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감 임하댐, 반변천을 막아 조성한 다목적댐

임하댐은 안동댐과 함께 낙동강 중.상류지역의 안정적인 수자원공급과 홍수조설을 위해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에 세워진 다목적댐으로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댐은 높이 73m, 길이 515m, 총저수량 595,000,000㎡의 규모이며, 유역면적인 1,461㎢에 이른다. 조정지댐은 높이 10m, 길315m이다. 임하댐은 1984년 착공하여 1992년에 준공하였다고 한다. 댐건설로 안동시 임동면을 비롯하여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

임하댐 건설로 조성된 임하호(臨河湖)는 국내 호수 가운데 8번째로 큰 규모이며, 안동에서 영덕과 청송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인 34번국도가 지나가고 있다. 임하호에서 저장된 용수는 하루 40만t 규모로 금호강 상류 영천댐으로 공급되어 포항지역의 공업용수와 영천지역의 농업용수로 사용된다고 한다. 임하댐 상류지역에서 흘러내려오는 붉은 토사때문에 흙탕물처럼 보일때가 많다. 임하호 주변지역은 예로부터 물이 풍부하고 농지도 많은 편이어서 사람이 살기에 좋은 땅이다. 의성김씨 세거지인 영남4대 길지 중 한곳으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수몰된 지례마을 한옥 등을 옮겨놓은 지례예술촌을 비롯하여 양반들이 살았던 고택들과 전통마을들이 아직도 주변에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소재한 다목적댐인 임하댐. 계곡을 막은 높이 73m의 사력댐과 홍수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최근에 건설한 보조여수로가 보인다. 임하댐은 경북북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곳의 물은 도수로를 통해 영천댐으로 보내져서 포항지역 공업용수와 영천지역 농업용수로 사용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과 주변지역. 안동지방 권문세가였던 의성김씨가 터를 잡고 살았던 천전마을과 임하마을이 댐아래에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들어가는 길.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광장의 조형기념물.

OLYMPUS DIGITAL CAMERA기념관처럼 보이는 건물. 예전에는 관광객이 많이 찾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찾는 사람이 거의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은 높이 73m, 길이 515m의 사력댐으로 암석과 점토를 쌓아서 만들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댐 아래에 보이는 보조여수로.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개요.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안쪽.

OLYMPUS DIGITAL CAMERA임하호 전경. 댐이 건설되면서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고 한다. 임하호 주변에는 옛 양반들이 살았던 고택들이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공원으로 옮겨 놓은 호계서원. 원래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은 와룡면 도곡리에 있었던 것을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체육공원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을 지난 반변천은 임하마을천전마을을 거쳐 안동시내에서 낙동강 본류와 합류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마을 입구에서 본 임하댐 주변.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마을을 지나서 천전마을로 흐르는 반변천. 조정지댐이 있어 작은 호수를 이루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천전마을 개호송 숲 부근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조정지댐. 높이 10m, 길이 315m 규모이다.

<참조>
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