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이다.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을 하고 있는 높이 80 cm의 반가사유상이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인으로부터 입수하여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머리에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에서 나온 2가닥의 장식이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관에는 해와 달 장식이 있어 ‘일월식보관’이라 하며, 사산조페르시아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자세, 아름다운 옷주름, 명상에 잠긴듯한 얼굴 등을 한국적인 보살상을 완성시킨 6세기 중엽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가사유상은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이다. 인도에서는 3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불상의 협시보살에서 출발하여 나중에는 단독 불상의 형태로 바뀐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는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했으며 5세기말 운강지역에서 미륵불과 삼존상의 협시보살이 형태로 나타나며, 6세기 북제(北齊)에서 크게 성행했다. 한반도에서는 서산 용현리마애삼존여래상(국보84호)에서 왼쪽 협시불로 나타나고 있다.
머리에 해와 달 장식이 있는 화려한 관을 쓰고 있어 미륵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반가사유상은 원래는 명상에 잠긴 싯타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었으나,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당시에 크게 유행했던 미륵사상을 반영하여 미륵불로 만들어졌다.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Pensive bodhisattva), 국보 78호, 신라 6세기 후반, 금동
국보 83호 반가사유상과 함께 삼국시대의 불교조각을 대표하는 대형 금동상이다. 이 상은 1912년 조선총독부가 골동품 수집가로부터 입수하여 총독부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가냘픈 몸매와 양팔부터 날렵하게 위를 향한 천의자락과 같은 세부가 중국 동위의 불상양식과 통한다. 이 상은 대좌의 모양이 뒤쪽만 둥글고 앞쪽은 평평한 것이 특징이다. 만약 앞쪽도 둥글었다면 정면에서 흘러내리는 옷에 가려 대좌가 좁아 보여서 지금과 같은 안정감을 확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또한 선새김으로 옷을 표현했기 때문에 대좌가 원형일 경우 내린 다리와 대좌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처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출처: 중앙박물관>슬픈 얼굴인가 하고 보면 그리 슬픈 것 같이 보이지도 않고
미소짓고 계신가 하고 바라보면 준엄한 기운이
입가에 간신히 흐르는 미소를 누르고 있어서
무엇이라고 형언할 수 없는 거룩함을
뼈저리게 해 주는 것이 이 부처님의 미덕이다.
인자스럽다, 슬프다, 너그럽다, 슬기롭다 하는 어휘들이
모두 하나의 화음으로 빚어진 듯 머리 속이 저절로
맑아 오는 것 같은 심정을 일으키는 것은 이것이 바로
그러한 부처님이 중생에게 내리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인지 모른다.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중에서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에는 해와 달이 장식되어 있는데 사산조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라고 한다. 얼굴은 네모지게 표현하고 있다.
하체에 입은 치마는 U자형으로 주름이 새겨져 있는데 부드럽고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