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해외박물관

[시안(Xi'an) 비림박물관]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당대 중국에 전파된 기독교를 기록한 비석

당대(唐代)에 중국에 기독교가 전파되었음을 보여주는 비석인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 The Nestorian Stele)”이다. 대진(大秦)은 로마나 후대 비잔틴제국을 말한다. 경교(景敎, Nestorian)라 불리는 기독교 일파가 중국에 전파된 것은 635년이며 이후 150년간 중국 왕조의 보호를 받았다. 이 비석은 781년 장안 대진사(大秦寺)에 세워졌던 비석이다. 비석에는 네스토리안 교리와 의례, 시리아어로 적힌 선교사 이름 등이 있어 당시 문화교류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당말 회창폐불때 경교도 탄압을 받아 대진사는 파괴되었으며 비석도 땅에 묻힌 것으로 보인다. 명나라 때(1623년)에 발굴되었으며 1907년 비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OLYMPUS DIGITAL CAMERA
<시안 비림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인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머릿돌, 비몸, 거북받참돌로 구성된 전형적인 당대 비석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머릿돌>

“大秦景敎流行中國碑” 글자과 십자가가 새겨져 외형상 용과 구름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기독교적인 내용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글자가 새겨진 비몸.>

OLYMPUS DIGITAL CAMERA<아랫부분에 시리아어로 역대 선교사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 The Nestorian Stele)
The Stele was entitled “Stele to the Propagation in China of the Luminous Religion of Daqin”. The Nestorian branch of Christianity arrived in China in 635 (the 9th year of Zhenguan Reign, Tang Dynasty.) This Stele records the dissemination of the doctrine and ceremonies of Nestorianism during the 150 years afterward and also the missionaries names written in Syrian language. This stele provides the valuable material for studying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foreign country. It originally erected in Daqin Temple of Chang’an in the Tang Dynasty and later unearthed from the west of Xi’an City in the Tianqi Reign of Ming Dynasty (1625). It was moved to Xi’an Forest of Stele in the 33th year of Guangxu Reign of Qing Dynasty (1907).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출처>

  1.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

 

 

[시안(Xi'an) 비림박물관] 개성석경(開成石經), 유가 13경전을 새겨놓은 비석

시안 비림박물관 제1전시실을 구성하고 있는 개성석경(開成石經, Kaicheng Stone Classics)이다. 동아시아 사회규범의 기본이 되었던 유가 경전을 돌로 새겨놓은 것이다. 당나라 문종 때(837) 전해오던 여러 유가 경전을 모아 돌에 새겨 여러 경전들의 착오를 바로잡는 표준이 되게 하였다. 한대(漢代) 이래 7차례에 걸쳐 유가 경전이 돌에 새겨졌는데 그 중 보존 상태가 좋고 오래되었다. 북송 철종 때(1087) 여러곳에 흩어져 있던 석경들을 다시 모아 문묘(文廟)였던 이곳에 옮겨 놓았다. 이후 역대왕조에서 수집된 많은 고대 비석들이 이곳에 모아져 도서관 역할을 해왔다. 당대에 <논어>을 비롯하여 12경이 새겨졌으며 청나라 강희제 때 <맹자>가 추가로 새겨 13경이 완성되었다. 비석이 처음 새겨진 연대가 당나라 문종 때여서 그 연호(開成)를 따라 개성석경이라 부른다.

OLYMPUS DIGITAL CAMERA<비림박물관 제1전시실. 당대에 새겨진 유가 경전들을 모아 놓았고 있다.>

시경(詩經, The book of Odes)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다. 공자가 주왕조 정치형태와 민중의 수용태도를 가리치기 위해 편집한 것을 알려져 있다. 각국의 민요인 풍(風), 연회에 부르는 노래인 아(雅), 제사 지낼떄 부는 노래 송(頌)으로 구성되어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시경’은 16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서(尙書, The book of History)>는 <서경(書經)>으로 볼리는 유가 5경 중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다. 요순시대 이래 중국 역사를 공자가 편찬했다고 전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상서’는 10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상서’에 새겨진 글자>

공자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가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경전인 <논어(論語, Analects of Confucius)>이다. 한대(漢代)에도 여러 본이 전해져 오고 있었으며 지금 전해지는 논어는 전한말 장우((張禹)가 편찬한 교정본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개경석경 ‘논어’는 7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논어’에 새겨진 글.>

