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고문서

삼현수간(보물), 유학자 송익필, 성혼, 이이가 주고 받은 편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삼현수간(三賢手簡, 보물)이다. 조선중기 유학자 송익필, 성혼, 이이 사이에 주고 받은 편지를 후손들이 편집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들은 16세기 성리학을 이끌었던 인물들로 조선후기 주도 세력인 서인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는 인물들이다. 편지에는 성리학의 주요 내용을 토론하고 논의한 내요들도 포함되어있는데 그들의 문집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내용도 있다고 한다. 그들 친필 편지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그중 율곡 이이의 친필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삼현수간(보물) 20220824_01<성혼이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형권 제20~21면, 1580년>, <송익필이 성혼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형권 제20면, 조선1580년 7월>

성혼이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형권 제20~21면, 1580년
“오미자를 조금 보냅니다. 집에서 차마시는 용도로 두시기 바랍니다. 삼가 사람을 보내어 안부를 여쭙니다. 잘 계신다는 소식을 들어 멀리 있는 저의 마음이 위로되었으면 합니다. … 육포 세 덩어리를 아울러 보내드립니다. 평상시대로 드십시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송익필이 성혼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형권 제20면, 조서너 1580년 7월
“제가 지은 <소학집주발>에 대해 가르침을 주셨는데 말과 뜻이 한결 부드러워 좋았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소학>의 발문이고, <집주>에 대한 뜻은 빠져 있는 것 같습니다. 몇 마디 말을 엮어 <집주>를 지은 본래의 뜻과 일치하게끔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삼현수간(보물) 20220824_02<송익필이 성혼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정권 제40면, 조선 1592년 이후 추정>, <성혼이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정권 제39면, 조선 1589년>

송익필이 성혼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정권 제40면, 조선 1592년 이후 추정
“소식이 오랫동안 끊겼는데 어느덧 가을이 되었습니다. 간절한 그리움이 쇠약한 늙은이에게 더욱 간절합니다. … (편찬중인) <율곡문집>은 조금도 진척이 없습니다. 길도 제법 가까운데 어찌 형께 물어보지 않았겠습니까? 그런데 초고본이 완성되지 못해 가져가지 못했습니다. “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성혼이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정권 제39면, 조선 1589년
“저는 비록 대단치 않은 사람이지만 형과 율곡과 더불어 말석이나마 끼게 되었습니다. 노둔한 성정을 채찍질하여 마음을 한가지로 하였고 주위의 환경이나 욕망에 빠지지도 않았습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삼현수간(보물) 20220824_03<송익필이 이이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리권 제20면, 조선 1581년 이후>, <성혼이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리권 제19면, 조선 1582년 가을>

송익필이 이이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리권 제20면, 조선 1581년 이후
“형께서 문형(대제학)에 임명되고 또 앞으로는 재상이 될 것이라고 들었습다. … 후대의 유자를 살펴본다면 가만히 있을 때는 도를 논하고 의리를 지키다가, 한번 움직이면 초심을 곧 잃어버립니다. 감히 천박한 의견을 말합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성혼이 송익필에게 보내는 편지, 삼현수간첩 리권 제19면, 조선 1582년 가을
“항상 형께서 몸에 질병이 없고 기력이 건강하여 날마다 학자들과 더불어 인의에 침참하는 모습을 생각하노라면, 나도 모르게 부럽고 감탄이 이어집니다. 제가 지금 오는 것은 오로지 형을 만나고자 기대하는 것입니다. 바라건대 왕림해줏서 며칠간 머물러 주시기를 바랍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삼현 수간첩(三賢 手簡帖), 송취대 편집 1599년, 종이에 먹, 국립중앙도서관, 보물
유학자 송익필, 성혼, 이이가 30년 넘게 주고 받은 편지를 모은 서간첩이다. 송익필의 아들이 가문에 남아 있던 편지들을 첩으로 편집했다. 세 학자는 편지로 성리학을 토론하거나 재상에 임명된 친구에게 국가 경영의 주의 사항을 일러주며 우정을 이어나갔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2. ‘보물 삼현수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월인석보 권11(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월인석보 권11(보물)’이다.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편찬한 불경언해서이다. 권11, 12는 1459년(세조5)에 간행된 초판본이다.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쓰고 <석보상절> 구절로 해설한 후 작은 글씨로 보충설명을 적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한글불교대장경으로 훈민정음 연구와 불교학,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월인석보(보물) 20220824_02<월인석보 권11, 조선 1459년, 종이에 목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월인석보(보물) 20220824_01<옆에서 본 모습>

