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에 위치한 마애삼존불입상(국보)이다. 이 불상은 마애불상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사각형의 감실안에 보살상이 가운데 있고, 양쪽에 여래상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는 삼존불상이다. 오른쪽에는 약사여래, 왼쪽에는 석가여래, 가운데에 작은 크기의 관음상이 새겨져 있다. 불상 아래쪽에는 백제시대 연화대좌가 확인되어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다. 불상의 얼굴은 상당부분 훼손되어 확인이 잘 되고 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풍부한 양감을 입체감이 돋보이며, 조각수법도 뛰어난 석으로 보인다.

이 불상은 한반도와 중국간 해상교역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태안반도에서 비교적 높은 봉우리에 속하는 백화산(284m)에 중턱 천수만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가 중국 남.북조와 교류하던 6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백제는 불교를 중국 남조로부터 받아들였으며, 남조의 여러 왕조와 깊은 관계를 가졌지만, 이 삼존불상은 중국 산동지방 북제의 석굴사원 불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국보84)에 선행하는 양식을 가졌다.

OLYMPUS DIGITAL CAMERA<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307호)>

가운데 관음보살을, 양쪽에 약사여래와 석가여래 입상이 있고 가운데에 관음보살을 배치한 특이한 형태의 삼존불상이다. 감실모양의 암벽에 불상을 새긴 마애불상으로 양감이 풍부하고 입체감이 있어 보이며, 조각수법 또한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백제가 중국 남.북조와 교류하던 6세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불교가 전래된 초기 불상 형태이다.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국보 307호, 백제시대,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백화산 중턱에 있는 높이 394cm, 폭 545cm의 감실모양의 암벽에 새겨진 백제시대 마애삼존불이다. 중앙에 본존불을 배치하고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는 일반적인 삼존불과는 달리 중앙에는 보살, 좌에는 석가여래, 우에는 약사여래불을 배치한 독특한 형식을 취하였다. 또한 좌우의 여래상은 큰 반면에 중앙의 관세음보살은 작아 1보살.2여래라고 하는 파격적인 배치와 함께 특이한 구도를 보여주고 있다. 통견의 불의가 두껍고 힘차게 처리되었으며, 앞자락이나 두팔에 걸쳐 내린 옷자락도 묵직하게 표현되는 등 부처의 위엄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양식상으로 중국 북제 불상양식의 계통을 따르고 있어 제작연대는 6세기로 추정된다. 지리적으로 당시 삼국시대 중국과의 교역에서 다리역할을 했던 태안반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중국의 새로운 석굴사원 양식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출처:태안군청>

OLYMPUS DIGITAL CAMERA양쪽의 여래상은 크게, 가운데 보살상은 작게 만들었다. 얼굴은 훼손되어 형체를 알아 보기 힘들지만 양감이 풍부하고 입체감이 있는 등 뛰어난 조각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의 발 아래에 연화대좌는 삼국시대 백제 것으로 확인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
왼쪽편은 여래입상은 석가여래인 것으로 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가운데 작게 표현된 입상은 보관을 쓰고 있어 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오른쪽에는 약병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 입상.

SANYO DIGITAL CAMERA백제의 미소’로 잘 알려진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여래상(국보84호)이다. 여래입상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보살입상과 반가사유상을 배치하고 있다. 태안의 삼존불입상보다 약간 늦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원형이 잘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삼존상(Buddha Triad Stutue with Mandorla, Commissioned by Jia Zhiyuan), 북위 정광6년(525), 칭저우시 출토, 贾知渊(Jia Zhiyuan)이라는 사람이 만들었다고 기록된 삼존불상이다. 광배가 있는 삼존상으로 ‘백제의 미소’로 잘 알려진 서산마애삼존불입상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광배 주위에 비천상이 새겨져 있다. 산동지방과 백제의 교류관계를 보여준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모셔진 보호각.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에서 내려다 보이는 태안 천수만과 서해바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있는 태을암 마당에서 내려다 보이는 천수만. 주위 높은 산이 거의 없다.

태안마애삼존불, 국보307호,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백화산 기슬, 백제 6세기 중반
높이 306cm의 태안마애삼존불은 보통 중앙에 본존불을 배치하고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는 일반적인 삼존불과는 달리 중앙에는 보살, 좌우에는 여래를 배치한 독특한 형식을 취하였다. 여래불의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두껍고 힘차게 처리되어, 앞자락이 두팔에 걸쳐 내린 옷자락도 묵직하게 표현되는 등 부처의 위엄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보살은 여래보다 작게 표현되었고, 보주를 들고 서 있은 형식으로 다리에 x자형으로 교차된 옷자락을 표현한 양식이 부여 군수리보살입상과 비슷하다. 양식상으로는 북제 불상 양식의 계통을 따르고 있어 제작연대는 6세기로 추정된다. <출처:공주박물관>

<출처>
1. 국립공주박물관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