효경(孝經, The book of Filial piety)은 유교 13경 중 하나로 효의 원칙과 규범을 수록하고 있다. 효경은 2종류의 책이 전해오면서 논란이 많았으며, 당 현종은 역대 효경을 연구하게 하여 주석을 달아 태학에 세웠는데 이를 <석대효경>이라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효경’은 1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Guliang’s commentary on Spring and Autumn Annals)>은 춘추(春秋) 주석을 단 것으로 곡량자가 저작했다는 설이 있지만 한대(漢代)에 전해오던 내용을 현재의 형태로 정리한 것으로 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춘추곡량전’은 16석으로 구성된 방대한 규모의 경전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춘추곡량전’에 새겨진 내용.>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Gongyang’s Commentary on Spring and Autumn Annals)>은 <한서>에 저자가 공양자로 기록되어 있어 춘추공양전이라 부른다. <사기>에 동중서가 공양전을 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한대 초기에 내용이 정리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춘추공양전’은 17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춘추공양전’에 새겨진 글자.>

<이아(爾雅, Erya)>는 유가 경전을 집성한 당나라 개성석경에 포함되었다. 문자의 뜻을 고증하고 설명하는 사전적인 성격을 갖는 책이다. 책을 지은 저자에 대해서 알려진바는 없으나 한(漢) 초기에 유학자들이 서주(西周)시기 고서들을 해석하기 위해 정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청대 고증학의 기본이 되는 책으로 존중받았다. 

OLYMPUS DIGITAL CAMERA<’이아(爾雅’,  5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이아(爾雅) 뒷면>

OLYMPUS DIGITAL CAMERA
<이아(爾雅)>  양쪽에 2개의 석경.

경조부학신이석경기(京兆府學新移石經記, Memoralilia of Jingzhao Fuxue Moving the Stone classics)은 송(宋) 철종 5년(1090) 여러곳에 흩어져 있던 개성석경을 당나라 태학(太學)으로 석대효경에 있던 이곳으로 옮기면서 그 내력을 기록해 놓은 비석이다. 이곳이 비림(碑林)으로 자리잡은 내력을 기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경조부학신이석경기(京兆府學新移石經記) 비석>

당석경보자(唐石徑補字, Inlay of the Stone Classics of Tang Dynasty) 명나라 때 재지진으로 훼손된 개성석경을 전해오는 여러 탁본을 참조하여 1588년 다시 새긴 것이다. <주역>, <상서>, <시경>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총 16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당석경보자(唐石徑補字) 중 하나.>

구경자양(九經字樣, Typeface of the Nine Classics)은 당대에 편찬된 것으로 개성석경 이전에 유교 경전에 있는 글자를 해석하기 위한 일종의 자전(字典) 역할을 했던 석경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구경자양>

오경문자(五經文字, Test of the Five classics)는 당나라 장참이 775년에 편찬한 자전이다. 원래 태학(太學) 벽에 써 놓았던 것을 당 문종 때 개성석경을 새기면서 비석에 새겨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오경문자>

제1실
본 전시실에는 당나라 개성 2년(837)에 완성된 <개성석경>을 모아 전시하고 있다. <개성석경>은 12종류의 유가경전, 즉 <주역>, <상서>,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 <춘추곡량전>, <효경>, <논어>, <이아> 등으로 모두 114개의 돌판, 228면, 65만자나 된다. 역사에서는 이를 가리켜 <개성석경>이라고 부른다. 청나라 강희3년(1664)에 <맹자>가 추가로 새겨져 드디어 13경이 되었다. <개성석경>은 고대의 7차례에 걸쳐 새긴 유가 경전의 각석들 중에 보존상태가 가장 좋고 가장 오래된 경전으로, 북송 원우 2년(1087)에 처음으로 비림에 옮겨져 서안 비림 발전사의 초석이 되었다. 당나라 때 새긴 석경들은 주로 학자들에게 제공되어 경전의 모범이 되었고, 아울러 다른 곳에 전해진 경전들의 착오를 바로잡는데 표준이 되었다. 13경은 중국 봉건시대에 지식인이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을 얻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 되었고, 중화문화와 민족정신의 원천이 되었다.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출처>

  1. 안내문, 시안 비림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년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실크로드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자 동서양 문화교류의 중심지였던 장안(長安)에는 당시 서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중국산 비단, 차, 종이 등이 서역으로 나갈때 이에 비례하여 다량의 교역품들이 장안으로 들어왔다. 수당(隋唐)시대 문화는 문화의 융합과 무역으로 크게 번성할 수 있었다.

