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한 금동불상이 올려졌던 대좌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대좌(보물)이다. 거대한 불상을 올려 놓는 받침으로 절터 서쪽 금당터에 위치하고 있다. 하나의 큰 돌을 조각하여 상.중.하대를 표현하고 있다. 하대 옆면에는 안상과 꽃을, 위쪽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상대에도 연꽃무늬를 새긴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위쪽에는 불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파놓은 네모난 구멍이 있다. 통일신라 8각형 대좌 형식에서 벗어나 6각형으로 이루진 것이 특징이다. 대좌 위에는 상당히 큰 규모의 불상이 올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남원 만복사지 서쪽 금당터에 올려져 있는 석조대좌(보물)>

거대한 금동불상을 올려 놓았던 대좌이다. 하나의 돌로 상대, 중대, 하대를 조각해 놓고 있다. 8각형이 주를 이루었던 통일신라 때와는 달리 6각형으로 만들었다.

<동쪽에서 본 모습>

연꽃무늬 등이 새겨진 상대의 바깥쪽을 비롯하여 파손된 부분들이 여러곳 있다.

<석조 대조가 올려져 있는 서쪽 금당터>

고려초에 창건된 만복사는 고구려 사찰의 가람배치를 계승하여 목탑을 중심으로 양쪽에 금당을 두고 있다. 그 중 서쪽 금당에 거대한 금동불상이 있었다고 한다.

<금당터 축대>

<금당 건물 기둥을 세웠던 주춧돌>

<금당 건물 앞에 놓여 있는 석재들>

남원 만복사는 고려시대에 창건한 평지사찰로 상당한 큰 규모의 사찰이었다. 『동국여지승랑』 기록에 따르면 목탑, 금당 등 여러 전각들과 금동불상 등을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 거대한 금동불은 아마도 이 석조대좌 위에 올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정유재란 때 왜군에 의해 불타 버린 후 폐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절터에는 오층석탑(보물), 당간지주(보물), 석좌(보물), 석불입상(보물) 등 석재로 만든 유물들이 남아 있다. 조선전기 김시습이 쓴 소설 ‘금오신화’ 중 ‘만복사 저포기’에 등장할 정도로 상당히 유명한 사찰이었다.

<만복사 절터>

목탑을 중심으로 좌.우.뒷편에 3개의 금당을 두는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이는 만복사의 성격이 수행을 중시하는 선종계열의 사찰이 아니라 기도를 하러 절을 찾은 사람을 위한 불전을 중심으로한 사찰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보물, 전북 남원시 왕정동
이 석좌는 불상을 올려놓았던 육각형의 받침돌로, 만복사를 지으면서 함께 만든 것으로 보인다. 아랫부분은 각 측면에 꽃 장식을 담은 코끼리 눈 모양을 새기고 그 위에 연꽃을 조각하였다. 중간부는 아래쪽보다 너비가 줄어 들었는데, 모서리마다 짧은 기둥모양을 새겼다. 윗부분은 다시 넓어지며 그 옆면 역시 연꽃으로 장식하였던 듯하다. 위쪽 바닥 중앙에는 불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파놓은 사방 30cm 가량의 네모난 구멍이 있다. 이 석좌는 높이 1.4m 정도인 하나의 돌에 전체를 조각했는데, 육각형 모양으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출처: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