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chives: March 13, 2023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국보)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국보)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 통일신라 9세기에 조성되었다. 원래 봉안된 전각은 알 수 없지만 오랫동안 팔만대장경이 봉안된 법보전의 주불로 봉안되는데 지금은 대비로전으로 옮겨졌다,.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크기와 형태 등의 거의 유사하다. 복장 유물의 조성시기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이다. 이는 불상이 여러 차례 개금 중수가 이루어지면서 그 이력을 기록하여 봉안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복장유물중 후령통은 원래 형태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제작기법은 불신은 하나의 원통형 나무로 처리하고 머리와 팔은 따로 만들어 붙였다. 나발 등은 흙 등으로 별도로 만들어 촘촘하게 붙였다. 해인사 창건 당시 유물로 당시 해인사의 화엄사상을 대변하는 유물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국보)>

비로전에 불상들이 모셔져 있는데 왼쪽이 대적광전 비로자나불좌상이고, 오른쪽이 법보전 비로자나불좌상이다.

OLYMPUS DIGITAL CAMERA<해인사 비로전>

OLYMPUS DIGITAL CAMERA<비로전 내부>

<출처>

  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석조불상

충남 논산시 관촉동에 있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이다. 고려전기 석조불상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높이 18m에 이르는 국내 최대 규모이다. 고려 광종 때 (968년경) 왕실의 후원을 받아 승려 조각장 혜명이 제작하였다.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아 세련되고 정밀한 조각수법을 자랑하는 통일신라 때와는 달리 투박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토속적인 불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얼굴이 몸통에 비해 크고, 전체적인 균형미가 떨어지지만, 위압적이면서도 토속적이고 자비로움보다는 강하고 신비한 느낌을 주는 고려초기 미륵불의 모습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국보>

머리에는 높은 관을 쓰고 그 위에 보개를 올려 놓고 있으며, 네 모퉁이에는 쇠방울을 달았다. 비정상적으로 크게 묘사된 얼굴에는 눈.코.입이 크고 뚜렷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귀는 거의 어깨까지 닿을 정도로 길게 표현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얼굴부분>

천의(天衣)는 몇가닥의 옷주름이 얕게 조각되어 있고, 두손은 몸에 비해 크게 조성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몸체 부분>

‘은진미륵’으로 불렸던 이 불상은 관촉사 경내 안쪽편 언덕 아래에 세워져 있다. 몸통에 비해 머리부분이 상당히 크고 위압적인 느낌을 주는 석불입상이다. 관촉사는 황산벌 넓은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낮은 언덕에 석축을 쌓아서 절터를 조성하였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세워진 관촉사 경내>

OLYMPUS DIGITAL CAMERA<불상 얼굴 부근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OLYMPUS DIGITAL CAMERA
<아래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
<옆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삼층석탑, 석등, 불상이 일렬로 배치된 모습>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국보, 논산시 관촉동
높이가 18m에 이르는 국내 최대 석불로서, 보통 ‘은진미륵’이라 불리고 있다. 미륵불은 56억 7천만년이 지난 뒤에 그 때까지도 못다 구제된 중생들을 위해 나타난다는 미래불로 대개 산이나 들 등 바깥에 세워진 경우가 많다. 자연암반 위에 허리부분을 경계로 하여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이 보살상은 몸통에 비해 특별히 얼굴이 강조되어 전체적인 균형미는 약간 떨어지지만 불상 전체에서 느껴지는 강한 원초적인 힘은 고려시대 초기에 이 지방에서 많이 유행하는 불교예술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얼굴과 손에 집중된 표현양식은 마치 토속적인 신상을 보는 듯 위압적이며, 자비로운 보살의 모습이라기보다는 강한 메시지와 신비감을 담고 있는 모습이다. 관촉사 사적비에 의하면 고려 광종 19년(968)에 공사를 시작하여 목종 9년(1006)에 완성하였으며, 혜명대사가 대형 석불을 만들어 세울 수 없어 걱정할 때 사제촌에 나타난 동자들이 강가에서 흙장난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크게 깨달아 기뻐하며 돌아와 불상을 세웠다고 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거석불의 대표적인 예로 인근에 있는 부여 임천의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들 수 있는데, 이 두 불상은 고려시대에 충남지역에서 크게 유행하던 불상의 양식으로 새로운 지방적 미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관촉사 불상의 건립은 이후 충남 각 지역에서 거불상의 조성에 큰 계기가 된 듯 하다. (안내문, 논산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논산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