사로유존(絲路遺存, Legacy of the silk Roa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ilk Road and the hub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Chang’an boasts a large number of relics that testifies the rich legacy of the past. Tons of goods were brought into Chang’an from the West when Chinese silk, tea and paper were taken to the Western countries. The culture of the Sui and the Tang flourished with the blend of cultures and trade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삼채재악낙타용(三彩載樂酪駝俑, Tri-colored pottery performers on camel back), 당, 시안시>

전세계의 다양한 공연자들이 개방된 당(唐)나라에 들어와 활동했다. 이 작품은 순회악단을 표현안 이 작품은 7명의 남자 연주자들이 중국옷을 입고 서역악기를 연주하고 있으며, 1명의 여자 가수가 중간에서 노래를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작가의 독창성과 예술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e versatile performers from all around the world came to the open Tang, heartily showing their praise and pursuit of the good and peaceful life. This piece depicts touring orchestra, seven sitting male performers in Chinese dress playing Huren instruments while a female singer standing in the middle. This art work exhibits great originality and ingenuity of the artist.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서역인과 말을 표현한 삼채용(三彩俑)들>

OLYMPUS DIGITAL CAMERA<실크로드를 오가던 상인들이 사용했던 낙타를 표현한 삼채용(三彩俑)들.>

OLYMPUS DIGITAL CAMERA<호인(胡人, Huren)으로 불렸던 서역출신 여자용(女子俑)>

OLYMPUS DIGITAL CAMERA<서역출신 남자용(男子俑)>

OLYMPUS DIGITAL CAMERA
<장유악무문자주자(醬釉樂舞紋瓷注子, brown glazed porcelain pitcher with image of musicians & dancers), 당, 안캉시>

OLYMPUS DIGITAL CAMERA
<백자피양호(白瓷皮襄壺, White porcelain wineskin-shaped flask),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강황유첩망인물집호(薑黃釉貼望人物執壺, Ginger-yellow glazed pot with applied figures pattern),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백자첩화고족발(白瓷貼花高足鉢, White porcelain high stem bowl with applied floral pattern), 당, 시안시 출토>

OLYMPUS DIGITAL CAMERA
<삼채봉수호(三彩鳳首壺, Tri-colored phoenix head pottery ewer),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백자리병호(白瓷螭柄壺, white porcelain ewer with dragon handles),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백자인형준(白瓷人形䔿, white porcelain human-shaped container),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백자호인두(白瓷胡人頭, white porcelain huren head), 당, 시안시, 채회호용두(彩繪胡俑頭, painted huren head),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칠황색직벽피유배(漆黃直壁玻璃杯, light yellow glass cup), 당, 바오지시 출토>

OLYMPUS DIGITAL CAMERA
<녹색유리병(綠色琉璃甁, Green glass bottle),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소면은장배(素面銀長杯, plain oval silver cup), 당, 퉁촨시>

OLYMPUS DIGITAL CAMERA
<소면절복고족위석배(素面折腹高足渭石杯, plain talc goblet), 당, 시안시, 소면고족은배(素面高足銀杯, plain silver goblet),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삼채계칙치(三彩鸂䳵巵, Tri-colored pottery duck-shaped wine-cup),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마노장배(瑪瑙長杯, Oval agate cup),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회골문전(回鶻文錢, bronze coin with Uyghur inscription), 10세기, 수집, 회골문 “亦都護역도호” 전(回鶻文錢, bronze coins with Uyghur inscription meaning “circulation granted”,  동로마금화(東羅馬金貨, gold coins of eastern roman empire), 당, 시안시 출토, 아랍금화(阿拉伯金貨, Aribian gold coins), 당, 시안시 출토, 파사은화(波斯銀貨, Persian silver coins), 당, 시안시 출토, ”和同開琮화동개종”은화(Japanese silver coins with inscriptions meaning reighn of Hetong Tang Dynasty), 당, 시안시 출토, 돌기시전(突騎施錢, Bronze coin with Sogdian inscription),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매정패식(煤貞牌飾, jet plaque), 당, 수집,  호인기악문골조대판(胡人伎樂紋骨雕帶板, bronze plaques with design of Huren performer), 당, 수집>

