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고려초기 승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 경내 뒷편 언덕에 있는 북 승탑(국보)이다. 탑은 받침돌, 탑신,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돌은 3단으로 아래받침돌에는 구름무늬와 연꽃무늬를, 가둔데 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윗받침돌에는 연꽃과 돌난간으로 장식하고 있다. 동 승탑과 마찬가지로 극락조인 가릉빈가(迦陵頻伽)가 부조로 새겨져 있다. 탑신 몸돌 또한 사천왕상, 향로와 문이 각면에 새겨져 있다. 지붕돌도 서까래와 기와의 골을 섬세하게 새겼다. 날개를 편 봉황과 연꽃무늬를 새긴 머리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다.

고려초기에 세워진 승탑으로 승탑의 크기, 구성요소, 조각수법 등에 있어서 동 승탑과 거의 비슷하다. 승탑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아래쪽에 있는 현각선사의 승탑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들기는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뛰어난 걸작으로 고려초기 승탑을 대표할 수 있는 유물 중 하나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것으로 전체적인 비례나 구성에서 나타나는 조형미와 세부 조각수법이 뛰어나다.

OLYMPUS DIGITAL CAMERA탑신의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과 문. 동 승탑과 마찬가지로 조각수법이 섬세한 편은 아니다.

OLYMPUS DIGITAL CAMERA윗받침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단에는 연꽃무늬를 새겨 놓고 있는데 입체적인 느낌을 준다. 윗단에는 모서리에 난간을 조각하였으며, 각면에는 극락조인 가릉빈가를 새겨 놓고 있다. 동 승탑과 같은 구성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가운데 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새겨놓고 있다. 아랫받침돌 윗단에는 사자상을 새긴 동 승탑과 달리 연꽃무늬를 입체감 있게 조각해 놓았다. 아랫단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새겨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탑신 지붕돌 또한 서까래와 기와골, 막새기와 등을 섬세하게 새겨 놓고 있다. 동 승탑과는 달리 서까래 아래에 비천상을 새겨 놓았다. 머리장식은 4마리의 봉황과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쪽편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탑신에는 동승탑과 마찬가지로 향로가 새겨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쪽에서 본 받침돌.

OLYMPUS DIGITAL CAMERA
뒷쪽편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뒷편 탑신에는 문짝을 새겨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뒷쪽편 받침돌

OLYMPUS DIGITAL CAMERA서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서쪽편 탑신에도 향로를 새겨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서쪽편에서 본 받침돌.

OLYMPUS DIGITAL CAMERA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54호)

OLYMPUS DIGITAL CAMERA아래쪽에 위치한 현각선사탑비(보물 152호).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북승탑은 현각선사의 승탑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연곡사는 화엄사의 말사로 지리산의 여러 계곡 중에서 많이 알려진 피아골에 위치하고 있다. 화엄사와 같이 삼국시대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 말과 고려초에는 선종 사찰로 크게 번창하였다. 경내에는 국보로 지정된 동승탑(국보 53호), 북승탑(국보 54호)를 비롯하여 탑비, 삼층석탑 등 석조 유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타버린 것을 중건하였다. 한국 전쟁 때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어 내력있는 목조건축물은 남아 있지 않다. 석탑의 위치가 지금은 경내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원래 사찰 규모에 비해 많이 축소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구례 연곡사 전경.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으로 건물들이 소실되어 원래의 모습을 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통일신라말 대표적인 선종사찰로 상당히 큰 규모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구례 연곡사 북승탑, 국보 54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 북승탑은 네모난 바닥돌 위에 세워진 8각형의 승탑이다. 전체적으로 규모와 형태, 각부분의 장식과 조각이 연곡사 동승탑과 약간의 차이를 보일뿐 거의 동일한 모습을 띄고 있다. 기단은 3층으로 아래받침돌, 가운데 받침돌, 윗받침돌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받임돌은 2단으로, 아래에는 구름무늬를, 위에는 두겹으로 된 16잎의 연꽃무늬를 각각 새겨 두었다. 윗받임돌 역시 두 단으로 나누어 연꽃과 돌난간을 아래위로 꾸몄다. 특히 윗단에는 둥근 테를 두르고, 그 속에 불교의 낙원에 산다는 극락조인 가릉빈가(迦陵頻伽)를 돋을새김 하였다. 탑신의 몸돌 각 면에는 향로와 불법을 수호하는 방위신인 사천왕상 등을 꾸며 놓았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건립된 연곡사 동승탑을 모방하여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도량 내에 현각선사탑비가 있는 것으로 보아 현각선사승탑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쌍봉사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