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탑(보물)이다. 고려초 승려 원종대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든 것으로 보인다. 3단으로 만든 기단 위에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높이 2.5 m로 그 규모가 크고 웅장하다. 기단 아래받침돌은 네모난 형태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가운데 받침돌은 8각형 평면에 거북을 중심으로 네마리의 용이 다투고 있는 모습과 구름무늬를 조각해 놓고 있다.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탑신은 8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몸돌에는 4개의 문과 사천왕상을 새겨 놓고 있다. 지붕돌은 두껍게 만들었었는데 끝부분이 위를 향하고 있으며 꽃장식이 달려 있다. 고려초를 대표하는 승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다.
원종대사는(869~958년) 통일신라 경문왕때 태어나 고려광종 때까까지 활동했던 승려로 이름은 찬유(璨幽)이다. 통일신라 진성여왕 때 출가하여 중국에서 공부하였으며, 이곳 고달사에서 많은 제자들을 가르쳤다. 고려 광종 때 고달사에서 입적했으며, 원종이라는 시호와 혜진이라는 탑이름을 받았다. 탑비(보물 6호)의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은 고달사지에 남아 있으며 글씨가 적힌 비몸은 현재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보물). 고려초 광종때 고달사에서 입적한 원조대사 찬유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고달사지 승탑(국보)과 마찬가지로 가운데 받침돌에 거북과 용이 새겨져 있다.
기단부는 연꽃이 새겨진 네모난 아래받침돌 위에 거북과 4마리의 용이 구름속에서 다투는 모습을 새긴 둥근 형태의 가운데받침돌, 연꽃무늬가 새겨진 8각형의 윗받침돌로 구성되어 있다.
뒷쪽에서 본 가운데 받침돌. 구름속에서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탑신은 8각형 평면으로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머리장식을 올렸다. 몸돌 가운데에는 감실출입문인 문짝을 표현했으며, 그 양쪽에 사천왕상을 새겼다.
지붕돌은 수평적으로 만들었는데 모퉁이를 들어올리고 장식을 올열ㅆ다. 지붕돌 위에 머리장식이 올려져 있다.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탑비(보물 6호), 머릿돌과 거북받침돌만 남아 있는데 그 규모가 상당히 크고 웅장하며, 조각수법 또한 힘이 넘친다.
고달사지(高達寺址, 사적382호)는 여주시 남한강변에서 강원도 내륙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광종 이후 크게 번창했다가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다. 고달사에는 석조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는편인데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들었다고 전한다. 현 남아있는 유물로는 국보로 지정된 고달사지 승탑(국보4호), 원종대사탑(보물7호), 원종대사탑비(보물6호), 석불대좌(보물8호) 등이 절터에 남아 있으며, 쌍사자석등(보물282호)는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최근에 발굴작업이 완료되어 당시 절의 규모가 확인되고 있는데 상당히 규모가 컸던 사찰로 보인다.
여주 고달사지(사적 382호). 여주에서 남한강을 건너 춘천을 비록한 강원도 북부 내륙지역과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보물7호,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통일신라 시대부터 고려 광종 때까지 활동한 원종대사(869~958년)의 부도인데, 원종대사 탑비의 비문에 의하여 977년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부도는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팔각원당형 부도로 높이 2.5 m이다. 이 부도는 4장의 돌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지대석과 위에 하대석 중대성 상대석이 놓여 있다. 하대석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중대석에는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린 거북을 중심으로 네 마리의 용이 있는데 몸통 사이에는 구름 문양을 가득 새겨 넣었다. 상대석의 아래쪽에도 연꽃 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윗쪽에는 몸돌을 받치기 위한 1단의 받침이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의 끝에는 꽃무늬가 크게 조각되어 있고 상륜부에는 꽃무늬가 조각된 복발 위에 작은 보개와 보주가 놓여 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0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