<출처>

  1.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종교문화

수당(隋唐)시대에는 안정적인 사회, 강한 경제와 지배층의 소명의식 등으로 많은 종교들이 번창했다. 도교와 불교가 가장 번창했는 전국적으로 많은 도교사당과 불교사찰이 있었으며 많은 종파들이 형성되었다.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拜火敎, Zoroastriansism)와 마니교(摩尼敎, Manichaeism), 기독교 일파인 경교(景敎, Nestorianism)를 비롯하여 이슬람교까지 중국에 소개되었다. 수당((隋唐)시대는 중국 역사상가 종교적으로 가장 개방적이었으며 다종교 사회였다.

종교문화(宗敎文化, Religious culture)
In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with a stable society, strong economy and the avocation from the ruling class, many kinds of religions and beliefs prospered. Taoism and Buddhism were the most widely practiced with Taoist monasteries and Buddhist temple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in which different school were respected. Zoroastriansism, Nestorianism, Manichaeism and Islam were also introduced into China at that time. Religions reached their zenith in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
<1.백석불입상(白石佛立像, White stone Buddha), 수, 바오지시>

이런 불경은 최초의 인쇄물 중 하나이다.발굴당시 불경은 팔에 끼워져 있었다. 사찰 중앙에는 연꽃대좌에 팔이 8개인 준제관음보살(准提觀音菩薩)이 앉아 있었으며 18줄을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다리니경이 있었다.

Such Sutra paper is one of the earliest block-printed works. When excavated, it was tucked in arm band. At the center sits an eightarmed Bodhisattva on the lotus pedestal with Buddhist objects in hand, surrounded by 18 lines of Sanskrit dharani sutra.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2. 조인범문라라니경주(雕印梵文陀羅尼經咒, block-printed Sutra in Sanskrit),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3. 선업니조상(善業泥造像, Relief Earthen Buddhist figures), 당, 수집, 4. “永微元年” 비구법률조다보불탑(比丘法律造多寶佛塔, Duobao Buddhist pagoda with inscription indicating its manufacturing time),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5. 석가모니도조상(釋迦牟尼陶造像, Pottery sakyamuni),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6. 선각석사리관(線刻石舍利棺, stone coffin engraved with buddhist elements),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7. 백석석가좌상(白石釋迦坐像, White stone sakyamuni), 당,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8. 은천왕상(銀天王像, silver heavenly king statues), 당, 수집>

수당(隋唐)시대 수도 장안에는 수많은 사찰들이 있었다. 또한 많은 사상적으로 다른 다양한 종파가 당대(唐代)에 생겼으며 주요 종파의 근본도량을 장안 도심에 두고 있었다. 당대 불교 6개 종파와 근본도량으로 법상종(法相宗) 대자은사(大慈恩寺), 진언종(眞言宗, 밀종) 대흥선사(大興善寺), 율종(律宗) 정업사(淨業寺), 화엄종(華嚴宗) 천복사(薦福寺, 법성종(法性宗) 초당사(草堂寺), 정토종(淨土宗) 향적사(香積寺)이 있다. 의상, 혜초 등 한반도 불교 역사를 이끌었든 승려들이 젊은시절 유학했던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당장안사묘도현분포도(唐長安四廟觀分布圖)>

OLYMPUS DIGITAL CAMERA
<장안불교육대조정(長安佛敎六大祖庭)>

OLYMPUS DIGITAL CAMERA
<9. 삼채탑식관(三彩塔式罐, Tri-colored stupa-shaped pottery),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10. 류금다문천왕동상(鎏金多聞天王銅像, Gilt bronze heavenly king), 당, 바오지시>

OLYMPUS DIGITAL CAMERA<13. 류금노군상(鎏金老君像, Gilt figure of Laozi), 당, 수집>

당나라 황제들을 자신의 지위를 신성시하기 위해 도교의 신으로 받들어지는 자신들과 성씨가 같은 노자(老子) 이이(李耳)를 자신들의 조상으로 여겼으며, 후기에는 도교와 연금술을 크게 숭상했다. 기록에 따르면 석료모양은 은용기는 불사의 환약(丸藥)을 만드는 증류기라 생각했다. 재료가 금와 은으로 만든 용기에 저장되면 환약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었다고 믿었다.

