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동궁, 세자 서연(書筵)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궁궐에서 정전 동쪽에는 세자가 거처하는 동궁(東宮)이, 서쪽에는 국왕을 가까운 곳에서 보필하는 관청들인 궐내각사가, 뒷편에는 국왕의 업무공간인 편전과 생활공간인 침전이 자리하고 있다. 창덕궁에서는 편전과 침전이 정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궁은 편전인 희정당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동궐도 동궁영역에는 생활공간인 중희당을 중심으로 세자의 교육을 위해 서연(書筵)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그리고 부속 건물과 행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동궁 동쪽으로는 지금은 부속건물로 보이는 중국풍 건물인 칠분서.삼삼와, 승화루, 서고와 상량정 등이 있고, 그 앞에는 사대부 저택의 형식으로 지은 낙선재가 있다. 이들 건물들은 동궐도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대부분 구한말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성정각은 사대부 저택의 사랑채나 별채처럼 지은 건물로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경연이나 서연같은 모임을 갖기에 좋은 곳이다. 온돌방과 대청마루가 있는 건물에 넓은 누마루를 달아내어 놓고 있다. 성정각 앞에는 일제강점기 순종을 위해 내의원이 있었기때문에 내의원건물로 알려지기도 했다. 성정각 뒷편에는 앞면6칸의 관물헌이 있는데 서원이나 향교의 강당건물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가운데 2칸은 대청마루, 양쪽에 2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는 구조이다. 조선후기 국왕들이 경연을 여는 장소로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동궁은 조선시대 왕세자가 거처하는 영역을 말하며 경복궁 정전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동궁이라 부른다. 선의 법궁이었던 경복궁의 건물 배치에 따른 것으로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소실된 이후 창덕궁이 법궁 역할을 하면서 국왕의 집무공간인 선정전과 희정당 동쪽편에 자리잡게 되었다.  창덕궁 동궁 건물은 전체가 남아 있지 않고 지금은 왕이 경연(經筵)을 열거나 동궁이 선생님을 모시고 공부하는 서연(書筵)을 열던 성정각과 관물헌, 세자가 공부하던 중국풍 건물인 칠분서와 삼삼화 등의 부속건물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동궐도에 표현되어 있는 동궁영역, 조선후기에 그려진 동궐도에는 주변에 있는 낙선재 등이 건물은 표현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각 건물들 또한 현재의 위치나 모습과는 조금씩 다르게 보인다. 세자가 서연(書筵)을 열던 성정각이 보이고 뒷편에 지금은 남아 있지 않은 세자 가족의 생활공간이었던 중희당(重熙堂)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성정각 출입문인 영현문. 동궁은 궁궐 건물 형식을 하지 않고 일반 사대부 저택의 솟을대문을 하고 있다. 이는 권좌에 오르지 않은 세자의 지위를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성정각은 동궁에 속한 건물로 세자가 학문을 연마하던 곳이다. 건물은 앞면 6칸, 옆면 2칸의 건물이다. 왼쪽 1칸은 온돌방,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 오른쪽에는 누마루 형태로 누각이 돌출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왕세자 교육을 담당하던 ‘춘방’ 현판(1829년),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자시강원에 걸었던 편액으로 효명세자가 글씨를 썼다. 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서연(書筵)이라고 하며 세자시강원이라는 관청에서 담당하였다. 서연은 일반적인 학문 뿐 아니라 일반 정치에 대해서도 논했으며, 시강원 책임자는 세자의 스승으로 차기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시강원 관원 또한 중요한 요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자시강원을 ‘춘방’이라고 하는데 창경궁 궐내각사에 위치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성정각 내부. 가운데 4칸은 넓은대청마루와 1칸짜리 온돌방으로 이러어져 있으며, 주로 이곳에서 경연이 열렸던 것으로 보인다. 성정각은 약간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어 오가는 사람들의 모습과 주변 경치를 볼 수 있도록 앞쪽에 툇마루를 설치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통로 역할을 하는 대청마루 앞 마루. 누각과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성정각은 동궁에 속한 건물로 겹처마, 익공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단청을 칠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성정각 오른편에는 사대부 사랑채나 정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누마루를 세워 놓고 있다. 앞면 1칸 옆면 3칸의 건물로 하늘로 날아오르는 듯한 형태를 하고 있다. 남쪽에는 보춘정(報春亭), 동쪽에는 희우루(喜雨樓)라고 현판을 달았다. 여름 동안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경연이 열리거나 손님을 맞는 장소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누마루

OLYMPUS DIGITAL CAMERA 영현문과 행각. 행각은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였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성정각 마당

OLYMPUS DIGITAL CAMERA 영헌문 동쪽편 언덕에는 한때 내의원으로 사용된 건물을 볼 수 있다. 원래 성정각은 동궁에 속한 건물인데, 일제강점기 순종이 창덕궁에 머물면서 이곳에 내의원을 두었다고 한다.  ‘調和御藥’(조화어약), ‘보호성궁’(保護聖躬)이라는 편액도 보이는데 정조의 어필이라고 한다. 이곳으로 내의원을 옮길 때 같이 옮겨진 것이라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누마루 동쪽편 마당.

