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이 특징인 통일신라 불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3층으로 된 크고 높은 대좌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는 없어졌으며 손과 몸체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불상은 다른 불상과는 달리 몸체의 볼륨이 강조되지 않은 현실의 승려가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신체의 표현 등이 비교적 우수한 편이다. 이 불상에서 보이는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은 석굴암 감실상이나 8세기 중엽 불상들에서 보여주는 특징이라고 한다. 불상이 세워진 이 곳은 마애여래좌상(보물)과 함께 용장사에서 불전 역할을 했던 공간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둥근 모양의 3층 대좌 위에 불상이 놓여져 있다. 높게 세워진 대좌에 비해서 불상의 크기는 작은 편이다. 대좌는 크고 넓적한 자연 바위를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둥근 형태로 가공한 돌을 삼층석탑 모양으로 올려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자연석 위에 올려진 대좌>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놓여진 대좌>

불상은 손과 신체의 일부만 남아 있다. 기존 불상이 보여졌던 과장된 신체의 과장된 표현대신 실제 승려가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

OLYMPUS DIGITAL CAMERA<뒤편에서 본 불상>

OLYMPUS DIGITAL CAMERA<뒤편에서 본 대좌에 올려진 불상>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불상 뒷편 바위에 마애여래좌상이 새겨져 있다.>

용장사는 금오산 정상부에서 서쪽으로 멀지 않은 용장사 계곡 정상 부근에 자리잡고 있다. 사찰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며, 절터에는 삼층석탑으로 비롯하여 석조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이 남아 있다. 조선초 천재이자 생육신 중 한명인 김시습이 머물면서 <금오신화>를 저술한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용장사 계곡>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보물 187호, 통일신라시대 8세기 중엽
이 불상은 높이가 일장육척인 미륵장륭상(彌勒丈六像)으로 추정되는 석불좌상이다. 삼륜대좌 위에 모셔진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머리부분은 없어졌다. 이 석불은 독특한 형태의 둥근 대좌 뿐 아니라 석불 자체의 사실적 표현이 작품의 격을 높여준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6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6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6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