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불국사 경내에 있는 불국사 삼층석탑(국보)이다. 불국사 주불전인 대웅전이 있는 마당 서쪽에 세워져 있다.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석탑으로 현세의 부처인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탑이라 하여 석가탑이라 불리었으며, 아사달의 슬픈 전설이 담긴 그림자가 보이지 않는 무영탑으로도 불린다. 1960년대 해체.복원시 내부에서 ‘무구정광 다라니경’과 사리함이 발견되었다. 불국사는 불상을 모신 대웅전이 신앙의 중심이 아니라 사방의 회랑으로 둘러져 신앙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마당에 세워진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신 석탑이 신앙의 상징물이었다.
불국사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완성한 석탑이다.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를 올려 놓고 있는데, 각부분의 체감비율은 간결하면서도 조형적인 미(美)가 뛰어나다. 기단부 각면에는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으며, 다른 조각이나 장식은 두고 있지 않다. 탑신은 3층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기단부와 마찬가지로 탑신 몸돌에는 기둥을 새겨 놓고 있다. 지붕돌은 5단으로 새겨놓았는데, 경쾌하면서 날렵한 느낌을 주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복발.앙화만 남아 있었는데, 남원 실상사 석탑 상륜부를 모방해서 지금처럼 복원해 놓았다. 사진으로는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평이한 형태의 석탑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높이 10.4 m의 웅장한 석탑이다. 다보탑과 마찬가지로 신라 경덕왕 때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당시인 8세기 중엽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이 완성된 걸작으로 단순하고 절제되면서도 조각수법이나 비율 등에서 보여주는 빼어난 조형미를 자랑한다. 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기단과 탑신을 이루는 몸돌과 지붕들 등 전체 구성품의 비율에서 안정되면서도 빼어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기단부는 자연석 위에 기단부를 올려놓았는데, 다른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이다. 아랫단은 낮게 윗단은 높게 하여 안정된 느낌을 준다. 목조건축을 본 떠서 모서리와 각 면에 기둥 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현재 석탑은 해체.복원과정에서 그랬는지, 자연적인 현상인지 알 수는 없지만 화강암 석재의 여러 부분에서 손상이 보인다.
불국사 삼층석탑에서 가장 아름다운 3층의 탑신이다. 목탑의 처마를 본 떠서 석탑으로 구현하였다. 지붕돌 모서리들은 모두 치켜올려져 있어 탑이 경쾌하게 날아오르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가 1개의 돌로 만들었다. 몸돌 모서리에 새겨놓은 기둥모양 외 별다른 조각상을 새겨 놓지 않았다.
상륜부 장식은 남아 있지 않아 남원 실상사 삼층석탑 상륜부를 본떠서 새로 만들어 붙혔다. 아랫 부분인 노반.복발.앙화는 원래 있던 것이다.
기단 주위에는 있는 연꽃 모양의 주출돌처럼 생긴 돌이 박혀 있는데 팔방금강좌(八方金剛座)라고 한다. 석가모니 사리를 모신 신성한 영역임을 의미한다고 한다.
불국사 삼층석탑은 일명 ‘석가탑’ 또는 ‘무영탑’이라고 불린다. 탑의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으로, ‘석가탑’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불국사 두 탑을 같은 위치에 세운 이유는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것을 ‘과거의 부처’인 다보불(多寶佛)이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법화경』의 내용에 따른 것이라 한다.
다보탑과 석가탑이 나란히 서 있는 ‘두개의 탑’이라는 느낌을 잘 주고 있는 불국사 대웅전 경내의 가람배치이다. 불국사는 경내는 회랑으로 둘러져 있으며, 불상중심의 사찰에서는 불전 내부가 신앙의 공간이지만, 불국사나 황룡사같은 사찰들은 회랑 내부의 공간 전체가 신앙의 공간이었으며 불상이 아닌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탑이 신앙의 중심이었다.
<수학여행으로 이곳을 찾은 어린 학생들로 붐비는 불국사>
1966년 해체.수리과정에서 발굴된 사리함. 현재 불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국보, 경북 경주시 진현동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3층 석탑으로 높이 10.63 m이다. 동쪽탑인 다보탑과 마주 보고 있으며 석가탑 또는 무영탑(無影塔, 그림자가 비치지 않는 탑이라고 한다. 석가탑을 무영탑이라고 하는 이유는 석가탑을 지은 백제의 석공 아사달을 찾아 신라의 서울 서라벌에 온 아사녀가 남편을 만나보지도 못한 채 연못에 몸을 던져야 했던 슬픈 전설이 서려 있기 때문이다. 정식 명칭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說法塔)”으로 『법화경(法華經)』의 다보여래(多寶如來)와 석가여래가 나란히 앉아 설법하고 증명한다는 데서 연유한다. 기단 주위에는 팔방금강좌(八方金剛座)라고 부르는 연꽃 8개를 연결한 구역이 있는데 부처님의 사리를 두는 깨끗한 곳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구역 안쪽 기단 아래에는 자연석으로 인공 암반을 만들었다. 2단의 기단 위에 3층으로 몸돌과 지붕돌을 올렸다. 이 탑은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도굴법에 의하여 훼손된 것을 1966년 12월에 수리하였다. 이 때 2층 몸돌의 윗면 가운데에 있는 네모 사리공 안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사리장엄구와 함께 발견되었다. (안내문, 경주 불국사, 2009년)
<출처>
- 안내문, 경주 불국사, 2009년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 위키백과,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