In order to justify their divine mandate, the Tang emperors respected Laozi as their ancestor, then the strongly revered Taoism and its alchemy. Based on records, some scholars deduced that the pomegranate-shaped silver pot was the distiller in making life elixir. Chinese alchemists believed that, if the materials were stored in gold and silver vessels, the effect of the pills could be improved.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14. 은석류관(銀石榴罐, Pomegranate-shape silver pot), 당, 시안시 출토, 15. 광명홍사은합(光明紅砂銀盒, Silver box with cinnabar),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18. 귀뉴팔괘문동경(龜钮八卦紋銅鏡, bronze mirror with eight diagrams and turtle Knob), 당, 시안시 출토. 19. 팔괘십이생초문방경(八卦十二生肖紋方鏡, Bronze mirror with eight diagrams and Zodiac animal pattern), 당, 시안시 출토, 20. 사신십이생초문동경(四神十二生肖紋銅鏡, Bronze mirror with pattern of four gods of directions & 12 Zodiac animal), 당, 시안시 출토, 21. 사신십이생초문동경(四神十二生肖紋銅鏡, Bronze mirror with pattern of four gods of directions & 12 Zodiac animal),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채회십이생초용(彩繪十二生肖俑, painted figures of Twelve Zodiac animal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채회십이생초용(彩繪十二生肖俑, painted figures of Twelve Zodiac animal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1. 삼채천왕용(三彩天王俑, Tri-colored pottery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2. 채회착금반신천왕용(彩繪錯金半身天王俑, painted and gold-traced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3.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 painted figures of Heavenly king),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4. 삼채천왕용(三彩天王俑, Tri-colored pottery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5. 채회점금천왕용(彩繪點金天王俑, painted and gold-leafed figure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출토, 6.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 painted figures of Heavenly king),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7. 채회천왕용(彩繪天王俑, painted figures of Heavenly king), 당, 수집>

진묘수(鎭墓獸)는 중국에서 무덤앞을 지키는 짐승모양의 조각상으로 악령을 쫓는 의미가 있다. 춘추시대에는 호랑히, 뱀 등이, 한대, 남북조시대에는 토용 벽사(僻邪), 당대에는 상상의 동물인 서수(瑞獸)나 사람얼굴을 하고 있는 삼채용(三彩俑)이나 채회용(彩繪俑) 등을 사용했다.

OLYMPUS DIGITAL CAMERA
<8. 삼채진묘수(三彩鎭墓獸, tri-colored pottery tomb guardian beast),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9. 채회진묘수(彩繪鎭墓獸, Painted tomb guardian beast), 당, 수집, 10. 채회진묘수(彩繪鎭墓獸, Painted tomb guardian beast), 당, 수집>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문화오락

당대(唐代) 사람들은 음악, 춤, 스포츠 등 다양한 오락을 즐겼다. 국경 바깥 아시아 국가들의 영향을 받아 당나라 예술은 전성기를 누렸다. 악극단은 가수, 무용수, 연주가로 구성되었는데 자국민 무용수와 외국인이 동시에 공연했다. 폴로(Polo) 경기는 귀족이나 평면 모두에기 인기가 있었으며 축구와 비슷한 축국(蹴鞠)은 많은 인기를 누린 스포츠였다. 이 모든 것은 역동적인 시대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화오락
The Tang people enjoyed a variety of entertainments including music, dance and sports. With a strong influence from the ethnic group in Chin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like Central, West, South and Eastern Asian countries, the Tang art reached a new climax. The musical band was composed of singers, dancers and musicians. Local dancers and foreigner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polo game was popular both for the nobles and commoners. Cuju, the early form of football began to attract people’s mention. All these finely demonstrate the upbeat spirit of the era.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1. 삼채교유기마사작용(三彩絞釉騎馬射猎俑, Tri-colored pottery Neriage hunter on horseback), 당, 센양시 출토, 2. 삼채기마요수작용(三彩騎馬架鷂狩猎俑, Tri-colored pottery hunter on horseback with a Harrier), 당, 센양시>

