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입사기법으로 만든 금속공예품

입사(入絲)는 동, 철 등의 금속에 선이나 홈을 파서 금, 은, 동 등 다른 금속을 채워 넣는 기법으로 상감(象嵌)이라고도 부른다. 금속공예의 장식기법으로는 주조, 단조, 새김 등 다양한 기법이 있는데 그 중 가장 화려하면서도 발달된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발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입사기법은 기원전 3000년 경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생겨났으며 사산조페르시다와 이슬람에서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 전국시대 청동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선으로 표현하는 입사방식을 사용하다고 통일신라시대에 얊은 판을 사용한 입사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입사기법을 만든 유물로는 백제 근초고왕이 일본에 전해주었다는 칠지도(369년)을 들 수 있으며, 삼국시대 환두대도, 마구(馬具) 등을 장식하는데 입사기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는 향완, 정병 등 불교공예품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화로, 촛대, 담배합 등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생활용품을 장식하는데도 많이 사용되었다.

칼자루(삼국시대 가야, 전북 남원군 야영면 월산리 출토).

삼국시대 가야에서 만든 칼자루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상당히 수준높은 금속가공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병(金銅銀入絲甁, 통일신라),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금동으로 만든 병으로 은실로 무늬를 만들어 장식하고 있다.

단지 (통일신라,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입사기법을 사용해서 만든 단지이다. 입사기법이 아주 빠른 시기에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가풍경무늬 정병(국보).

물가의 풍경이 은입사기법으로 그려져 있다고 해서 물가무늬정병이라고 불리는 정병이다.   원래는 어두운바탕에 하얗게 반짝이는 은선이 도르라져 보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지금은 청동이 부식되어 초록색으로 덮여있으며 은선도 녹이 슬어 검은색을 띠고 있지만 나름대로 독특한 색감과 조형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물가풍경무늬 정병(고려 12세기, 국보)
0.5㎜ 굵기의 은실로 버드나무와 갈대, 오리 등 물가풍경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정병이다. 몸체의 앞, 뒤에는 버드나무를 중심으로 갈대가 솟은 섬과 오리, 기러기, 배를 타거나 낚시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은입사로 표현되었는데, 푸른 녹과 어우러져 한층 더 아름답게 보인다. <출처:중앙박물관>

물가무늬 풍경

버드나무와 물위를 한가로이 오가는 오리와 하늘을 나는 새들이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을 장식한 것을 말하며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라고 한다. 고려시대 금속제 정병이나 청동향완, 도자기 등에 많이 쓰였던 무늬이다. 이런 무늬를 그린 정병은 다양한 형태로 많이 만들어 경우가 많다고 하며, 아마도 중국 남조 도교의 영향이 들어간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고려시대 은입사 방식을 사용하여 만든 정병.

물가무늬 풍경을 비롯하여 당시 지배계층이 선호했던 도교적인 산수화풍의 그림이 표현되어 있다.

정병(고려).

물가풍경무늬가 은입사기법으로 표현된 전형적인 정병이다.

몸통에 은입사 방식으로 새겨진 물가무늬 풍경.

물가에서 헤엄치고 있는 원앙 1쌍과 나무위를 날아가는 기러기 1쌍을 볼 수 있다.

다른 방향에 그려진 물가풍경무늬.

다른 방향에서 본 그림.

병(靑銅銀入絲甁, 고려).

다른 형태의 물가풍경무늬

몸통에 그려진 그림

정병(고려 12~13세기).

물가풍경무늬가 은입사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몸통에 그려진 그림.

주전자 입 안쪽에는 새겨진 글씨

정병(고려)

몸통에 은입사방식으로 그려진 물가무늬풍경.

반대편 그림.

‘함평궁주방’이 새겨진 향완.

「함평궁주방」이 새겨진 향완(「咸平宮主房」銘靑銅銀入絲香垸, 고려13세기)
함평궁주는 고려 희종(재위1240~1211년)의 비(妃)로 1211년에 정식 왕비로 책봉되어 함평궁주로 봉해졌다. 이 향완은 함평궁주방에서 화엄경장(華嚴經藏)에 놓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고려시대 왕비가 발원한 유일한 작품이다. 이 향완의 몸체에는 옴마니파드의 범자를 비롯해 연꽃과 포도무늬 등이 은입사로 표현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투구장식(鐵製銀入絲胄裝飾, 조선)

말장식(鐵製銀入絲馬具, 조선 19세기)

향로(鐵製銀入絲香爐, 조선 19세기),

구한말에 실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향로이다. 은입사기법으로 수복(壽福)을 상징하는 글자는 무늬를 표현하고 있다.

화로(鐵製銀入絲火爐, 조선 19세기)

옛 이야기를 표현하는 그림과 무늬들

입사기법으로 만들어진 손화로 (조선,19세기)

필통(19세기)

몽둥이(鐵製銀入絲槌, 조선 18~19세기)


촛대(鐵製銀入絲燭臺, 조선후기)


촛대(鐵製銀入絲燭臺, 조선후기)

입사(入絲)
입사는 금속공예품의 표면을 파내어 금, 은 등 다른 금속을 넣어 무늬를 표현하는 기법이다. 끼움입사와 쪼음입사로 구분된다. 끼움입사는 무늬를 장식할 부분에 홈을 파고 금실이나 은실을 넣는 기법이다. 쪼음입사는 끌을 이용해 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촘촘하게 쪼은 후 자유롭게 입사하는 기법으로 철제공예품에 주로 사용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