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경주 남산 배리삼릉에 출발하여 계곡에서 2번째로 볼 수 있는 마애관음보살상이다. 돌기둥처럼 생긴 바위에 새겨놓은 불상으로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정병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불상 뒷편 기둥모양 바위가 광배역할을 하고 있다. 얼굴과 몸통의 윗부분은 입체감 있게 조각되으나, 아랫부분은 윤곽이 불투명하다, 전체적으로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불상의 조성연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통일신라 전성기인 8~9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산 삼릉계곡에서 2번째로 볼 수 있는 마애관음보살상>

기둥처럼 생긴 바위에 관음보살상을 새겨놓고 있다. 뒷편에 있는 바위가 광배역할을 하고 있다. 불상은 높이 1.5 m 정도이며 머리와 상반신부분은 입체감 있게 새겨져 있으나 나머지 부분은 표현이 거친편이다. 손에 들이 있는 정병을 입체감있게 새겨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바위에 입체감있게 새겨진 관음보살>

OLYMPUS DIGITAL CAMERA<불상 아래 바위.>

OLYMPUS DIGITAL CAMERA<아래쪽에서 본 관음보살상. 아래에서 보면 뒷편 바위가 광배와 같은 느낌이 나타난다.>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통일신라 8세기 중엽 이후
이 불상은 남산의 삼릉계곡에 있으며 돌기둥 같은 암벽에 돋을새김 되어 있다. 얼굴은 풍만하며 머리 위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썼는데, 보관에는 작은 불상이 따로 조각되어 있어 이 불상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다. 입술 주위에는 주칠(朱漆)의 흔적이 남아 있어 붉은 빛을 띄고 있으며, 작게 표현된 입가엔느 자비로운 미소가 뚜렷하다. 관음보살은 연꽃으로 표현된 대좌 위에 서 있는데 얇게 조각된 옷자락은 허리 아리까지 내려와 양다리에 U자형으로 드리워져 있다. 오른손은 설법인(說法印)을 표시하고 있으며 왼손에는 정병을 들고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6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