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경덕진요(景德鎭窯)를 비롯한 중국의 유명 가마들

당말과 오대십국을 거치면서 송대에는 자기를 대량생산하는 유명한 가마들이 생겨났으며, 일상생황용품으로 사용된 자기를 제작하는 등 중국 도자기의 전성기를 이룬다. 북방지역에서는 백자계통을, 남방지역에서는 청자계통의 도자기를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주요 가마로는 북방지역의 정요, 요주요, 여요, 균요, 자주요 등이 있고, 남방지역에서는 월주요, 용천요, 건요, 길주요, 경덕진요가 있다. 명대 이후에는 청화백자와 채색자기를 대량생산했던 경덕진요가 중국을 대표하는 곳으로 부상하였으며, 서양의 도자기 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오대십국 중 하나인 오월(吳越)의 월주요(越州窯)에서는 고려청자에 큰 영향을 ‘비색청자(秘色靑瓷)’를 만들었으며, 경덕진요(景德鎭窯)에서는 청자와 백자의 멋이 어우러진 청백자를 만들었다. 이외에 전국의 유명 가마들에서는 백자, 청백자, 천목, 황유철회자기 등 다양한 자기를 만들었다. 또한 대외무역을 국가적으로 장려하여 송나라에서 만든 도자기들은 일본,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세계로 수출되었다.

가요(哥窑), 송대에 있던 5대 가마 중 하나로 청자의 고향이라 할 수 있는 저장성 용천요(龙泉窑) 중 한 곳인다. 용천요는 장생일.장생이 형제가 만든 가요(哥窑)와 제요(弟窑)가 있다. 가요는 유약에 잔금효과(균열무늬)가 있는 검은색 자기이며, 제요는 매끄럽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용천에서 만든 청차의 빛갈은 옥(玉)과 같은 빛깔을 내어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가요에서 만든 접시(哥窑盘, 송)

균요(钧窑)는 균주(钧州)라 불렸던 허난성 동북부지방의 가마트를 말한다. 청색 또는 자색을 띤 자기를를 만들었는데, 유약에 재(灰)를 섞어 투명도를 낮게 한 청자이다. 북송말부터 금.원에 걸쳐서 만들어 졌으며 많은 곳에서 가마터가 발견되었다. 정요(定窑)와 함께 화북지방 도자기의 중심지가 되었다.

균요에서 만든 바리(钧窑钵), 금

균요에서 만든 고리달린항아리(钧窑紫斑系罐), 원

균요에서 만든 국화그림접시(钧窑辨菊盘, 금)와 주발(钧窑盂, 금)

균요에서 만든 접시(钧窑盘, 금)와 화로(钧窑炉, 금)

정요(定窑)는 중국 송대 5개 가마 중 하나로 백자를 만들었던 곳이다. 당나라말기부터 송대까지 상아와 같은 백자를 만들어 궁중에서도 사용했다고 한다. 가마터는 허베이성 곡양현 일대에 있다. 금.원대에 장인들이 강남으로 이주하면서 문을 닫았다고 한다.

꽃무늬가 새겨진 그릇

꽃무늬주발(定窑印花碗, 송,왼쪽) 꽃무늬백유접시(白釉印花盘, 송,오른쪽)

1.꽃무늬백유접시(白釉印花盘,송), 2. 꽃무늬주발(定窑刻花碗,송), 3.꽃무늬주발(定窑刻花碗,북송), 4.꽃무늬백유접시(白釉刻花盘,송),

정요(定窑)
정요는 송대 오대 명요의 하나로 지금의 허베이성 취양현 일대에 위치하며 취향현이 송대 정주에 속했기 때문에 정요라 한다. 당대부터 원대까지 도자기를 생산하였다. 당대에는 백자만 생산하였으며, 송대는 백자를 주로 생산하면서 흑유, 갈유, 녹유 자기도 생산하였다. 북송 후기 도범을 이용한 인화기법이 등장하여 태토가 마르기 전에 접시나 대접의 내부에 도범을 이용해 무늬를 시문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경덕진요(景德镇窑)는 도자기를 생산했던 중국의 많은 가마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곳으로 장시성(江西省) 동북부 창강(昌江) 남부 부량현(浮梁縣)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남북조시대부터 시작하여 당대에는 백자를 만들었다. 송대에 경덕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우수한 백자가 만들어졌는데 그 중 청백자(靑白瓷)가 유명하다. 원대에는 청화백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백자가 만들어졌다. 명대에는 관요(官窯)가 설치되었으며 명말청초에는 이곳에서 만든 자기들에 세계각철 대량 수출되어 중국을 대표하는 생산품이 되었다.