월인석보 권11, 조선 1459년, 종이에 목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447년 완성된 <석보상절>과 세종이 1447년 무렵 노래 형식으로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합본한 책이다. <월인천강지곡> 노랫말을 본문으로 쓰고 <석보상절> 구절로 이를 해설한 뒤, 작은 글씨로 보충설명을 넣는 체제로 편집했다. 본문과 주석, 보충설명은 각기 글씨의 크기와 서체를 달리하여 위계를 체계적으로 구분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2. ‘보물 월인석보 권1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 권175 (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 권175(보물)’이다. 금강경(金剛經)이라고도 부르는 이 불경은 조계종의 근본 경전이다.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대반야경> 600권 가운데 권175이이다. 검푸른 빛이 나는 종이에 금색으로 글씨를 썼다. 고려 문종 때(1055년) 김융범이 부모와 조상의 명복을 빌기 위해 조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보물) 20220824_02<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고려 1065년, 감지에 금니,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보물) 20220824_01<옆에서 본 모습>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고려 1065년, 감지에 금니,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경전을 베껴 쓰는 사경(寫經) 작업은 부처의 말씀을 마음에 새기며 중생에게 널리 알리는 일이어서 큰 공덕이 있다고 여겨졌다. 고려시대에는 감색이나 갈색 종이에 금과 은으로 베껴 쓴 사경이 널리 제작되었다. 이 사경 끝부분에 고려 1055년 금오위대장군 김융범이 돌아가신 선조와 부모의 명복을 빌려고 조성했다는 기록이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2. ‘보물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 권175’,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국보), 초조대장경으로 인쇄한 책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초조본 현양성교로 권11(국보)’이다. 인도인 무착이 지은 글을 당나라 현장이 한문으로 번역하여 20권을 수록한 책이다. 이책을 인쇄한 목판은 11세기에 거란에 침입을 물리치려고 조성한 초조대장경이 일부이다. 이 책은 11세기에 간행하여 인출된 것이다. 후대에 다시 판각한 것보다 판각기술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국보)20220824_01<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고려 11세기, 종이에 목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국보)20220824_02<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고려 11세기, 종이에 목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부처의 말씀을 기록한 옛 경전은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되었다.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면서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된 덕분에 동아시아에 불교가 자리잡을 수 있었다. <현양성교론>은 인도의 무착이 저술했고 중국 당나라 현장(602~664년)이 한문으로 번역했다. 이 목판본은 11세기에 인쇄한 초조대장경의 일부이다. 고려 왕실은 1011년(현종2)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려고 한국 최초로 대장경을 집결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2. ‘국보 초조본 현양성교로 권1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동의보감(국보)

동의보감(東醫寶鑑, 국보)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의서이다. 그 이전까지 편찬된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서들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질병의 증상과 치료법을 기록한 한의학의 백과전서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청나라와 일본에서도 크게 인기를 얻었다. 16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해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고,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와 치료 기술을 자세하게 다뤄 의료의 대중화에 이바지하였다. 의학 서적으로는 최초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조선 광해군 때(1613년) 목활자로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는데, 모두 25권 25책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동의보감(국보)>는 완질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학연구원 소장본 <동의보감(국보)>도 동일본으로 완질을 갖추고 있다. 2본의 동의보감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동의보감(국보)>은 태백산사고본 24권24책, 동일판본이나 17권17책이 남아 있다. 두종류를 합해 완질을 구성하고 있으며 국가에서 소장해온 초간본이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

