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충추 탑평리칠층석탑(국보), 중앙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석탑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남한강변 공원에 자리잡고 있는 칠층석탑(국보)이다. 한반도의 중앙에 있다고 ‘중앙탑’으로도 불리며, 중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통일신라 석탑이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부는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만들었으며 각면에는 여러개의 기둥모양을 새겨두고 있다. 탑신부에는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에는 특별한 장식을 두지 않고 있다. 불국사 삼층석탑처럼 장식이 없는 단순한 외형을 하고 있지만 탑신을 높게 쌓아 크고 웅장하게 보인다. 탑신 몸돌에서 고려시대 거울이 발견되어 당시 해체.보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충주 지역은 고구려 전성기때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삼국간의 경쟁이 치열했던 곳이다. 이 탑이 있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고구려가 세원 고구려비(국보), 고구려인 쌓았던 산성인 장미산성(사적), 신라가 한강유역을 장악한 이후 거주했던 신라 지배층의 무덤들인 누암리 고분군(사적) 등이 있다.

<충주 탑평리칠층석탑(국보)>

삼국시대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했던 남한강변 경치좋은 곳에 세워져 있다.

<아래에서 본 모습>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탑신을 놓게 쌓아 크게 웅장한 느낌을 주고 있으나, 안정감은 떨어지는 편이다.

<기단부>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만들었다. 기단부 각면에는 여러개의 기둥모양을 새겨 두고 있으며, 특별한 장식은 없다. 일제강점기 해체.복원 과정에서 기단부 아래에 청동합이 발견되었다.

<탑신부>

1층 몸돌만 높게 조성해 놓고 있다. 각층 몸돌 모서리에 기둥 장식을 새겨놓고 있다.

<옆에서 본 모습>

<석탑 앞에서 내려다 보이는 남한강>

<충주 탑평리 칠층 석탑>

<충주 누암리 고분군(사적)>

탑이 있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삼국시대 중원지역을 장악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온 신라 지배층들의 무덤이다.

충추 탑평리칠층석탑, 국보,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중원(中原) 문화를 대표하는 유산인 이 탑은 신라탑 중 유일한 7층석탑으로 통일신라기에 우리나라의 중앙에 세줘져 ‘중앙탑’이라고 한다. 건립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으나 대체로 8세기 후반 ~ 9세기 초로 파악되고 있으며, 10여 개의 크고 긴 돌로 지대석을 마련하고 2층 기단을 쌓아 올렸다. 탑 전체의 높이는 12.951m로 높이에 비해 상승감이 두드러지는 탑이다. 1917년 해체.복원시 6층 몸돌에서 훼손된 고서류 일부와 구리거울 2점, 목제 칠합과 은제사리함이 나왔고 기단부에서는 청동합이 발견되었는데, 구리거울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이떄에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여러 차례 해체.복원으로 원형과 달라진 부분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안내문, 충주시청, 2009년)

<출처>

  1. 안내문, 충주시청, 200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