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서울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중인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이다. 승탑은 8각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기단부 아래.위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고, 북모양을 하고 있는 가운데 몸돌에는 구름과 용이 뒤엉켜 있는 모습이 입체감있게 조각되었다. 탑신 몸돌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앞뒤에 자물쇠가 달린 문짝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에 서까래, 기와골 등이 사실적으로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석관에는 불교경전과 관련 유물들이 담겨 있었다고 한다. 통일신라 조각기술이 남아있는 웅장하고 화려하게 만들어진 승탑이다. 석관 또한 뚜겅이 온전히 남아 있고, 승려의 무덤으로 사용한 흔치않은 유물이다.

진공대사는 통일신라말기 당나라에 유학을 하고 돌아와 신덕왕의 스승이 되었으며, 고려초에도 태조의 왕사가 되어 두터운 존경을 받았다. 승탑과 함께 세워진 탑비에는 그의 행적을 기리는 내용이 적혀 있는데, 태조 왕건이 직접지었으며, 당태종의 행서를 집자하여 만들었다.

<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 중인 흥법사지 진공대사탑과 석관(보물)>


<앞에서 본 모습>

탑은 대좌형태의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가 우수하며, 세부 조각수법 또한 뛰어나다.

<받침돌>

아래,위 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았으며, 북모양을 하고 있는 가운데받침돌에는 구름과 용무늬가 입체적으로 생동감있게 조각되어 있다.

<뒤에서 본 가운데 받침돌>

<탑신 몸돌>

팔각형으로 된 몸돌에는 앞,위에 문짝모양을 새겼으며, 모서리에는 꽃무늬를 조각해 기둥처럼 만들었다.

<뒤에서 본 몸돌>

<지붕돌>

지붕돌은 실제 목조건축물처럼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처마는 겹처마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아래 3단으로 받침을 새겼다. 팔각형으로 된 지붕은 모퉁이 끝을 살짝 들어올리면서 꽃무늬를 조각해 놓았다.

<옆에 세워진 석관>

불교 경전과 함께 관련된 유물을 담아 두었다.

<진공대사탑비(보물)>

원주 흥법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진공대사탑비(보물)이다. 힘찬 모습과 생동감 넘치는 표현이 돋보인다.

흥법사는 <고려사>에 신라때 세워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사찰이다. 이 곳에는 염거화상탑, 진공대사부도, 진공대사탑비와 삼층석탑이 남아 있었는데, 지금의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진공대사탑비만이 남아 있다. 고려를 건국하던 시기에 주로 활동한 진공대사와 관련된 사찰이며 임진왜란때 불타버린 후 중건되지 않고 폐사지로 변해버린 것으로 보인다. 인근 지역에는 통일신라말과 고려초에 세워진 승탑과 탑비 등이 많이 남아 있는데, 세밀하고 화려한 조각수법을 보이면서 웅장한 느낌을 준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사찰에서 탑은 형식적인 면모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승탑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원주 흥법사지>

고려시대 삼층석탑(보물)과 진공대사탑비(보물)가 절터에 남아 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보물, 강원도 원주시 흥법사터
이 승탑은 신라 신덕왕과 고려 태조의 왕사를 지낸 진공대사 충담(忠湛, 869~940년)의 묘탑이다. 진공대사의 입적과 함께 세워진 것으로 여겨지는 이 승탑의 탑신은 팔각 집 모양을 기본 평면으로 하고 있지만, 기단 중대석은 원통형에 구름과 용무늬가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어 매우 이채롭다. 이 탑과 함께 발견된 석관을 통해, 고승의 시신을 화장뿐만 아니라 매장도 했음을 알 수 있다. (안내문, 국립중앙박물관, 2012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