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chives: May 1, 2023

[이집트 기자(Giza)] 쿠푸의 배(Khufu Ship), 온전한 모습이 남아 있는 ‘태양의 배’

이집트 기자 대피라미드 동쪽에서 발견된 ‘쿠푸의 배(Khufu Ship)’이다. 1954년 구덩이에서 묻혔던 나무조각들이 발견되었으며 1968년 재조립되어 피라미드 옆 ‘태양의 배’ 박물관에서 전시되었다. 태양의 신 라(La)가 우주를 여행할 때 태양의 배를 이용한다는 신화에 따라 만들어진 배이다. 배가 발굴된 구덩이 외에 2개의 구덩를 대피라미드 옆에서 볼 수 있다.  ‘쿠푸의 배’는 2021년 이집트 대박물관으로 옮겨졌다.

SANYO DIGITAL CAMERA<쿠푸의 배(Khufu Ship)>

‘태양의 배(ancient Egyptian solar ship)’로 불리는 선박과 구덩이는 고대 이집트 유적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그중 유명한 것이 ‘쿠푸의 배’이다.  수천년전에 만들어진 배로 당시 나일강을 운행하던 선박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배는 물에서 사용된 흔적이 있어 시신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거나 쿠푸가 직접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SANYO DIGITAL CAMERA<쿠푸의 배>

배는 주로 레바논 삼나무 널판지로 만들었으며 예루살렘가시Paliurus spina-christi )나무도 사용되었다. 길이는 43.4m, 너비는 5.9m이다.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선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항해용으로 만든 것은 아니다. 

SANYO DIGITAL CAMERA<노가 있는 뒷부분>

SANYO DIGITAL CAMERA<끝부분>

SANYO DIGITAL CAMERA<아래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아래에서 본 모습>

대피라미드 동쪽에는 3개의 배모양 구덩이가 있다. 이 배는 대피라미드 옆 기반암을 깎아 만든 구덩이에 봉인되어 있었기 때문에 원형을 유지할 수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파라오가 사후세계를 여행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의 배’를 묻었는데 여러 곳에서 이런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다슈르 보트와 아비도스 보트가 유명하다.

SANYO DIGITAL CAMERA<전시된 ‘쿠푸의 배’가 발견된 구덩이>

SANYO DIGITAL CAMERA<’쿠푸의 배’가 발견된 대피라미드 동쪽 공간>

SANYO DIGITAL CAMERA<다른 구덩이(북쪽)>

SANYO DIGITAL CAMERA<다른 구덩이(남쪽)>

‘태양의 배’는 대피라미드 남쪽에 박물관을 지어 배와 함께 발견된 로프를 비롯하여 여러 유물들을 전시했었다. 2021년 8월 그랜드 이집트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SANYO DIGITAL CAMERA<대피라미드와 ‘태양의 배’ 박물관>

SANYO DIGITAL CAMERA<카프레의 피라미드와 ‘태양의 배’ 박물관>

SANYO DIGITAL CAMERA<’쿠푸의 배’ 모형>

SANYO DIGITAL CAMERA<쿠푸의 배>

SANYO DIGITAL CAMERA<정면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배와 함께 발견된 로프>

SANYO DIGITAL CAMERA<로프의 사용모습>

SANYO DIGITAL CAMERA<연결에 사용된 나무>

SANYO DIGITAL CAMERA<돌망치>

<출처>

  1. Khufu ship”,  Wikipedia, 2023년
  2. “Solar barque”, Wikipedia, 2023년

[이집트 기자(Giza)] 멘카우레의 피라미드(Pyramid of Menkaure)

이집트 카이로 기자 지구에 있는 멘카우레의 피라미드(Pyramid of Menkaure)이다. 기자의 피라미드 중 가장 작은 규모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피라미드에 비해 작은 규모이지만 건축양식이나 자재 등은 거의 비슷하여 이 피라미드를 통해 다른 피라미드의 건축방식이나 내부 형태 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내부에서 사람뼈가 있는 나무관과 현무암을 만든 석관 등이, 피라미드 앞 신전 유적에서는 조각상을 비롯하여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멘카우레는 이집트 4왕조 파라오로 카프레의 아들이자, 쿠푸의 손자이다. 약 22년 정도 통치했으며 비교적 평온한 시기를 보냈던 것으로 보인다. 백성들을 노고를 덜어주기 위해서 쿠푸나 카프레의 피라미드에 비해 상당히 작게 건설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실제로는 국력이 약해져 이전처럼 크게 지을 수 없는 당시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멘카우레의 피라미드(Pyramid of Menkaure)>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는 원래 높이가 65.5m(현재는 61m)이며 밑면은 108.5m이다. 부피는 쿠푸왕의 대 피라미드이 10%정도입니다. 크기는 작지만 세개의 피라이드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이 조형미를 만들고 있다.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외장재로 아스완에서 가져온 화강암과 투라 채석장에서 가져온 흰색 석회암을 사용했다. 바닥면에서 외장재로 사용한 아스완 화강암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다. 북쪽면에는 큰 수직홈을 볼 수 있는데 이는 1196년 이집트 술탄이 피라미드 철거를 시도했던 흔적이다. 피라미드의 철거는 건설만큼 어려운 일이어서 작은 흔적을 남기고 그만두어야 했다.

SANYO DIGITAL CAMERA<멘카우레의 피라미드>

SANYO DIGITAL CAMERA<아랫부분에 남아 있는 화강석 외장재>

SANYO DIGITAL CAMERA<피리미드 북쪽면>

640px-Menkaure_pyramid_scheme.svg<피라미드 내부, 위키백과, 2023년>

다른 피라미드와 마찬가지로 앞에는 장제전이 있으며, 동쪽 방향으로 돌로 포장된 경사로가 있다. 멘카우레 계곡 사원은 1908년에 발굴되었는데 멘카우레 조각상을 비롯하여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피라미드 남쪽에는 3기의 여왕의 피라미드가 있다.

SANYO DIGITAL CAMERA<피라미드 앞 장제전>

SANYO DIGITAL CAMERA<장제전 앞 경사로>

SANYO DIGITAL CAMERA<멘카우레의 피라미드와 여왕의 피라미드>

기자 피라미드군(Giza necropolis라고도 함)에는 고왕국 제4왕조(BC2613~BC2494)시기 파라오였던 쿠푸(Khufu), 카프레(Khafre), 멘카우레(Menkaure)의 무덤으로 알려진 3기의 피라미드가 남아 있다. 인류가 남긴 가장 크고 위대한 구조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피라미드와 함께 입구에는 대스핑크스(Great Sphinx)가 남아 있다.

SANYO DIGITAL CAMERA<이집트 기자 지구>

SANYO DIGITAL CAMERA<대스핑크스 부근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카프레의 피라미드 옆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카프레의 피라미드, 멘카우레의 피라미드>

SANYO DIGITAL CAMERA<아래에서 본 모습>

<출처>

  1. “멘카우레”, 위키백과, 2023년
  2. “Pyramid of Menkaure”,  Wikipedia,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