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chives: April 7, 2023

당진 안국사지 절터

충남 당진군 정미면 안국산 중턱에 있는 안국사지 절터이다. 창건연대나 사찰의 내력에 대해서 알려진 바는 없으나 출터유물이나 남아 있는 석탑과 불상 등으로 볼 때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는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 석탑(보물), 매향암각 등이 남아 있다. 절터의 규모나 남아 있는 유물 등으로 볼 때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1<당진 안국사지 절터>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양쪽에 협시보살이 배치된 삼존석불이다. 본존물은 머리에 커다란 사각형 갓을 쓰로 있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얼굴이 신체에 비해 큰 편이며 몸체는 조형미가 없는 편이며 신체만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옆에 있는 보살상도 본존불과 비슷한 형태이다. 고려시대 지방호족들을 중심으로 조성했던 거대 석조불상들과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9<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2<옆에서 본 모습>

석탑(보물)은 그 형태가 온전히 남아 있지 않고 투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기단부는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간단하며 탑신 몸돌은 1층만 남아 있고 2층부터는 지붕돌만 있다. 탑신 몸돌에는 1면에는 출입문을, 다른 3면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세부적인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조형미는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중기 석탑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10<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3<뒷편에서 본 석탑>

석가여래삼존입상 뒷편에는 고려시대 매향의식을 했던 내용이 적혀 있는 큰 바위가 있다.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4<안국사지 매향암각>

안국사지 매향암각
불상 후면에 있는 매향암각은 모양이 배(舟)같이 생겨서 ‘배바위’, 고래모양이라 하여 ‘고래바위’ 또는 베틀에 딸린 북모양ㅇ이라 하여 ‘북바위’ 등으로 불린다. 바위에는 매향의식(埋香儀式)을 치른 내용을 담은 명문이 새겨져 있다. 매향은 향나무를 땅에 묻는 민간 불교의식으로 향나무를 통해 소원을 비는 자와 미륵불을 연결되길 바라는 신앙의 한 형태이다. 이런 매향활동을 통해 고려시대 몽고와 왜구의 침입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지역민들이 불안한 민심을 달래고자 미륵신앙의 안식처로써 안국사를 선택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6<안국사지 절터에서 내려다 보이는 계곡>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7<사찰 전각으로 보이는 건물>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41<사찰 전각>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42<연못>

당진 안국사지 20230316_08<당진 안국사지 절터>

<출처>

  1.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4. 홈페이지, 당진시청, 2023년

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충남 당진시 정미면 안국사지 절터에 있는 석탑(보물)이다. 탑은 그 형태가 온전히 남아 있지않고 투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기단부는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간단하며 탑신 몸돌은 1층만 남아 있고 2층부터는 지붕돌만 있다. 탑신 몸돌에는 1면에는 출입문을, 다른 3면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세부적인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조형미는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중기 석탑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1<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3<기단부>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4<여래좌상이 새겨진 1층 몸돌(서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6<1층 몸돌(남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7<1층몸돌(서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8<문짝이 새겨진 1층 몸돌(북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5<지붕돌>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9<석탑 옆에 있는 다른 석탑의 몸돌>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1
<서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2
<북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3
<동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2<아래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10<위쪽에서 본 모습>

안국사는 안국산에 위치한 절터이다. 2003년 출토된 기와에서 요나라 연호가 적혀 있어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는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삼층석탑(보물), 맹향암각 등이 남아 있다. 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안국산에 안국사가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사찰에 내력에 대해서 알려진 내용은 없다.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11<당진 안국사지>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및 석탑, 보물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의 조성시기는 2003년 발굴조사시 출토된 태평(요나라 성종 연호) 명문기와로 보아 고려 현종 12~21년(1021~1030년)으로 추정된다. 중앙의 본존불은 얼굴과 몸이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고 머리에 네모난 갓 모양의 보개를 쓰고 있다. 두 팔과 두 손이 신체에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 있는 협시보살도 본존불과 같은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불상 하단의 석탑은 원래 5층일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1층에 1매의 몸돌만 남아 있고 그위에 4매의 지붕틀이 겹쳐져 있으며 받침부의 구조는 매우 간략하다. 1층 몸톨의 네 모서리에 기둥 형태가 표현되어 있고 3면에는 여래좌상, 1면에는 문고리형이 조각되어 있어 4면에 불상을 조각하는 기본 형식에서 벗어난 특이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불상과 석탑은 고려시대 충청도 지방에서 많이 나타난 양식으로 혼란기 백성들이 마을 공동으로 세운 것으로 거칠고 섬세하지는 않지만 종교적인 구원사상을 넘어 힘든 현실세계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한 지역공동체의 모습이 엿보인다.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4. 홈페이지, 당진시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