청백유혼병(靑白釉魂瓶, 송)

1,2.청백유분합(靑白釉粉盒. 송),

3.청백유매병(靑白釉梅瓶,명), 4.두귀달린청백유병(靑白釉双耳瓶원), 5.청백유주전자(靑白釉莲辨执壶,원), 6.청백유항아리(靑白釉暗花玉壶春瓶,원)

1.청화유굽다리잔(靑白釉高足盃,송), 2.청화유꽃무늬굽다리잔(靑白釉暗花高足盃,송), 3.청백유접시(靑白釉盘,송), 4.청백유꽃무늬접시(靑白釉花口盘,남송), 5.추부유접시(枢府釉盘,원), 6.청백유꽃무늬접시(靑白釉花口盘,송)

백유항아리(白釉罐,명)

경덕진요(景德镇窑)
경덕진요는 장시성 경덕진에 위치하며, 오대부터 청자와 백자를 생산하였다. 청백자를 대량생산하기 위해 정요의 엎음 포개구이 기법을 사용하여 원대에 경덕진요는 중국 전체 자기 생산의 중심지가 되었다. 원대에는 청와, 유리홍 등이 제작되고 명.청대에는 투채, 오채, 분채, 법랑채 등의 채색자기가 제작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자주요(磁周窑)는 하북성(河北省) 한단시(邯鄲)에 위치한 가마로, 송.금.원대 민간에서 선호한 자기들 생산하였으며 현재까지 민간용 자기를 만들고 있다고 한다. 자주요에서는 백유(白釉)를 많이 만들었고 흑유, 녹유, 삼채 등도 만들었다. 장식기법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음양각(陰陽刻), 가채(加彩) 등을 사용했다. 다양한 문양과 함께 자유롭고 소탈한 조형미를 보여준다.

어초무늬백유그릇(白釉黑花鱼樵紋盆,송)

1.꽃무늬백유완(白釉黑花”花”字紋碗,금), 2.꽃무늬백유완(白釉黑花碗,금)

3.꽃무늬백유완(白釉黑花碗,금), 4.꽃무늬백유완(白釉黑花”兰”字紋碗,금)

5.꽃무늬그릇(白地黑花文字盆,송), 6.백유접시(“雲月”白釉盘,금)

유적유소완(油滴釉小碗,송,왼쪽), 토호잔(兔毫盏, 송,오른쪽)

자주요(磁周窑)
자주요는 송.원대 대표적인 민요로 허베이성 츠현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주요의 특징은 흰 바탕에 검은 선으로 그림을 그리는 백지흑화 장식기법이며, 허난 성, 산시 성 등에서도 제작되었다. 자주요의 도자기는 일반 서민들이 사용하던 생활용품이다. 자주요의 태토는 정요백자와는 달리 거칠고 조잡하여 짙은 색을 띤다. 기형은 접시, 대접, 병, 항아리, 베개 등이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도자기 표면을 장식하는 방법으로 각화(刻花,유약 밑의 바당에 문양을 새기는 것으로 새긴면이 깊어 고부조가 된 것을 말한다.) 각전화(刻填花, 칼로 그림을 새기는 기법), 첩화(贴花 반죽이 잘된 흙을 이용하세 손으로 붙이는 것고 틀에서 찍어낸 무늬를 바르는 방법. 서양의 부조와 비슷한 기법이다.), 전지첩화(剪紙贴花,종이를 잘라 문양을 불이고 기법이다. 도자기를 구울떄 종이를 붙인 부분에 유약이 색깔이 다른게 나타나 문양이 만들어진다.), 인화(印花, 바닽에 무늬를 찍는 기법),척화(剔花), 진주지획화(珍珠地划花) 등이 있다.