중앙박물관 등에서 다양한 시기에 발간된 <동의보감>을 소장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허준이 지은 의학서적(東醫寶鑑, 허준, 조선후기), 허준이 그린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몸과 형체, 장기 그림, 중앙박물관 소장>

허준 등이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의학 서적으로, 그 이전까지 편찬된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서들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질병의 증상과 치료법을 기록한 한의학의 백과전서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청나라와 일본에서도 크게 인기를 얻었다. 허준은 『동의보감』의 맨 앞에 이 그림을 실어 의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허준은 하늘을 상징하는 머리와 땅을 나타내는 몸, 이 둘을 인체의 척추가 연결하며 하늘과 땅의 선천적 기운에 인체의 후천적 기운을 소통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다음은 이 그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쓴 글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5년)

사람은 우주에서 가장 귀한 존재이다. 머리가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고, 발이 네모진 것은 땅을 본받은 것이다. 하늘에 사시(四時)가 있으니 사람에게는 사지(四肢)가 있다. 하늘에 오행(五行)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오장(五臟)이 있다. 하늘에 육극(六極)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육부(六腑)가 있다. 하늘에 팔풍(八風)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팔절(八節)이 있다. 하늘에 구성(九星)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구규(九竅)가 있다. 하늘에 12시가 있으니 사람에게는 12정맥이 있다. 하늘에 24기가 있으니 사람에게는 24유(兪)가 있다. 하늘에 365도(度)가 있으니 사람에게는 365골절이 있다. 하늘에 일월(日月)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안목(眼目)이 있다. 하늘에 밤낮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오매(寤寐)가 있다. 하늘에 뇌전(雷電)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희로(喜怒)가 있고, 하늘에 우로(雨露)가 있으니 사람에게는 눈물이 있다. 하늘에 음양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한열(寒熱)이 이씨고, 땅에 천수(泉水)가 있으니 사람에게는 혈맥이 있으며 땅에 초목과 금석이 있으니 사람에게는 모발과 치아가 있다. 이러한 것은 모두 사대(四大)와 오상(五常)이 묘하고 아름답게 조화되어 성립된 것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5년)

OLYMPUS DIGITAL CAMERA<동의보감, 허준, 조선, 중앙박물관특별전>

허준이 1610년(광해군2)에 완성한 것을 1613년에 총 25권 25책으로 간행한 의학서이다. 당시까지 나온 우리나라와 중국의 주요 의학서들을 거의 망라하여 인용하면서 고금의 처방을 일목요연하게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책의 서두에서 허준은 병이 난 뒤에 치료하는 것보다 평소 맑고 고요한 수양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내단 수련 위주의 도교적 양생 관념과 실제 수련의 전통이 꾸준히 축적되어 온 것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3년)

OLYMPUS DIGITAL CAMERA<동의보감, 조선, 고궁박물관 소장>

OLYMPUS DIGITAL CAMERA<표지>

동의보감,
의학서적으로는 최초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은 16세기 동아시 의학을 집대성해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고 누구나 쉽게 구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약재와 치료 기술을 자세히 다뤄 의료 대중화에도 크게 이바지 하였다. 백성을 위하여 국가가 직접 의료를 제공한다는 시대를 앞선 의미도 지닌 동의보감은 이번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2질이 각각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안내문, 고궁박물관, 2014년)

SANYO DIGITAL CAMERA<동의보감, 허준, 고궁박물관 소장>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의서이다. 의학 서적으로는 최초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은 16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해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고,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와 치료 기술을 자세하게 다뤄 의료의 대중화에 이바지하였다. (안내문, 고궁박물관, 2010년)

<출처>

  1. 안내문, 고궁박물관, 2010년, 2014년
  2.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3년, 2015년
  3.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