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중앙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는 자물쇠와 짐승얼굴 모양의 문고리, 못머리 모양을 새겨 놓았다.  전제적인 비율이 적절하며,  날렵하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잘 만들어진 석탑이기는 하지만 세부적인 표현이나 조각 수법 등 등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통일신라 말에 만들어진 삼층석탑이다.

성주사(聖住寺)는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었던 사찰로 통일신라 선종 구산선문 중 성주산파의 중심사찰이었다. 충남 보령시에서 공주, 부여와 연결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산중에 자리잡고 있지만 그 규모가 상당히 큰 평지사찰로 금당 뒷편에 3기의 삼층석탑, 앞편에는 오층석탑이 배치된 특이한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동삼층석탑은 다른 곳에서 옮겨 왔기 떄문에 금당 뒷편에 2개의 탑이 세워 별도을 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처의 사리를 모신 탑을 중요시 했던 기존 불교와는 달리 수행을 중시여기는 선종계열 불교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 글을 지은 낭혜화상탑비(국보 8호)가 절터에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불국사 삼층석탑과 비슷한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날렵하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OLYMPUS DIGITAL CAMERA1층 기단부. 낮고 넓게 만들어져 안정감을 주고 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2층 기단은 높게 만들었으며, 탑 모서리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과 몸돌 사이에 탑신을 받치기 위한 별도의 괴임돌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1층 몸돌에는 자물쇠 모양과 문짝 모양을 조각해 놓고 있다. 자물쇠 아래로 짐슴 얼굴모양 문고리 한 쌍을 배치해 놓고 있으며, 나머지 공간에는 못모양을 새겨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정면에서 본 중앙 삼층석탑.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앞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성주사지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건물터 등을 고려해 볼 때 형식적인 의미가 강한 것으로 보인다.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물20호, 통일신라,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성주사의 금당지 뒤편 동쪽과 서쪽으로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 중 가운데 있는 3층 석탑이다. 왼쪽.오른쪽의 탑들과 같은 양식이지만 몸돌이 다른것에 비하여 화려하다.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옥개 받침이 모두 4단이다. 초층 탑신의 남북 면에는 조각이 새겨져 있는데, 3충의 문형액 안에 자물쇠 조각이 있고 그 아래 둥근 고리 1쌍이 움푹 들어가게 새겨졌다. 또 왼쪽, 오른쪽 대칭으로 14개씩의 둥근 못 모양을 새겼다. 이 몸돌 윗면에 거친 솜씨로 둥근 사리공이 파져 있다. 2층과 3층의 지붕돌 너비가 탑신 높이보다 약 2배 가량 넓게 만들어졌고,기단과 몸돌 사이에 별도의 괴임돌을 갖추었다. 이 탑은 조각수법이 우수하고 상하의 비례가 경쾌하며 화려하고 날카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탑의 양식과 성주사 낭혜화상비가 세워진 연대를 고려해 볼 때 통일신라 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0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