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삼층석탑이다. 보물로 지정된 다른 성주사지에 다른 석탑과는 달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 위에는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두고 있으며, 1층 몸돌에 문짝, 자물쇠, 문고리가 새겨져 있다. 절터내 다른 삼층석탑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원래 절터내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옮겨 놓은 것이다.
성주사(聖住寺)는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었던 사찰로 통일신라 선종 구산선문 중 성주산파의 중심사찰이었다. 충남 보령시에서 공주, 부여와 연결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산중에 자리잡고 있지만 그 규모가 상당히 큰 평지사찰로 금당 뒷편에 3기의 삼층석탑, 앞편에는 오층석탑이 배치된 특이한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동삼층석탑은 다른 곳에서 옮겨 왔기 떄문에 금당 뒷편에 2개의 탑이 세워 별도을 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처의 사리를 모신 탑을 중요시 했던 기존 불교와는 달리 수행을 중시여기는 선종계열 불교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 글을 지은 낭혜화상탑비(국보 8호)가 절터에 남아 있다.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석탑 중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외형상 다른 삼층석탑과 큰 차이가 없다.
기단부 위에 1층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두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문고리와 자물쇠가 있는 문짝을 새겨 놓고 있다. 다른 것에 비해 조각수법이 약간 떨어지는 편이다.
탑신. 지붕돌은 끝을 살짝 들어 올려 경쾌한 느낌을 준다.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았다.
금당 뒷편에 비슷하게 생긴 3기의 석탑을 나란히 세워 놓았다. 동쪽 끝에 세워진 이 석탑은 다른곳에 있던 것을 옮긴것이다.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통일신라,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이중기단 위에 만들어진 3층 석탑으로 면석과 탑신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옥개석에는 4단의 층급 받침이 모각되어 있는 등 통일신라 말기의 전형적인 3층 석탑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1층 탑신석에는 문액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고리를 돋을새김하였다. 승탑으로 추정되어 오다가 성주사사적기에 의해서 사리탑으로 확인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사지 내의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으로 밝혀졌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0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