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탑이 완성된 모습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경내에 있는 2기의 삼층석탑(국보)이다. 탑은 주불전인 대적광전 앞 마당에 석등과 함께 남북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남탑이 5.4m, 북탑이 5.9m로 크지 않은 규모이다. 2개의 탑은 구조와 크기가 똑같은 쌍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았다. 불국사 삼층석탑 이후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탑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석탑들이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지붕돌 밑변 받침은 5단이고 지붕돌 모서리가 들려있으며,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기는 등의 특징들이 있다. 특히, 머리장식이 손상되지 않고 온전히 남아 있어 통일신라 석탑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장흥 보림사(寶林寺)는 통일신라말 보조선사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 통일신라말 선종을 이끈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에서도 가장 먼저 열었던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중심사찰이었다. 한국전쟁으로 건물이 소실되기 전까지는 20여 동의 전각을 갖춘 큰 사찰이었다. 사찰내에는 삼층석탑과 석등(국보44호),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동승탑(보물), 서승탑(보물), 보조선사탑(보물)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과 석등(국보). 높이 6m 정도의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2기의 탑 중 남쪽에 위치한 삼층석탑. 높이 5.4m로 2층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렸다. 전체적인 비율에서 주는 조형미나 세부 조각수법이 우수한 편이다. 상륜부와 배례석 등 석탑을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온전히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탑 기단부. 아래층 기단을 아주 낮게 만들었으며, 위층 기단의 윗부분 받침돌을 얇게 만들었다. 모서리와 옆면에 기둥모양을 새겨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탑 탑신부.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지붕돌은 모서리를 극단적으로 치켜올려 날렵함을 강조하고 있다. 지붕돌 아래 받침을 5단으로 하는 등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정형화된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탑 상륜부. 머리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어 통일신라 석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석탑 앞에 놓여진 배례석. 옆면에 안상을 새겨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
옆쪽에서 본 남탑.

OLYMPUS DIGITAL CAMERA
뒷쪽에서 본 남탑.

OLYMPUS DIGITAL CAMERA
북탑은 높이 5.9m로 남탑과 비슷한 크기와 형태를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북탑 기단부.

OLYMPUS DIGITAL CAMERA북탑 탑신부.

OLYMPUS DIGITAL CAMERA북탑 상륜부 머리장식.

OLYMPUS DIGITAL CAMERA북탑 앞에 놓여진 배례석.

OLYMPUS DIGITAL CAMERA
뒷쪽에서 본 북탑.

OLYMPUS DIGITAL CAMERA보림사 천왕문을 들어서면 볼 수 있는 모습. 주불전은 비로자나여래를 모시는 대적광전으로 해가 뜨는 동쪽을 향하고 있다. 그래서 2개의 탑이 남.북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앞쪽에서 본 2개의 탑.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2개의 탑.

OLYMPUS DIGITAL CAMERA대적광전 앞에서 본 2개의 탑.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국보44호, 전남 장흥군 유치면 장흥사
이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것으로 불교의 상징적인 예배의 대상이다. 두 탑은 비슷한 규모와 구조를 하고 있다. 이 탑은 1932년에 사리장치를 훔치려다 넘어뜨렸던 것을 복원할 때 1층 탑신부 사리구멍에서 사리와 함께 조성 내용이 기록된 탑지가 나와 신라 경문왕 10년(870)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높이는 남 탑이 5.4m, 북탑이 5.9m이다. 석등은 부처님의 빛이 사방을 비춘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있다. 석등은 지대석을 제외한 기단, 몸체돌, 지붕돌 모두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석등은 각 부의 비례가 알맞아 조화도 빼어날 뿐 아니라, 손상없이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높이는 3.12m이다. 탑과 석등은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양식을 갖추고 있고, 또한 모두 완전하게 남아 있어 석탑, 석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