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주거지 유적과 무덤 출토 유물

실크로드(Silk Road)는 중국 서안에서 출발하여 중앙아시아 사막과 초원지대를 지나 페르시아를 거쳐 로마의 비잔티움으로 연결되는 길이다. 고대 이래로 동.서 교역로이자 문화교류의 통로였다. 실크로드 상에 존재했던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였던 니야, 누란, 호탄, 투르판 등지에서는 많은 주거지와 무덤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곳에서는 당시의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는 중앙아시아 사막의 건조한 기후 때문에 종이, 나무, 직물과 같은 유물들이 오랜 세월에도 변하지 않고 온전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중앙박물관이 소상.전시하고 있는 투르판 지역 유물 중에는 오타니 컬렉션이라 불리는 유물들이 많다고 한다. 이 유물들은 20세기초 일본 교토의 니시혼간지 주지승인 오타니 고즈이가 총3차에 걸친 중앙아시아 원정을 통해 구입하거나 약탈한 유물들로, 일제강점기에 일본 재벌이 데라우치가 총독이었던 시절 조선총독부에 기증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오타니가 수집한 5천여점의 유물중 1/3이 중앙박물관에, 1/3은 일본에, 1/3은 중국 뤼순에 있다고 한다. 오타니는 혜초가 신라의 승려였다는 것을 증명한 사람이기도 하다.

말을 탄 여인, 騎馬女人像, 투루판, 7~8세기

중앙아시아와 실크로드
아시아 대륙의 중심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는 일반적으로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옛 ‘소련령 중앙아시아’에 속하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을 가리킨다. 우리른 이 지역을 ‘투르키스탄(투르크인의 나라)’ 또는 ‘서역’이라고 부란다.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에서 유라시아를 연결하는 여러갈래의 교역로인 ‘실크로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동서교역로를 장악하려는 주변 여러 세력의 침입과 지배를 지속적으로 받았다. 그리고 교역로는 다양한 인종, 언어, 문화가 이 지역으로 유입되는 중요한 통로로 작용했다. 그 결과 이 지역의 문화는 고대 지중해, 인도, 서아시아, 중국 문화의 요소가 복합된 독특한 모습을 띤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중앙아시아 소장품은 대부분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해당하는 동투르키스탄 지역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지역은 텐산산맥 이북의 초원지대에서 전개된 유목세계와 그 남쪽으 타클라마칸 사막을 중심으로 한 오아시스 세계로 구성되어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단과 북단을 지나는 서역남도와 서역북도를 통해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인도, 서아시아, 중국간의 교류가 본격화 되었다. 그 길목에는 여러 오아시스 도시가 세워져 상업과 종교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출처: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와 실크로드.

지중해 동안 무역항 아티오크에서 당나라 수도 장안까지 이어지는 긴 교역로이다. 장안에서 신라의 수도 경주까지 교역로는 실제적으로 연장되며, 한반도를 거쳐 유라시아대륙 동쪽끝 일본열도까지 이어진다.

당나라 현장법사의 서역순례 이야기를 전해주는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많은 왕국들과 기나긴 여정에 등장하는 고장들은 실제 실크로드상에 존재했던 곳들이다. 그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곳으로는 뜨거운 화염산과 고창국이 등장하는 투루판이 있다. 한나라가 천산산맥 북쪽 유목민족 흉노를 제압하기 위해 군사기지를 건설하고 둔전을 경영한 이래로 한족이 지역토착민과 함께 거주하면서 당나라때까지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학을 했다. 또한 남북조시대에 불교가 동아시아에 전파되는 중요한 경로이기도 하다. 투루판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타림분지 남부에 위치한 호탄은 옥의 생산지로 고대 월지국이 있었던 곳이다. 고대 이래로 동.서 교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 지역으로 대승불교의 동아시아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주거지 유적과 무덤 출토품
극도로 건조한 기후 때문에 중앙아시아에서는 종이, 나무, 직물과 같은 유기질의 유물이 천년의 세월을 지나고도 온전한 모습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슬람화되기 이전 이 지역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였던 니야, 누란, 호탄, 투르판 등지에서는 많은 주거지와 무덤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는 문서, 가구, 직물과 같이 일상생활에 사용된 물건을 비롯하여, 죽은자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그릇, 옷, 인형, 그림 등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 사용된 여러 문자와 언어, 다양한 풍습, 그리고 안락하고 풍요로운 내세에 대한 바람을 찾아볼 수 있다. 무덤에서는 때때로 미라가 된 시신이 발견되기도 한다. <출처:중앙박물관>

투루판 분지.

천산산맥 북쪽 초원지대가 끝나고 남쪽으로 드넓고 타클라마칸 사막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천산산맥에서 관개수로를 통해 물을 끌여들여 농업을 하고 있다. 고대 이래로 중국이 흉노를 비롯한 초원지대의 유목민들을 견제하기 위해서 요새를 중심으로 한족이 들어와 살던 지역이다. 지금은 위그루인이 주민의 다수를 이루고 있다.

로프노르 지역 소하(小河) 무덤과 유물(Xiaohe Tomb in Lop Nor).

중앙아시아 사막은 메마른 건조기후 덕분에 사막에서 수천년이 지난 직물, 가구, 문서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당시의 생활모습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니야의 유적(Ancient site in Niya)

토기받침, 土器臺, 호탄(和田) 요트칸(約特干), 2~4세기,

그릇을 구울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그릇 받침이다.

