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13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靑磁陰刻牡丹文梅甁, 보물)”이다. 상감기법으로 위쪽에 보자기무늬가 새겨져 있어 정식명칭은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靑磁陰刻牡丹象嵌襆紗文有蓋梅甁)”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가리 주위로 정사각형 보자기를 엎어두고 있는 것처럼 상감양식으로 보자지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몸통에은 4면에 모란꽃과 모란잎, 구름무늬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비교적 고른 태토에 청회색계통의 유약을 입혔는데, 전북 부안군 가마터에서 출토된 청자 파편들과 비슷하다 한다.

매병(梅甁)은 고려시대에 많이 볼 수 있는 청자의 형태로 인삼주나 매화주 같은 고급술을 담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 11세기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15세기경까지 널리 만들어져 사용되었다고 한다. 풍만한 어깨, 작게 오므린 입, 몸체 하부까지 연결되는 볼륨감있는 몸매를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곡선미가 특징이다.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보물)>

. 고려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던 곡선미를 자랑하는 매병이다. 실제로 사용했던 것처럼  위쪽에 보자기무늬를 상감기법으로 장식하고 있다. 보자기를 기준으로 4면에 모란무늬를 음각으로 새겨놓고 있다.

아가리 주변을 장식하고 있는 보자기모양 무늬.

매병 뚜껑을 닫을때 사용하는 보자기를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모란무늬를 새겨놓은 1번째 면.

모란꽃과 모란잎을 음각으로 새겨놓고 있다. 허리 아래에는 물결 분위기의 구름무늬가 있다.


2번째 면


3번째 면


4번째 면.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 보물,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중앙박물관)
매병은 뚜껑을 덮을 때 몸통과의 마찰로 인한 파손 위험을 줄이고 장식효과를 더하기 위해 아마도 어깨 위에 수를 놓은 보자기를 덮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고자 목을 중심으로 네모반듯한 보자기를 씌운 것 같은 무늬를 상감하였다. 상감은 어깨 부분의 보자기 무늬에만 넣었고, 중간 부분 아래에는 음각 기법으로 모란을 나타냈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중앙박물관
4.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