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광주 환벽당 일원(명승), 호남지방 사림들이 교유했던 유서깊은 곳

광주시 북구 충효동 마을에 있는 작은 정자인 환벽당(環壁堂, 명승)이다. 조선중기 학자 김윤제가 경치가 빼어난 곳에 정자를 짓고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환벽당은 앞면 3칸에 온돌방과 마루가 있는 이 지역의 전형적인 정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정자는 마을 뒷편의 작은 동산에 자리잡고 있으며 앞으로는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증암천이 흐로고 있다. 소쇄원이 작은 계곡에 은둔하고 있는 분위기를 주고 있다면 환벽당은 넓은 증암천과 주변 산들을 정원으로 삼고 있어 개방적이고 호탕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정자 아래 증암천에는 김윤제와 정철이 처음 만났다는 조대(釣臺)와 용소(龍沼)가 있다.

<광주 환벽당(명승)>

환벽당은 온돌방과 마루가 있는 전형적이 이 지역 정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정자 앞을 흐르는 증암천과 주변 경치를 내려다 보고 있는 형태이다.

<옆에서 본 모습>

<환벽당 현판>

<환벽당 내부>

김윤제(1501~1572년)는 조선중기 문신으로 이곳 충효마을에서 태어났다. 나주목사를 비롯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말년에 이곳으로 돌와와 환벽당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송강 정철이 그의 제자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김덕령이 그의 종손이다.

<천정 아래 현판>

이곳을 찾은 문인들이 남겨 놓은 글이 걸려 있다.

<마을로 연결되는 출입문>

<환벽당 아래 마당>

나무 몇그루를 제외하고는 정원을 꾸며 놓지 않았다.

<작은 연못>

<꽃나무>

무등산 서쪽 자락에서 발원하여 영산강과 합류하는 증암천 주변에는  호남지방 가사문학의 산실로 소쇄원, 식영정을 비롯하여 이 지역 선비들이 세운 크고 작은 정자들 들어서 있다. 광주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무등산 계곡 역할을 했던 이 곳은 조선시대 창평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근처의 창평천 주변과 함께 조선시대 양반들이 선호했던 세거지의 특징들을 잘 갖추고 있다. 가사문학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이 지역은 다른 지역 양반들이 경치가 좋은 곳에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서당을 많이 설립한 것과는 달리 자연을 벗삼아 시를 읊고 사람들과 교류하기 위한 정자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환벽당이 있는 작은 동산>

환벽당을 건립한 김윤제의 후손들이 사은 충효동마을 뒷동산 역할을 하고 있다.

<환벽당 입구>

<들어가는 길>

증암천은 오늘날 광주시와 담양군의 경계가 되며 증암천 너머에는 송강 정철이 지은 「성산별곡」의 무대인 식영정과 그가 살았던 지실마을, 한국을 대표하는 정원인 소쇄원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멀지 않은 곳에 면앙정, 송강정, 독수정 등 당시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이 지은 정자들이 자리잡고 있어 자연을 벗삼아 살았던 호남지역 사림들의 양반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환벽당 앞을 흐르는 증암천>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영산강으로 흘러드는 지천이다. 이곳에 김윤제가 정철을 처음 만났다고 전해지는 조어대와 용소가 있다.

광주 환벽당 일원, 명승, 광주시 북구 충효동
환벽당(環壁堂)은 조선 명동 때(1540년대) 사촌 김윤제(1501~1572년)가 자연을 벗 삼아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한 남도지방의 전형적인 방이 있는 정자이다. 면앙정 송순은 이곳 환벽당과 식영정, 소쇄원을 가리켜 ‘한 동 안의 세 명승(一洞三勝’이라고 칭송했다. 환벽당 뒤는 소나무와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앞산은 고리를 두르듯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아래 증암천에는 사촌 김윤제와 송강 정철이 처음 만난 곳이라는 전설이 깃든 조대(釣臺)와 용소(龍沼), 쌍송(雙松)이 있다. 당대의 일류 문인 소세양, 송순, 임억령, 김인후, 기대승, 고경명, 정철, 백광훈 등의 환벽당 관련 시문이 전해진다. 환벽당은 1972년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11월 6일에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 107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출처: 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