송자주요등(宋磁周窯灯)

1.장화백유항아리(白釉酱花缸,원),2. 송학도흑화항아리(松鹤图黑花罐,명),3.백유화로(白釉炉,송), 4.동물다리백유화로(白釉三兽足双耳炉,북송)

꽃무늬백유항아리(白釉黑花罐,원)

4개의 고리가 있는 꽃무늬백유병(白釉黑花四係瓶,원, 왼쪽), 4개의 고리가 있는백유병(白釉四係瓶,원,오른쪽)

꽃무늬가 있는 백유척화매병(白釉剔花梅瓶,금), 꽃무늬백유병(白釉黑花瓶,원)


꽃무늬가 있는 매병(珍珠地划花梅瓶,송)

요주요(耀州窑)는 산시성(山西省) 동천시(銅川)이 부근에 있던 가마이다. 송대에 문양이 이씨는 청자를 만들었다. 금대에는 황갈색 유약을 칠한 자기를 구웠다. 용천요와 비교해서 북방청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물무늬향로(耀州窑兽紋香炉,금)

꽃무늬청유완(耀州窑靑釉刻花碗,송,왼쪽), 꽃무늬청유완(耀州窑靑釉模花碗,송,오른쪽)

요주요
요주요는 산시성 통촨 일대에 위치하며 당대 요주에 속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당대부터 원대까지 700년간 자기를 제작하였다. 당대에는 흑자, 백자, 청자를 생산했고 송대에는 주로 청자를 제작했다. 도공이 조각도를 다루는 솜씨가 매우 세련되어 새김무늬, 찍음무늬 등 선이 섬세하고 사용된 소재가 다양하다. 주로 소반, 대접, 병, 향로, 잔 등을 제작했다. <출처:중앙박물관>

용천요(龙泉窑)는저장성(浙江省) 부근에 있던 중국 최대의 청자가마이다. 북송대에 생겨 금,원때에 크게 흥성했다가 명대 정덕진에 밀려 쇠퇴하였다. 중국사람이 좋아하는 옥과 같은 빛을 내며 일본,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세계로 수출되었다.

꽃무늬병(龙泉窑暗花五管瓶,송)

청유어찬(龙泉窑靑釉鱼竄,명)

청유완(龙泉窑靑釉碗,명), 꽃무늬병(龙泉窑靑釉暗花瓶,원), 세발청유화로(龙泉窑靑釉三足炉,원)

팔괘무늬세발청유화분(龙泉窑靑釉八卦三足花盆,명)

팔괘무늬세발청유대야(龙泉窑靑釉八卦紋三足花洗,명)

꽃그림대야(龙泉窑靑釉暗花大盘,명)

아름다운 빛깔의 명품 청자의 대명사 ‘용천요(Longquan kiln)’
용천요는 중국 저장성 서남부 룽취안에 위치하고 있다. 영어로 청자색을 뜻하는 ‘셀라돈(Celadon)’이 바로 이 용천요의 청자에서 유래되었을 만큼, 용천요는 아름다운 청자의 대명사로 통한다. 용천요의 뛰어난 청자 빛깔을 흔히 ‘분청’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남송관요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유약을 여러번 발라 옥과 같은 청아한 질감을 느끼게 한다. <출처:중앙박물관>

중국의 주요 가마터와 도자기<출처:중앙박물관>

흙의 신비 – 중국 도자
도자기는 점토를 빚어 기형을 만들어 유약을 바르고 13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것을 말하는데, 중국은 상나라때 이미 청자의 전신이 회유도가 제작되었다. 또한, 동한 말기에 원시청자인 녹유도자가 저장성에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당나라 때 도자기보다 낮은 온도에서 구운 화려한 삼채가 제작되며 송나라는 도자의 황금기를 맞게 된다. 각 지역에서 특색을 살린 유명한 가마들이 생겨나는데 주로 남방에서는 청자, 북방에서는 백자를 생산하여 외국과의 교역에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원.명대에는 전국의 기술자들이 경덕진에 모여들었고, 청화백자 등 다양한 종류의 자기를 생산하였다. 특히 명대에는 경덕진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법의 채색자기가 만들어지고 청대의 강희, 옹정, 건륭 연간에 걸쳐 그 기술이 현저하게 발전되어 다양한 종류의 채색자기를 생산하게 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중국 산동성박물관
2. 실크로드 사전, 정수일 편저, 창비
3. 미술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