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양군 산해리 반변천 옆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모전석탑(국보)이다. 봉감모전오층석탑으로도 불렸던 이 석탑은 안동으로 흐르는 아름다운 강변에 홀로 서 있다. 높이 9m의 큰 석탑으로 흙과 돌을 섞어 낮게 쌓은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렸다. 외형상으로는 전탑처럼 보이지만 작은 돌을 다듬어 벽돌처럼 쌓아올린 모전석탑이다. 1층 몸돌에는 불상을 모시는 감실을 두었는데, 화강석으로 만든 기둥과 이맛돌이 장식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지붕돌은 전탑과 마찬가지로 아래와 위에 계단모양을 층을 두고 있다. 통일신라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세부적인 축조방식도 뛰어난 모전석탑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석탑의 규모로 볼 때 이 곳에는 상당히 규모가 큰 사찰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도로에서 많이 떨어진 강가에 자리잡고 있지만, 경주에서 죽령과 연결되는 중요한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모전석탑은 돌을 가공하여 벽돌로 쌓은 것처럼 만든 것을 말한다. 벽돌을 굽는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신라와 통일신라 때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주로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죽령을 거쳐 한강하류를 통해 중국 당나라와 연결되는 지역에서 주로 조성되었다.
영양 산해리 모전오층석탑(국보). 작은 돌을 벽돌처럼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각부분의 비례가 적절하여 안정적으로 보이며, 벽돌을 다듬고 쌓는 세부적인 수법도 뛰어나다.
1층 기단은 흙과 돌을 섞어 낮게 만들었으며, 2층 기단은 10여개의 큰 돌로 만들었다. 탑신 1층 몸돌은 높게 만들었으며 가운데 불상을 모시는 감실이 있다.
감실 입구의 화강암으로 만든 기둥과 이맛돌이 장식적인 효과를 준다.
2층부터는 몸돌 중간에 돌을 돌출되게 내밀어 띠를 이루고 있다. 지붕돌은 전탑의 양식에 따라 아래윗면 모두 계단 모양의 층을 이루고 있다.
절터 앞으로는 영양에서 안동으로 흐르는 낙동강 지류인 반변천이 흐른다. 이곳은 경주에서 청송을 거쳐 영주로 연결되는 통일신라시대 중국 당나라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당나라 산동지방의 전탑에서 큰 영감을 받았던 당시 사람들이 세웠던 전탑이나 모전석탑이 이 교통로 주변에 주로 남아 있다.
영양 산해리 모전오층석탑, 국보 187호,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5층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높이는 약 9m이다. 봉감마을에 있기 때문에 봉감탑이라고도 불린다. 평평한 자연석 기단 위에 2단의 탑신 받침을 쌓고 탑신은 수성암(水成岩)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았다. 탑신 하반부에는 화강암으로 섬세하게 조각한 문주(門柱)와 미석(眉石)이 있는 불상을 모시는 감실(龕室)이 있다. 이 탑은 모전석탑 계열에 속하는 우수한 탑으로 장중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안내문, 문화재청, 2009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