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정족산 사고(史庫)

정족산사고는 조선후기에 설치된 4곳의 외사고(外史庫) 중 하나이다.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지 않았던 원본이라고 할 수 있는 전주사고본을 인조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보관하던 곳이다. 정족산 사고는 실록과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서각과 왕실으로 족보인 선원보를 같이 보관하는 선원보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2층 누각으로 지어진 오대산사고나 전주사고와는 달리 정족산 사고는 창고 건물처럼 지어졌다. 전국적으로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정족산사고 또한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과 큰 전투가 있어 강화유수부에 보관하던 외규장각 도서와 같은 위험에 처할뻔 하기도 했다. 정족산성내에 있는 전등사는 사찰의 기능도 있지만, 오대산 월정사와 마찬가지로 사고를 지키고 관리하던 승병의 역할도 수행했던 사찰이다.

사고(史庫)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당대의 역사를 기록한 실록과 국가적으로 중요한 서적이나 문서를 보관하던 곳이다. 고려는 개국 직후부터 사관을 두고 실록을 편찬했으나 거란의 침입으로 모두 소실되었다. 이후 고종대인 1227년부터는 개경 이외에 해인사에 한부를 보관하였다. 조선은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개경에 있던 사고(史庫)를 한양으로 옮겨 춘추관(春秋館)으로 개칭하였으며, 충주에서 외사고(外史庫)를 두었다. 세종대에는 전란이나 화재 등에 대비하여 충주 외에 경상도 성주, 전라도 전주에 별도의 사고를 설치하였다.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를 제외하고 모두 소실되자 묘향산, 오대산, 태백산, 적상산의 4곳에 새로 사고를 설치하였다. 인조대에는 청나라 위협을 피해 묘향산 사고를 강화 마니산사고로 옮겨다가 이후 정족산성으로 옮겼다. 정족산 사고에 보관하던 문서들은 1908년부터 규장각 관할하에 두어 오늘날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관리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강화 정족산 사고. 임진왜란 이후 유일하게 피해를 입지 않은 전주사고에서 보관했던 실록을 비롯한 문서들을 이곳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임진왜란 직후에는 묘향산에 사고를 설치하였으나, 병자호란 이후 이곳으로 다시 옮겼다. 전국의 사고 중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여겨졌던 곳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그 터만 남아 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였다.

OLYMPUS DIGITAL CAMERA실록을 보관하던 건물인 장사각(藏史閣). 2층 누각형태를 하고 있는 전주사고나 오대산사고와는 달리 단층 건물로 지어졌다. 앞면 4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창고 형태의 건물이다. 습기 등으로 문서가 훼손되지 않도록 벽면 아래쪽에 환기구를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서고 출입문. 환기를 위해 헐겁게 만들었다.

OLYMPUS DIGITAL CAMERA조선왕조 실록(복제본). 정족산사고에는 원본이라고 할 수 임진왜란 당시 피해를 입지 않은 전주사고본 실록과 의궤들을 보관하고 있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명성황후 산릉 조성 의궤(명성황후 산릉 조성 의궤), 1895~98년, 정족산사고본

1895년(고종 32) 8월부터 1897년 11월까지 명성황후의 산릉을 조성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처음에는 동구릉 숭릉 옆에 ‘숙릉’이라는 능호로 산릉을 조성하다가 공사가 중단되었으나, 1896년 12월 다시 국장이 재개되었다. 1897년 고종이 능호를 ‘홍릉’으로 고치면서 다시 청량리로 산릉을 옮겼다. <출처:고궁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장사각 옆에는 앞면 3칸규모의 작은 건물이 선원보각(璿源寶閣). 이곳에는 왕실의 족보인 선원보를 보관하였다.

OLYMPUS DIGITAL CAMERA조선왕실 족보인 선원계보기략

OLYMPUS DIGITAL CAMERA사고 옆에 위치한 건물. 사고를 관리하는 관원들과 군사들의 거처하는 곳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정족산성을 지키며 사고를 수호하는 역할을 맡았던 전등사.

OLYMPUS DIGITAL CAMERA전등사에서 사고로 올라가는 길.

OLYMPUS DIGITAL CAMERA정족산 사고

정족산 사고,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임진왜란(1592)전에 실록을 보관하였던 사고는 내사고인 춘추관과 충주.성주.전주 등 3개의 외사고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만이 화를 면하고 모두 소실되었다. 그후 임란의 병화를 피한 전주사고본이 한양에서 가까운 강화로 옮겨져 선조 39년(1606) 4월 복인 작업을 완료하고 전주사고본인 원본은 마니산사고로에 나머지 4부는 춘추관.태백산.묘향산.오대산사고에 봉안되었다. 마니산사고는 병자호란의 피해와 효종 4년(1653) 11월 사각의 실화사건으로 삼랑성내 정족산사고가 건립되어 이안 봉안되어 왔으나, 1910년 일제에 의해 국토가 강점되면서 정족산사고본은 태백산 사고의 실록 및 규장각 도서와 함께 조선 총독부 학무과 분실에 이장되었다가 1930년 경성제국대학으로 옮겨진 후 광복과 함께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되어 오고 있다. 정족산사고는 1931년 전후에 파손되어 빈터에 주춧돌만 남아 있던 것을 1999년 강화 문화권 사업으로 복원.정비하였다. <출처:강화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