산과 빙하, 고산호수가 빼어난 경치를 만들고 있다. 호수는 해발 1,910 m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3.5 km, 동서로 0.8 ~ 1.5 km 정도의 넓이며 가장 깊은 지점은 103 m이다.

SANYO DIGITAL CAMERA<천산 천지와 눈덮힌 보거다봉(5,445 m)>

SANYO DIGITAL CAMERA<천지를 오르는 케이블카에서 보이는 풍경>

남산목장(南山牧场)은 남쪽으로 75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남산목장은 천산산맥 라우청봉(喀拉乌成峰) 쪽 기슭에서 산중턱에서 고산지대로 바뀌는 지역을 말하며 해발 고도 2,100 m 이상이다. 울창한 수목, 산지초원, 계곡, 목초지 등 다양한 자연경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청나라 때부터 유명한 피서지였다고 한다.

SANYO DIGITAL CAMERA<남산목장의 대표적인 명소인 서백양구 입구>

SANYO DIGITAL CAMERA<서백양구 계곡>

신장 국제 대바자르(新疆国际大巴扎)는 우루무치시 톈산구에 있는 전통 이슬람 바자르(시장)이다. 우루무치에서 제일 유명한 랜드마크로 모스크인 이도교청진사(二道桥清真寺)를 중심으로 바자르가 형성되어 있다. 실크로드를 통해 거래되었던 향신료를 비롯한 다양한 물품들을 볼 수 있다. 대형 현대건축물과 전통 바자르 등이 혼재되어 있다.

SANYO DIGITAL CAMERA<이도교청진사(二道桥清真寺)>

SANYO DIGITAL CAMERA
<첨탑>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박물관은 실크로드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지역을 대표하는 박물관이다. 투루판을 비롯하여 실크로드 교통로에 있는 주요 유적지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을 살펴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신장 위구르 자치구 박물관>

SANYO DIGITAL CAMERA<박물관 내부>

<출처>

  1. 百度百科, 2021년
  2. 위키백과, 2021년

우루무치 남산목장(南山牧场), 천산산맥 유명 피서지

중국 신강 우루무치(乌鲁木齐)에 있는 남산목장(南山牧场)이다. 우루무치 도심에서 남쪽으로 75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남산목장은 천산산맥 라우청봉(喀拉乌成峰) 쪽 기슭에서 산중턱에서 고산지대로 바뀌는 지역을 말하며 해발 고도 2,100 m 이상이다. 울창한 수목, 산지초원, 계곡, 목초지 등 다양한 자연경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청나라 때부터 유명한 피서지였다고 한다. 명소로는 서백양구(西白杨沟), 국화대(菊花台), 수서구조벽산(水西沟照壁山), 먀오에르구(庙尔沟) 등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고산지대에 조성해 놓은 목초지>

서백양구(西白杨沟)는 목장과 울창한 삼림,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는 개울과 폭포를 볼 수 있는 남산목장의 대표적인 명소이다. 입구에는 관광객을 위한 카자흐스탄 유목민들의 가옥인 유르트들이 있으며, 조랑말을 타고 목장을 체험할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남산목장의 대표적인 명소인 서백양구 입구>

SANYO DIGITAL CAMERA<유목민들의 집인 유르트>

SANYO DIGITAL CAMERA<목초지에 방목해 놓은 양떼들>

SANYO DIGITAL CAMERA<계곡으로 들어가는 입구>

계곡으로 들어가면 입구와는 달리 목초지는 거의 없고 경사가 심한 높은 산과 울창한 산림, 맑은 물이 흐르는 개울을 볼 수 있다.  계곡은 해발고도 2,200 m 정도의 높은 고지대이다. 공원은 계곡을 따라 폭포까지 이어지는데 조랑말을 빌려 타고 가거나 꼬마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서백양구 계곡>

SANYO DIGITAL CAMERA<울창한 침엽수림>

SANYO DIGITAL CAMERA<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길>

서백양구 공원 끝에는 절벽이 있고 높이 40 m, 폭 2 m 정도의 폭포가 있다.

