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남양주 유릉(사적), 재궁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유릉(사적) 재실이다. 황제의 능으로 먼저 조성된 홍릉 재실의 예를 따르고 있는데, 건물 배치는 약간 다른 면을 보인다. 유릉 재실은 국왕이 머무는 공간으로 보이는 재방과 향과 축문을 보관하는 안향청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두 건물은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쪽 건물 모두 솟을대문에서 어도로 연결되어 있다. 솟을대문이 있는 행랑채에는 많은 방과 마루를 두고 있다.

재실은 원래 무덤이나 사당옆에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서 지은 집을 말하며 삼국시대 시조묘나 신궁제도에서 그 기능이 유래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유학이 사회전반을 지배하던 조선시대에는 왕릉을 조성하는 산릉제도에서 그 기능이 정립되었다고 하며, 일반 사대부에서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공간으로 많은 재실들이 건축되었다. 재실은 평상시 영(종5품) 또는 참봉(종9품) 등이 능역의 관리를 위해 근무하는 곳이며, 제례시에는 제관들이 머무르면서 제례를 준비하는 공간이다.

<순종의 능역 안쪽에 위치한 재궁>

홍릉 재궁의 예를 따르고 있지만 규모가 큰 편이며 건물 배치도 다르다.

<재궁 출입문>

<재궁 건물>

재궁에는 2개의 건물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두 건물은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국왕이 지나가는 어도가 두 건물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 건물>

앞면 6칸 규모의 건물로 전체적인 형태로 볼 때 제관이 머무는 공간인 재방인 것으로 보인다.

<왼쪽 건물>

앞면 7칸 규모이며,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향과 축문을 보관하는 안향청인 것으로 보인다. 안향청에서 능역내 침전까지는 어도가 연결되어 있다.

<행랑채>

상당히 긴 건물로 많은 방을 두고 있다.

<마당 한쪽편 창고처럼 보이는 건물>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로 보인다.

<어도>

제기고 옆에는 어도가 능역내 침전으로 연결된다.

<재궁에서 능역으로 연결되는 어도>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