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감은사지 동탑 사리엄장구(보물)

경북 경주시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중 동탑에 모셔졌던 사리구(舍利具)이다. 사리구는 외함, 사리기, 사리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함은 겉면에 사천왕상이 표현되어 있으며, 양쪽에 귀신얼굴모양의 고리가 있다. 부처의 사리를 모셔두는 사리기는 닫집을 모방해서 만들었는데 기단부, 몸체, 천개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부 모서리에는 사자상을 배치하고 있다. 기단부 안상모양 장식에는 신장상과 보살상이 있다. 몸체에는 사리병을 중심으로 사천왕상과 승려상을 배치되어 있으며 모서리에는 기둥이 천정을 받치고 있다. 전체적으로 고귀한 존재가 머무는 장소인 닫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제작기법이나 유물 형태로 볼 때 통일신라 금속공예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감은사지 통탑 해체.수리과정에서 발견된 사리엄장구>

통일신라 전성기 조각가로 활동한 양지스님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천왕상이 있는 외함, 사리를 보관하는 사리기와  수정사리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리갖춤의 외함>

외함 안에 닫집 모양의 사리기를 넣고, 사리병을 안치하였다.이 사리함은 사천왕이 배치된 최초의 사리구이며 탑을 든 북방 다문천왕을 중심으로 방위를 결정한다

<닫집모양의 사리기>

기단 모서리에는 사자장이 배치되어 있고, 표면에는 안상으로 장식하고 있다. 안상 안에는 신장상과 공양보살상이 각각 돋을새김으로 장식되어 있다. 기단 위 몸체에는 사리병을 모시고, 그  주위로 사천왕 및 승려상이 있다. 모서리에 기둥을 세워 지붕을 받치고 있는 닫집형태를 하고 있다.

<뒷쪽에서 본 사리기>

<사리를 모신 수정유리병>

<청동방울과 작은 금동불상>

<풍탁과 유리구슬 등>


<탑을 들고 있는 북쪽을 지키는 다문천왕(多聞天王)>

사리구 외함 바깥에는 4면에 사천왕상을 새겨 놓고 있다. 돋을새김으로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는 사실적인 표현과 조각수법 등이 상당히 우수하며 서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양쪽에 괴물의 얼굴을 하고 있는 문고리가 있다.


<서쪽을 지키는  광목천왕(廣目天王)>


<남쪽을 지키는 증장천왕(增長天王)>


<동쪽을 지키는 지국천왕(持國天王)>

<지붕에 있는 비천상>

<2010년>

삼국 통일을 완성한 신라 문무대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감은사지 절터에는 두개의 탑이 남아 있다. 서탑에는 1959년에 해체 수리과정에서 사리구가 출토되었고, 1996년 동탑 해체 수리과정에서 사리구가 다시 한번 출토되었다고 한다. 2개의 사리갖춤의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으다. 감은사터 사리구 외함에는 4면에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는데, 그 조각수법이 상당히 사실적이면서도 뛰어나다. 이는 당시 우리나라나 중국의 조각수법이 아닌 중앙아시아의 조각상과 비슷하다고 한다. 경주 사천왕사에서는 비슷한 형태의 녹유사천왕상을이 출토되었는데 이를 근거로 당시 사천왕사를 조성한 조각가인 양지스님이 이 사리함을 조각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양지스님이 만든 조각 작품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조각양식과는 달리 표현을 아주 사실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나 서역에서 온 사람이 아닐까 하는 의견도 있다

<감은사 절터>

<사리기가 발견된 감은사지 삼층석탑 동탑>

<서탑 사리기>

동탑과는 달리 닫집을 이루고 있던 기둥과 지붕이 없다.

<경주 사천왕사 터에서 출토된 녹유사천왕상>

불국사, 황룡사와 함께 통일신라시대 경주에서 가장 큰 사찰 중 하나였던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녹유사천왕상을 만든 조각가 양지스님이 이 사리함을 조각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사천왕상의 표현 기법이 중앙아시아의 것과 비슷한 형태라고 한다.

감은사지 동탑 사리엄장구, 보물, 통일신라 682년,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중앙박물관)
감은사는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682년에 지은 절이다. 현재 절터에는 동서로 나란히 삼층석탑이 남아 있다. 이 사리갖춤은 1996년 감은사 동탑 삼층 탑신의 해체 수리시 출토된 것으로서 통일신라 문화의 독창성과 금속공예의 우수성을 잘 드러내는 걸작이다. 금동 사각 외함의 네면에는 각각의 방위를 수호하는 사천왕상이 장식되어 있다. 사리 외함 안에는 집 모양 사리기를 넣고, 사리기에 사리병을 안치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중앙박물관
4.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