OLYMPUS DIGITAL CAMERA<3. 삼채기마대견수작용(三彩騎馬帶犬狩猎俑, Tri-colored pottery hunter on horseback with a Hound), 당, 센양시 출토. 4. 채회호인기마대견수작용(彩繪胡人騎馬帶犬狩猎俑, painted huren hunter on horseback with a Hound), 당, 센양시>

OLYMPUS DIGITAL CAMERA
<6. 채회대응기마용(彩繪帶鷹騎馬俑, painted horse rider with an eagle), 당, 센양시 출토, 7. 채회호인기마사작용(彩繪胡人騎馬射猎俑, painted shooting huren hunter on horseback), 당, 센양시>

OLYMPUS DIGITAL CAMERA
<9. 채회기마수작용(彩繪騎馬狩猎俑, painted hunter on horse back),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채회타마구용(彩繪打馬球俑, painted polo player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채회타마구용(彩繪打馬球俑, painted polo player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1. 도설창용(陶說唱俑, Pottery figures in performance),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3. 채회여무용(彩繪女舞俑, painted female dancer figure), 수, 시안시 출토, 4. 채회쌍배계여무용(彩繪雙环髻女舞俑, painted female dancer figure with double-ring buns), 수, 시안시 출토, 5. 채회배우용(彩繪俳優俑, painted comedian figure), 바오지시 출토, 당>

OLYMPUS DIGITAL CAMERA<6.채회유도악무여용(彩繪釉陶樂舞女俑, painted glazed pottery female dancer figure), 셴양시, 당>

OLYMPUS DIGITAL CAMERA<7. 삼채취생여좌용(三彩吹笙女坐俑, Tri-colored pottery figure of female flute player), 당, 시안시 , 8. 황유취배소여좌용(黃釉吹排蕭女坐俑, yellow glazed pottery female panpipe player),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9. 채회취소기마용(黃釉吹蕭騎馬俑, painted flute player on horseback), 당, 수집, 10. 채회취배소기마용(黃釉吹排蕭騎馬俑, painted panpipe player on horseback), 당,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
<11. 삼채기마악용(三彩騎馬樂俑, Tri-colored pottery of horse-riding performer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1. 삼채투호(三彩投壺, Tri-colored pottery pitch pot), 당, 셴양시>

OLYMPUS DIGITAL CAMERA<3. 삼채훈(三彩壎, Tri-colored pottery wind instrument),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4. 동발(銅鉢, bronze cymbels),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5. 동라(銅鑼, bronze gong),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6. 투자(骰子, dice), 당, 바오지시 출토, 7. 백석위기자(白石圍棋子, white stone go chess piece), 당, 수집>

OLYMPUS DIGITAL CAMERA
<8. 유리쌍륙자(琉璃雙陆子, glass backgammon pieces), 당, 시안시>

OLYMPUS DIGITAL CAMERA
<10. 류금각화동양진(鎏金刻花銅羊鎭, goat-shaped gilt bronze paper weight), 당, 시안시. 11. 이수형한백옥진(异獸漢白玉鎭, White marble paperweight in shape of mythical creature), 당, 시안시>

벼루는 문방사우(文房四友) 중 하나로 학자들이 먹을 갈 때 사용하는 것이다. 도자기로 만들어진 이 벼루는 한무제 최고 교육기관인 태학을 세우면서 지은 건축물인 벽옹(辟雍)의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벼루는 당시 널리 사용되었으며 한반도 삼국시대나 통일신라 유물로 출토되고 있다. 송대(宋代) 돌로 만든 벼루가 사용되기 전까지 많이 사용되었다.

Inkstone is one of four treasures of a scholar’s study for grinding the inkstick. This porcelain resembles an ancient school platform Piyong. Such kind were widely popular and varied in shaped until stone ones emerged in the Song dynasty.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OLYMPUS DIGITAL CAMERA
<12. 백자벽옹연(白瓷辟雍硯, white porcelain inkstone resembling the Platform Piyong), 당, 시안시>

<출처>

  1.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