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삼층석탑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을 계승한 고려초기 석탑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후기 정형화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기단과 몸돌간의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가 떨어지는 편이다. 탑의 높이는 3.2m로 3층으로 세워진 탑신을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왜소한 느낌을 준다. 1층 몸돌에는 감실을 표현은 문짝을 새겨놓고 있는데, 조각수법이 많이 떨어지며 형체를 구분하기 힘들다.

흥법사는 <고려사>에 신라때 세워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사찰이다. 이 곳에는 염거화상탑, 진공대사부도, 진공대사탑비와 삼층석탑이 남아 있었는데, 지금의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진공대사탑비만이 남아 있다. 고려를 건국하던 시기에 주로 활동한 진공대사와 관련된 사찰이며 임진왜란때 불타버린 후 중건되지 않고 폐사지로 변해버린 것으로 보인다. 인근 지역에는 통일신라말과 고려초에 세워진 승탑과 탑비 등이 많이 남아 있는데, 세밀하고 화려한 조각수법을 보이면서 웅장한 느낌을 준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사찰에서 탑은 형식적인 면모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승탑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보물)>

흥법사 절터로 알려진 곳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이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와 세부적인 조각 솜씨도 떨어지는 고려초기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기단부>

1층에는 낮게 만들었으며 안쪽에는 안상을 새겨 놓았다. 2층 기단은 상대적으로 높게 만들었으며, 위에 올려 놓은 돌을 경사지게 만들어 지붕처럼 보인다.

<3층으로 된 탑신>

기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 왜소한 느낌을 준다.

<탑신 1층 몸돌>

감실을 표현한 문짝을 얕게 새겨 놓았다.

<뒤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서쪽)>


<오른쪽에서 본 모습>

<남한강 지류인 섬강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한 흥법사지 절터>

이 곳에는 염거화상탑, 진공대사부도, 진공대사탑비와 삼층석탑이 남아 있었는데, 지금의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진공대사탑비만이 남아 있다.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보물,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이 탑은 2중의 기단 위에 3층의 몸체부를 갖춘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1층 기단에는 기둥을 새기지 않는 대신 안상(탑면석에 팔면의 오금곡선으로 안쪽을 파낸 모양)을 새기고, 그 안에 땅으로부터 꽃이 솟아나는 모습을 조각하여 고려시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2층 기단의 면은 여러 장의 넓은 돌로 만들었으며, 모서리 기둥과 버팀기둥을 새겨 놓았다. 기단의 갑석(뚜껑처럼 덮은 돌) 위에 탑의 몸돌과 만나는 부분은 3단으로 꺾어 놓았다. 탑의 몸돌은 한 면에 2개의 모서리기둥을 새겨 놓았다. 몸돌의 폭과 탑 몸체의 높이가 기단에 비해 지나치기 줄어 탑의 윗부분이 빈약해 보인다. 탑의 지붕돌은 윗부분이 두꺼우며 물매가 급하고, 추녀끝을 약간 치켜올려 놓았으며 처마의 바딤은 4단으로 꺾어 놓았다. 탑 위의 장식물로는 노반(탑의 꼭대기 층에 있는 네모난 지붕 모양의 장식)과 복발(탑의 위쪽에 주발같이 엎어놓은 장식)만이 남아 있다. 높이는 3.2m이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1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