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보물), 팔부중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높이 5m로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삼층석탑이다. 기단에는 각면에 2매씩 팔부중상을 새겨 놓고 있다. 사천왕상을 새겨놓은 다른 석탑과는 달리 탑신 몸돌에는 기둥모양만 새겨놓과 있다. 졍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전체적인 비례가 잘 구성되어 있으나, 세부 조각수법은 떨어지는 편이며, 탑을 만든 석재도 양호한 편은 아니다. 석탑 제작기술이 쇠퇴하는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에서 소탑(小塔) 60여 기와 동탁(銅鐸) 1개가 발견되었다.

선림원(禪林院)은 강원도 동해안 양양과 속초지역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인 56번국도가 지나가는 구룡령 아래 계곡에 위치한 큰 사찰이었다. 통일신라 때(9세기) 홍각선사가 창건한 이 사찰은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선종계열 사찰이었다. 구룡령을 넘기전에 잠시 머물수 있었던 곳으로 많은 승려들과 여행객들을 위한 쌀을 씻은 물이 끝없이 흘러내린다고 해서 미천골로 불렸다. 1948년에 명문(銘文)이 있는 신라 범종이 발견되었으며, 절터에는 석탑(보물)을 비롯하여 석등(보물)·홍각선사탑비(보물 )·승탑(보물) 등이 전해지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말에 조성된 것으로 다른 석탑과는 달리 윗층 기단에 팔부중상을 새겼으며, 사천왕상이나 십이지신상은 없다. 전체적인 비례는 양호하나 세부 조각수법은 떨어지는 편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기단부 . 윗층기단부에 팔부중상을 새겼으며, 아랫층 기단에는 장식이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서쪽에 새겨진 팔부중상.

OLYMPUS DIGITAL CAMERA북쪽에 새겨진 팔부중상.

OLYMPUS DIGITAL CAMERA동쪽에 새겨진 팔부중상.

OLYMPUS DIGITAL CAMERA
탑신부. 지붕돌과 몸돌은 각각 1개으로 돌로 만들었다. 1층 몸돌에 사천왕상을 새긴 비슷한 형태의 삼층석탑과는 달리 기둥모양만 새겨놓고 있다. 지붕돌은 평평하며 끝을 살짝 들어올렸다. 

OLYMPUS DIGITAL CAMERA석탑 앞에 놓여진 배례석.

OLYMPUS DIGITAL CAMERA
남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서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소탑 모양 사리기, 통일신라,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 탑의 기단부에서 출토된 것으로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선림원지 삼층석탑, 보물444호,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
이 석탑은 이중기단 위에 건립된 높이 5m의 3층 석탑을 신라 석타브이 전형적 석탑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다. 지대석은 6매의 판석으로 짜고 하층기단 면석은 대체로 각면 2매씩 8매의 장대석으로 구성하였으며 갑석은 6매로 덮었다. 상층기단 면석은 각면 2매씩 8매의 판석으로 구성하여 양 우주와 탱주로 구획한 후 각각 팔부중상을 1구씩 조각하였으며 갑석은 4매의 판석으로 덮었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1석씩으로 조성되었느데 조식은 없다. 상륜부는 2층 단이 있는 노반이 있고, 그 위에 보주형의 작은 석재가 있으나 원형이 아닌 듯하다. 조각이 섬약하고 석재 구성도 규율성을 잃어 9세기 이후의 제작으로 추정된다. 탑 앞에는 안상이 있는 정례석이 남아 있으며 기단 부근에서 소탑 64기와 동탁 1개가 발견되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0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