향로, 香爐, 차르크릭, 3~4세기

작은 항아리, 小壺, 호탄

인물상, 人物像, 요트칸, 3~5세기,

소형 인물상의 단편에 해당한다. 이 중에 얼굴이 하트 모양인 여인상의 경우 완형으로 남아 있는 예가 있는데, 이는 화려한 머리 장식을 하고, 긴 옷을 입고, 아기를 안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여기 전시된 예에서도 높이 올린 머리모양과 동그란 머리장식이 보인다. <출처:중앙박물관>

테라코타 동물상, 動物像, 요트칸, 3~5세기,

테라코타 동물상, 動物像, 요트칸, 3~5세기,

테라코타 동물상, 動物像, 요트칸, 3~5세기,

호탄 지역에서 발견된 테라코타 조각은 세계 여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특정 유적의 발굴품이 아닌 경우가 많아 그 성격을 파악하기 어렵다. 장난감이었거나 부적과 같은 기능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얼굴표정과 자세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졌다. 원숭이가 자주 등장하는 점이 특징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사람과 동물의 얼굴조각, 人面.獸面彫刻, 요트칸, 3~5세기.

여기 전시된 다양한 인물, 동물의 얼굴이 묘사된 조각은 뒷면이 평평하여 용기에 부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형태는 단순하지만, 공통적으로 눈을 크게 뜨고 있으며, 얼굴표정에 생동감이 넘치는 점이 특징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청동거울, 銅鏡, 투루판, 7~8세기,

거울 뒷면에는 나무, 산, 냇가를 배경으로 두 인물이 등장한다. 왼쪽 인물은 물가에 앉아 있으며, 오른쪽 인물은 소를 끌어 가고 있다. 이는 허유세이(許由洗耳)의 고사를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왼쪽 인물이 왕위에 오를 것을 청하는 것을 듣고 귀를 씻었다는 허유이며, 오른쪽은 그 물을 소에게 먹일 수 없어 위쪽 개울로 소를 끌고 가는 소부(巢父)이다. <출처:중앙박물관>

나무접시, 木器, 쿠차(庫車) 쿰트라(庫木吐拉) 석굴사원, 7~8세기,

표면이 검게 칠하여져 있고 바닥에는 ‘금사사(金沙寺)’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금사사는 쿰트라에서 살았던 당나라 사람이 운영했던 사원으로 여겨진다. 쿰트라의 GK제7굴에도 이를 언급한 글씨가 남아 있다. <출처: 중앙박물관>

도구, 木製道具, 투루판(吐魯番), 6~7세기

가면, 木製假面, 쿠차 수바시(蘇巴什), 6~7세기


나무인형, 木製人形, 투루판 시르캅(期瑞克晋), 10~12세기

청동으로 만든 도장, 靑銅製 印章, 쿠차 쿰트라, 1~4세기

봉니(封泥)에 문양을 찍는 데 사용한 도장이다. 봉니는 고대 지중해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문서를 봉한 부분에 진흙을 붙이고, 그 위에 문양을 찍은 것이다. 중앙아시에서는 나무 편지를 봉할 때 사용한 봉니가 자주 발견된다. 여기에는 고대 그리시, 로마 신을 비롯하여, 페르시아 문양, 중국의 한자와 이를 변형한 문양 등이 보인다 <출처: 중앙박물관>

등잔, 燈盞, 호탄,

청동으로 만든 등잔으로, 서아시아 이슬람 문화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이다. 벽면에 걸 수 있게 만들었는데, 걸개의 한쪽은 떨어진 상태이다. <출처: 중앙박물관>

주전자, 注子, 호탄


손잡이 달린 항아리, 雙耳壺, 투루판, 3~4세기


장식이 있는 항아리, 壺, 호탄, 3~5세기,

그리스의 암포라(amphora)를 연상시키는 기형을 지닌 항아리이다. 페르시아에서 유래한 길상문인 연주문 형태를 따로 만들어 표면에 부착했다. 이외에도 선이나 점으로 이루어진 장식을 새겨 넣었다. 입체적인 장식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실용적인 용기보다는 부장을 위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큭다. <출처:중앙박물관>

가면, 假面, 누란(樓蘭), 청동기시대,

바구니, 織造容器, 누란(樓蘭), 청동기시대,

‘떠도는 호수’라고 알려진 로프노 일대에 해당하는 누란지역의 묘에서 발견된 유물이다. 바구니의 경우 풀의 뿌리로 짜서 만들었으며, 표면에는 계단 모양의 무늬가 있다. 이러한 용기는 식량 등을 넣고 천으로 입구를 덮은 후 시신의 머리맡 등에 안치되었다. 가면의 경우 나문에 가죽을 씌워 만든 것으로 눈과 치아에는 뼈를 부착하였다. 눈을 부릎뜨고 있고, 치아를 모두 드러낸 다소 위협적인 표정으로 보아, 무덤을 지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중앙박물관>

삼족벼루, 三足硯, 차르크릭(若羌),3~4세기, 붓과 붓통, 筆.筆筒, 누란, 7~8세기,

당대의 유물로 추정된다. 허리에 찰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보아 휴대용인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1. 중앙박물관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