OLYMPUS DIGITAL CAMERA성정각 뒷편 관물헌. 이건물은 서원이나 향교의 강당과 비슷한 형태의 건물이다. 이곳에서 주로 세자의 교육을 위한 서연(書筵)이 열렸으며, 국왕이 주최하는 경연(經筵)도 이곳에서 열렸다고 한다. 특히 이곳은 1884년 갑신정변 때 김옥균 일파가 고종을 옹위하고 청나라 군대와 맞섰다고 한다. 창덕궁 내에서도 협소한 건물로 언덕에 위치하고 있어 청군의 공격을 방어하기 좋은 위치하고 있다. 고종이 김옥균의 만류를 뿌리치고 민비가 있던 북관왕묘로 돌아감으로써 갑신정변은 삼일천하로 끝났다. 가운데 2칸은 대청마루, 양쪽에 2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는 구조이다. 관물헌에는 고종이 13세때인 1864년에 쓴 집희(緝熙)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관물헌은 동궁에 속한 건물이지만, 일반 사대부집과 비슷하게 편안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어서 그런지 조선후기 국왕들이 경연을 여는 등 편전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관물헌 내부

OLYMPUS DIGITAL CAMERA가운데 2칸은 대청마루, 양쪽에 2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는 구조이다. 관물헌에는 고종이 13세때인 1864년에 쓴 집희(緝熙)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관물헌은 동궁에 속한 건물이지만, 일반 사대부집과 비슷하게 편안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어서 그런지 조선후기 국왕들이 경연을 여는 등 편전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관물헌 왼편에는 온돌방에 불을 때는 아궁이가 있고 아궁이 위로 서적 등을 보관하는 다락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관물헌 뒷편 굴뚝

SANYO DIGITAL CAMERA편전인 희정당과 침전인 대조전에서 동궁으로 연결되는 작은 출입문

OLYMPUS DIGITAL CAMERA관물헌 동쪽 출입문. 동궁에 속했던 큰 건물인 중희당과 동궁 부속 건물들과 연결되는 출입문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동궁에서 세자 가족의 생활공간이었던 중희당과 행각 건물들은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창덕궁 후원으로 연결되는 큰 길로 바뀌었다. 관물헌 뒷편 오래된 고목이 오랜 세월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낙선재 화계 뒷편에는 칠분서, 삼삼와, 승화루와 중국품의 육각형 정자인 상량정이 있다. 이들 건물들은 낙선재 뒷편에 있기는 하지만, 원래는 세자가 거처하는 동궁에 속한 건물들로 서적 등을 보관하고, 학문을 논하던 건물이라 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동궁이었던 성정각 동쪽편에 위치한 중국풍 건축양식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칠분서와 삼삼와를 볼 수 있다. 이 건물들에 대한 설명은 없지만 경복궁 후원에 고종의 서재로 지은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과 건물형태나 성격이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들 또한 동궐도에는 나타나지 않는 건물로 구한말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치가 좋은 언덕에 위치한 승화루. 승화루는 정조대에 세자를 위한 동궁으로 중희당을 건립하면서 규장각과 비슷한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세워졌는대 원래 이름은 소주합루였다. 소주합루는 헌종대에 낙선재가 세워지면서 ‘승화루’로 개명되었고 규장각처럼 도서를 소장하는 서고 역할을 했다. 승화루에는 실제로 많은 책들과 서화가 소장되어 있었다.

OLYMPUS DIGITAL CAMERA 낙선재 뒷편 칠분서.삼삼와.승화루 동쪽편에는 책을 보관하던 서고와 중국풍의 정자건물인 상량정이 위치하고 있다. 지금은 이 영역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 2009년 성정각 일원

창덕궁 동궁영역
현재 후원으로 가는 넓은 길에 큰 건물인 중회당이 있었고 이 일대가 왕세자의 거처인 동궁이었다. 순조의 장남인 효명세자가 대리청정 때 주로 기거하면서 정궁으로 쓰던 곳이기도 했다. 동궁에는 많은 건물들이 있었는데, 육각 누각인 삼삼와, 그 옆의 칠분서 그리고 승화루는 복도로 연결되어 서고와 도서실로 사용되었다. 성정각은 세자의 공부방이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왕가의 내의원으로 쓰였으며, 단층의 몸체에 중층의 날개채가 직각으로 붙은 독특한 모습이다. <출처:문화재청>


크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