SANYO DIGITAL CAMERA<계곡 안쪽 폭포 부근>

SANYO DIGITAL CAMERA<폭포 아래로 흐르는 개울>

SANYO DIGITAL CAMERA
<공원 끝에 있는 폭포>

남산목장 주변 지역은 천산산맥에서 흘러 내려온 물에 의존한 초원지대가 있고, 러시아의 유목민족인  카자흐스탄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목초지를 찾아 초원지대를 이동하던 유목민족이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농업이나 목축업에 종사하면서 살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남산목장 부근 천산산맥>

SANYO DIGITAL CAMERA<목초지와 주변 마을>

<출처>

  1. 百度百科, 2021년
  2. 위키백과, 2021년

우루무치 천산 천지(天山 天池), 천산산맥을 대표하는 풍경

중국 신강 푸강시(阜康市)에 있는 천산 천지(天山 天池)이다. 신강 위구르 자치구 중심인 우루무치 일대에서 제일 유명한 명소로 세계자연유산, 국가AAAAA급 관광명소, 국가지질공원, 국가주요명승지 등 다양한 타이틀이 붙어 있는 곳이다. 천산산맥 보거다봉(博格达峰. 해발 5445 m) 북쪽에 위치한 천연호수로 울창한 숲, 눈덮힌 산과 빙하, 고산호수가 빼어난 경치를 만들고 있다. 호수는 해발 1,910 m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3.5 km, 동서로 0.8 ~ 1.5 km 정도의 넓이며 가장 깊은 지점은 103 m이다.

SANYO DIGITAL CAMERA<천산 천지와 눈덮힌 보거다봉(5,445 m>

천산 천지는 우루무치에서 97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우루무치에서 메마른 들판을 자동차로 한참을 달려온 후 산맥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서 한참을 들어와야 한다. 호수 입구까지 자동차가 들어갈 수 있지만 중턱에서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경치를 감상하면서 오르는 것이 일반적인 탐방루트인 것으로 보인다. 덥고 메마른 신강 위구르자치구에서 맑은 계곡물과 호수, 초록빛 가문비나무숲 등 사막과는 다른 색다른 풍경을 즐길 수 있다.  공원에는 천지 호수를 비롯하여 계곡에는 여러 폭포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관광명소가 있다.

SANYO DIGITAL CAMERA<주차장이 있는 공원 입구>

SANYO DIGITAL CAMERA<공원 입구 주차장 주변 풍경>

케이블카는 해발 1,550 m에 위치한 주차장에서 해발1,900 m에 위치한 천치호수 부근까지 약 1 km 정도 운행되고 있다. 케이블까에서는 가문비나무를 비롯하여 울창한 침엽수림과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양치는 목동 등 다양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호수까지 운행하는 케이블카>

SANYO DIGITAL CAMERA<케이블카에서 내려다 보이는 공원 입구>

SANYO DIGITAL CAMERA<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SANYO DIGITAL CAMERA<호수까지 연결된 도로>

SANYO DIGITAL CAMERA<중간쯤 볼 수 있는 양치는 목동>

SANYO DIGITAL CAMERA<멀리 보이는 천산산맥 북쪽 평지>

SANYO DIGITAL CAMERA<울창한 숲>

SANYO DIGITAL CAMERA<중간쯤에 있는 정자>

케이블카에서 내리면 천지호수임을 알려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고 산책로를 따라 10분정도 걸으며 천지호수를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호수 입구 표지석>

SANYO DIGITAL CAMERA<관광지 상가들>

SANYO DIGITAL CAMERA<호수로 들어가는 산책로>

SANYO DIGITAL CAMERA<호수와 천산산맥 붕우리들을 감상할 수 있는 관람포인트>

천산 천지는 해발 1,980 m로 한라산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호수 뒷편 배경을 이루고 있는 봉우리는 천산산맥 주봉이라 할 수 있는 해발 5,445 m 보그다봉(博格达峰)과 주변 봉우리들이다. 이 곳에서는 천산(天山)이라 부르며 호수에 비친 모습은 산산맥을 대표하는 장면이다.

SANYO DIGITAL CAMERA<천지 호수와 천산산맥>

SANYO DIGITAL CAMERA<호수를 운행하는 유람선>

SANYO DIGITAL CAMERA<많은 관광객이 모여있는 촬영포인트>

천산 천지는 산사태로 때문인지, 빙하가 녹으면서 생겼는지 알 수 없지만 자연스럽게 둑이 형성되면서 계곡을 막아 거대한 호수를 만들었다. 가장 깊은 곳이 깊이 105 m이며 가장 폭이 넓은 지점이 약 1,500 m 정도이다. 호수는 맑고 깨끗해 호수에 비친 풍경의 매우 아름답다.

SANYO DIGITAL CAMERA<협곡을 이루는 호수 동쪽편 봉우리>

SANYO DIGITAL CAMERA<동쪽편 봉우리 아래에 있는 도교사원>

SANYO DIGITAL CAMERA<가문비나무가 울장한 숲을 이루고 있는 호수 서쪽편>

SANYO DIGITAL CAMERA<호수 서쪽편에 있는 도교 사원인 철와사(鐵瓦寺)>

SANYO DIGITAL CAMERA<철와사에서 본 천산산맥 봉우리들>

<출처>

  1. 百度百科, 2021년
  2.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