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서울 봉은사(奉恩寺), 서울을 대표하는 도심 사찰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봉은사(奉恩寺)이다. 종로의 조계사와 더불어 오늘날 서울을 대표하는 도심 사찰이다. 봉은사는 통일신라때 처음 창건되어 견성사라 불렸는데, 그 이후의 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실제로는 조선 9대 성종의 선릉이 이곳에 조성되면서 작은 사찰이었던 견성사를 원찰로 삼으면서 널리 알려졌다. 현재의 봉은사는 조선시대를 여걸 중 한명인 중종비 문정왕후가 선릉 옆에 있던 사찰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고양 서삼릉에 있던 중종의 정릉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시작되었다. 임진왜란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전쟁과 화재 등으로 전각들이 소실과 중건을 거듭하였다. 현재 전각들은 대부분 한국전쟁 때 소실된 것을 다시 지은 것이다.

문정왕후는 조선시대 불교를 크게 중흥시켰는데, 봉은사와 양주 회암사를 크게 중창하고, 승과를 실시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다. 이때 배출된 인재들 중 사명대사, 서산대사 등이 임진왜란 당시 승병으로 전란을 극복하는데 많은 공을 세웠고 그 공을 인정받아 조선후기에 많은 사찰들이 새로 중건될 수 있었다. 문정왕후의 불교장려 정책은 유림들의 미움을 받아서, 문정왕후와 함께 불교 중흥을 이끈 보우대사는 문정왕후 사후에 제주도로 유배되어 참형을 당했고, 조선 최대의 사찰이었던 양주 회암사는 폐사되는 운명을 맞았다. 하지만, 봉은사는 선정릉을 지키는 원찰이라는 명분을 가지고 있어서 폐사되는 운명을 피할 수 있었으며, 그 후에 한양에서 가장 가까운 사찰로서 그 명성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또한, 강남 개발과 함께 강남 도심권에 위치한 장점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경제력있는 사찰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 같다.

<봉은사 진여문>

사찰의 산문이나 천왕문 등과는 다른 문루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내부에는 그림으로 그려진 사천왕상이 있다. 궁궐 출입문을 연상시키는 삼문 형식을 하고 있다. 현대에 만들어진 출입문이라 전통적인 예법을 무시하고 만든 측면이 있다.

<승탑과 탑비>

<종루>

<강당 건물인 법왕루>

누마루 형태의 강당으로 앞면 7칸의 상당히 큰 건물이다.

<주불전인 대웅전>

마당에는 1970년대에 부처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조성한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궁궐 계단을 연상시키는 대웅전 계단>

가운데 답도를 두고 있는데, 이는 왕실과 관련된 원찰임을 강조하는 부분으로 보인다. 하지만 답도를 2개나 둔 것은 궁궐 정전과 다른 부분으로 장식적인 면만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지장전>

죽은이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을 모시는 불전이다. 현대 불교에 신도가 많이 찾는 불전으로 대부분의 사찰들은 지장전이나 명부전을 두고 있다.

<대웅전 앞 경내 동쪽편에 위치한 선불당>

규모가 있는 한옥처럼 지은 건물이다. 요사채로 지어진 건물이었으나, 지금은 수행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전으로 사용하고 있다. 봉은사가 도심에 위치한 까닭에 손님이 묵을 이유가 별로 없어서인지 경내에 큰 요사채를 두고 있지 않다. 반면에 산중에 있는 사찰은 요사채의 규모가 날로 커지는 경향이 있다.

<선불당 뒷편 승려들이 기거하는 낡은 요사채 건물>

<뒷편 언덕에 있는 북극보전(칠성각)>

이 곳에는 기도를 드리러 오는 신도들이 상당히 많아 보인다. 많은 신도들이 기도를 올리고 있는데, 강남이라서 그런지 젊은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웅전 뒷편 언덕에 있는 영산전>

<영산전 앞 언덕에서 본 강남 삼성동 코엑스 빌딩들>

<고승들의 영정들을 모신 영각>

<영각 내부에 모셔진 영정들>

조선중기 문정왕후와 함께 불교를 크게 중흥시킨 보우대사를 비롯하여, 임진왜란때 크게 기여하여 조선후기 불교 중흥에 기여한  서산대사, 사명대사 등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보통은 조사당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곳 봉은사에는 영각이라 부른다.

<대웅전 서쪽편에 있는 거대한 미륵보살입상>

1996년에 조성되었다.

<미륵전>

미륵보살입상 앞에 있는 미륵전. 강당 겸 문루 형식의 건물로 내부에 불상을 따로 모시지는 않고 있다.

<판전>

조선중기 이후 불교를 크게 중흥시킨 봉은사의 역할을 잘 보여주고 있는 판전이다. 이 곳에는 많은 불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으며, 불교를 체계적으로 중흥시킨 불교계의 문정왕후와 보우대사의 업적이 잘 남아 있는 곳이다.

<추사 김정희가 죽기 직전에 쓴 글씨로 잘 알려진 판전 현판>

<중종의 능인 정릉>

봉은사는 선릉의 원찰로 원래는 이곳에 있었다고 한다. 문정왕후는 본인이 중종과 같이 묻히기를 원해서 서삼릉에 있던 중종의 능을 이곳으로 옮기고 봉은사를 크게 중창하였다. 문정왕후의 희망과는 달리 정릉에는 중종만이 묻혀 있다.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