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사 경내에 있는 징효대사 부도이다. 통일신라말 선종 구산선문 중 한곳인 흥녕사를 크게 발전시킨 징효대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대좌모양의 받침돌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을 올려놓은 목조건물을 모방해서 만든 전형적인 승탑 형태를 하고 있다. 전체적인 조형미나 조각수법이 떨어지는 편이다. 탑비와 같이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흥녕사( 興寧寺)는 영월 사자산 자락에 위치한 법흥사의 옛 이름으로 신라 구산선문 중 사자산파의 중심사찰이었다.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면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이 있는 사찰이기도 하다. 통일신라 말 후삼국 통일전쟁 과정에서 큰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고려초에 다시 중건되었다. 그 뒤 다시 화재로 소실된 후 거의 폐사된 상태였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중건되었다.
영월군 사자산 중턱 법흥사 경내에 있는 징효국사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징효국사는 통일신라말 선종 구산선문 중 사자산파를 크게 발전시켰다.
받침돌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위.아래 받침돌과 모서리에 기둥모양이 새겨진 가운데 받침돌로 구성되어 있다. 불상을 올려놓는 연화대좌와 비슷한 형태이다.
몸돌을 팔각형의 북모양을 하고 있으며, 투박한 모습의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올려놓고 있다.
징효국사 부도,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부도란 스님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일종이 묘탑이다. 이 부도는 두 개의 네모난 돌을 바닥에 깔고 팔각의 아래 받침돌을 놓았는데, 각 면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다. 그 위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받침돌이 놓여 있다. 가운데 받침돌은 하나이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각으로 된 각 면에는 모서리기둥이 새겨져 있다. 위 받침돌의 윗면은 둥근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아래쪽에는 팔각의 괴엄이 있고 그 위로 옆면에는 위로 향한 연꽃무늬를 두겹으로 돋을새김하였다. 몸돌은 팔각형의 북모양인데 앞.뒤 양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틀에 감실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팔각으로 지붕 끝 내림마루에 귀꽃이 장식되어 있고, 물매는 완만한 편이다. 지붕돌의 정상 부분은 팔각의 받침돌을 놓고 보개를 받게 하였으며, 보개는 지붕돌과 거의 같은 모습이다. 보개의 정상은 하나의 돌로 된 연꽃 봉우리의 보주를 얹어 놓았다. 부도의 위치로 보아 탑비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