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남원 실상사에 위치한 수철화상탑(보물)이다. 이 탑은 실상사를 크게 일으킨 수철화상(秀澈和尙)의 사리를 모셔놓은 승탑이다. 아래받침돌에는 구름, 용무늬와 사자가 새겨져 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겨 장식하고 있다. 몸돌은 팔각형으로 모서리에는 기둥을 새겨 놓았다. 각 면에는 사천왕상과 문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목조건축물의 기와지붕을 섬세하게 조각해 놓고 있다. 각부분에 조각해 놓은 무늬들이 오랜 세월에 마모되기는 했지만, 조각수법이 섬세하며 전체적인 규형미도 양호한 편이다.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수철(秀澈, 817~893년)은 통일신라말 승려로 구산선문을 대표하는 실상산파를 일으킨 홍척국사의 제자로 후학을 양성하면서 실상사를 크게 일으켰다고 한다. 진성여왕 7년(893)에 입적하였다고 한다. 탑비에는 그의 생애와 업적이 기록하였는데 마모가 심하여 글자를 판독하기가 힘들다.  탑비에 ‘능가보월탑비(楞伽寶月塔碑)’이라 적혀 있어 ‘능가보월탑’이라고 부른다. 수철(秀澈)은 그의 시호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통일신라말 불교 선종을 크게 일으킨 홍척국사의 제자인 수철화상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승탑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받침돌. 아래받침돌에는 용, 구름과 사자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했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안상에 부조를 새겼는데 오랜 세월에 마모되어 형체를 알아 볼 수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탑신 몸돌에는 4면에 사천왕상을, 앞.뒤에는 문짝을 새겼다. 지붕은 목조건축물 기와를 섬세하게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왼쪽편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과 문짝.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 새겨진 사천왕상.

OLYMPUS DIGITAL CAMERA오른쪽에 새겨진 사천왕상과 문짝.

OLYMPUS DIGITAL CAMERA가운데 받침돌에는 안상속에 부조를 새겨놓고 있는데 마모되어 형체를 알아볼 수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수철화상탑.

OLYMPUS DIGITAL CAMERA앞쪽에는 그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탑비(보물34호)가 세워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증각대사가 창건한 실상사. 통일신라 말 구산선문을 대표하는 큰 사찰이었으나 조선시대 화재로 소실되면서 동.서삼층석탑과 석등이 큰 사찰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보물 33호,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이 탑은 통일신라 진성여왕 7년(895) 수철스님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행적고 뜻을 기려 세운 부도탑이다. 실상사를 처음 세운 홍척(洪陟)스님의 제자인 수철스님은 스승의 뜻을 이어 받아 실상사의 지속적인 융성에 크게 공헌했다. 높이 3m인 이 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부도탑으로 팔각형을 기본 형태로 삼고 있다. 탑 몸체 각 면에는 사천왕의 모습을 새겼다. 목조건축의 형식을 본 따 세밀하게 조각해 놓은 지붕에서 석공의 뛰어난 조각술을 엿볼 수 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쌍봉사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