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천안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天興寺銘銅鍾, 국보)이다. 국내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범종 중 가장 큰 규모로 높이 1.33m이다. 꿈틀거리는 용모양이 새겨진 종의 고리인 용뉴는 살아 움직이는 듯하며, 소리울림을 도와주는 대나무 모양의 용통(甬筒)이 있다. 몸통 위쪽 띠 아래에는 4곳에 사각형의 유곽이 있는데, 돌출된 연꽃 모양의 종유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유곽 아래에는 연꽃모양의 당좌를 2개 두고 있으며, 당좌 사이에 비천상이 새겨져 있다. 유곽 아래 위패형 틀을 설치하고, 범종을 조성한 내력을 적은 글을 새겨 놓고 있다. 요나라 통화(統和) 28년인 1010년 성거산 천흥사에서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이는 신라범종에서 볼 수 없는 고려시대 범종만의 특징이다.

천안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은 신라종의 특징을 잘 계승한 것으로 성덕대왕 신종, 상원사 동종과 더불어 한국종을 대표하는 범종이다. 그 크기나 제작 수법, 조형미 등에 있어서 수준이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천흥사가 폐사되면서 남한산성을로 옮겨 시간을 알리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국보)>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범종인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국보)이다. 높이 1.33m로 국내에 현존하는 고려 범종 중 가장 크다. 신라종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고려범종 특유의 양식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본 모습>

<종을 매달아 주는 고리역할을 하는 용뉴>

용이 고개를 들고 있고,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을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다. 신라종과는 다른 양식이다.


<소리울림을 도와주는 용통(甬筒)>

대나무 모양을 하고 있으며, 겉면에는 연꽃무늬로 장식하고 있다.

<몸통 위쪽 띠와 사각형의 유곽>

연꽃과 보상화무늬로 장식하고 있으며, 유곽 안에는 9개의 연꽃 모양 유두를 새겼다.

<옆쪽 유곽>

<아래쪽 띠>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

<반대편 당좌>

<당좌 사이에 새겨진 비천상>

<반대편 비천상>

<글자가 새겨진 부분>

유곽 아래 새겨진 위패형 틀에 요나라 통화(統和) 28년인 1010년 성거산 천흥사에서 만들었다고 새겨져 있다.


<2010년 전시된 모습>

천흥사종이라고 불리는 이종은 천안 성거산 천흥사에 있던 범종이지만 조선시대에는 남한산성에서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된 종이다. 서울의 보신각 종과 같은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천안 성거산 천흥사 절터>

  고려시대에 천흥사라는 큰 사찰이 있었던 이곳에는 오층석탑과 당간지주만 남아 이곳 절터임을 말해주고 있다.

<남한산성 행궁 앞 종루>

조선후기에 이곳에서 시간을 알려주는 종으로 사용되었다.

천흥사 종(「天興寺」銘靑銅鐘, 고려 1010년, 국보)
통일신라의 동종을 계승한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종이다. 정면을 응시하고 보주를 물고 있는 용과 제작연대를 새긴 위패 모양의 틀은 고려시대에 나타나는 새로운 양식적 요소이다. 위패모양의 틀에는 요나라 통화(統和) 28년인 1010년 성거산 천흥사에서 만들었다고 새겨져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중앙박물관
4.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