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임하마을, 임하댐 아래 자리잡은 양반들의 세거지

안동시 임하면 임하댐 아래에 위치한 임하마을이다. 임하현 관아가 있던 곳이라해 현내(縣內)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마을은 동쪽 영양과 청송의 산악지역에서 흘러내려온 반변천이 비교적 넓은 들판이 있는 안동지역과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큰하천이 들판과 만나는 비교적 물이 풍부하여 농사짓기에 좋은 곳으로 양반들이 터를 잡고 살았던 세거지의 조건을 잘 갖춘 곳이다.  마을은 여러 집들이 모여있는 작은 동네들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다. 이웃 천전마을 출신인 의성김씨, 안동권씨와 단양우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인근에 있는 조선시대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과 함께 조선시대 양반들이 터를 잡았던 세거지의 구성, 다양한 형태의 한옥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는 안동권씨 종택에 해당하는 이우당 종택(二愚堂宗宅)을 중심으로 지금은 낡았지만 규모가 있는 오래된 한옥들이 많이 남아 있다. 전통마을답게 서원에 해당하는 사빈서원, 재실에 해당하는 송석재사, 후학을 양성하던 운곡서당과 정자인 백운정 등이 있다. 또한 임하댐 건설로 수몰된 임동면 지례마을에서 옮겨온 고택인 오류헌, 양동댁, 국탄댁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위치한 임하마을. 남쪽에 낮은 산들이 구릉을 형성하고 있고 북쪽에 반변천이 굽이쳐 흐르는 배산임수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마을은 안동권씨 종택에 해당하는 이우당 종택을 중심으로 작은 마을들이 흩어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중심부에 위치한 이우당 종택. 이 집은 이우당 권환이 천전마을에 장가들면서 터를 잡은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이우당 종택은 조선중기 인조대(1640년 경)에 처음 지어졌다. ‘ㅁ’자형 안채와 바깥으로 돌출된 사랑채, 문간채, 불천위 조상을 모신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처음부터 있었으며 사랑채은 이후에 새로 지은 것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이우당 종택에서 본 들판과 마을. 비교적 넓은 편이며, 농지 주위로 작은 마을들이 들어서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서쪽 끝에 위치한 고택인 국탄댁(菊灘宅). 원래 임동면 지례마을에 있던 것을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국탄 김시정이 조선 영조 33년(1757)에 분가를 하면서 지은 집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작은 공원을 조성한 마을 중심. 이우당 종택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마을창고 비슷하게 생긴 공공건물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중심부 부근 논밭에 남아 있는 임하동동삼층석탑. 마을에는 이 석탑을 비롯하여 4기의 석탑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 이곳에 큰 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뒷편에 남아 있는 한옥. 앞면 4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재실로 보이는 건물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리에서 가장 많은 집들이 모여 있은 동쪽편. 이 마을에는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상당히 큰 규모의 한옥들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고, 교회를 비롯한 주요 시설들 또한 이곳 주변에 모여 있다. 언덕 뒷편으로 사빈서원이 있고, 지금은 호수로 변한 반변천과 연결된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중심부 마당에 고목이 있는 집.

OLYMPUS DIGITAL CAMERA주변에는 낡았지만 한옥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집들을 많이 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입구에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의 한옥. ‘∏’자형 안채와 ‘-’자형 사랑채가 합쳐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중문이 있는 사랑채는 앞면6칸 규모로 문화재로 지정된 국탄댁보다 큰 규모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이 집 안채. 지금은 많이 고쳐서 오래된 시골집처럼 보이지만 권문세가가 살았던 대저택과 비슷한 규모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면 건물은 아주 낡았지만 상당히 큰 규모의 한옥들을 계속 볼 수 있다. 양반 일족들이 모여살았던 세거지였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안쪽에 있는 또 다른 한옥. 수리를 하지 않아 담장이 허물어지고 집도 상당히 낡아보지만 전체적인 규모나 건물 배치 등으로 볼 때 상당히 큰 규모의 저택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또 다른 한옥. 사랑채와 안채가 ‘ㅁ’자 배치된 중간규모의 한옥이다. 수리하는 과정에서 원래 모습이 많이 바껴서 낡은 시골집처럼 보이지만, 중문 양쪽에 1칸씩 온돌방을 두고, 왼쪽끝에 마루가 있는 제대로 된 한옥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안쪽에 있는 한옥. 일제강점기 이후 볼 수 있는 개량한옥처럼 사랑채에 유리문을 달았다. 사랑채 건물 또한 앞면 4칸으로 비교적 큰 규모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뒷쪽에 있는 오류헌(安東 五柳軒)

OLYMPUS DIGITAL CAMERA이 집은 임동면 지례마을에 있었는데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영남 4대 길지 중 한곳인 천전마을 의성김씨 일가인 김원중이 1678년 분가할 때 세웠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반변천을 건너 마을입구에서 본 임하마을

OLYMPUS DIGITAL CAMERA마을 앞을 굽이쳐 흐르는 반변천.

<참조>
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