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형식을 보여주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위치한 삼층석탑(보물)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3단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탑은 기단을 넓게 하고, 탑신을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간결하면서도 안정감을 주고 있다. 특별한 장식은 없고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원래의 것이 아니고 새로 만들어 올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윗층 기단에서 여래입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전체적인 형태나 비례 등으로 볼 때 석탑이 작아지고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석탑 크기는 작아지고 정형화된 형태를 보이는 통일신라 말기 삼층석탑이다. 전체적인 비례나 조형미는 양호한 편이며, 안정감을 주고 있다.

<기단부>

탑은 3층의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단부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고 있으며 별도의 장식은 없다.

<탑신부>

탑신은 기단부에 비해 작게 만들었다. 지붕돌 처마끝을 살짝 들어 올려 날렵하면서도 경쾌한 느낌을 준다. 복발을 뒤엎어 놓은 형태의 머리장식이 올려져 있는데, 원래 있던 것은 아니다.

<앞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동쪽)>

<뒤에서 본 모습>

<동쪽에서 본 모습>

석탑이 불전들이 있는 경내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불전들은 석탑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연곡사는 화재 등으로 여러차례 중건되면서 건물배치가 바뀌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곡사는 화엄사의 말사로 지리산의 여러 계곡 중에서 많이 알려진 피아골에 위치하고 있다. 화엄사와 같이 삼국시대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 말과 고려초에는 선종 사찰로 크게 번창하였다. 경내에는 국보로 지정된 동승탑(국보), 북승탑(국보)를 비롯하여 탑비, 삼층석탑 등 석조 유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타버린 것을 중건하였다. 한국 전쟁 때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어 내력있는 목조건축물은 남아 있지 않다. 석탑의 위치가 지금은 경내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원래 사찰 규모에 비해 많이 축소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구례 연곡사 전경>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보물,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 삼층석탑은 3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전형적인 3층 석탑의 2층 기단이 아닌, 여러 개의 석재가 3중으로 기단부를 이루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기단의 4면 모서리와 가운데에는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으며, 맨 윗 기단이 넓은데 비해 탑신부가 줄어들었으나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느껴진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각 층의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각 층마다 4단이고 처마 밑은 수평이다. 지붕 윗면의 경사는 경쾌한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네 귀퉁이의 추켜올림도 우아하다. 탑에 사용된 돌이 구성양식 등으로 미루어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