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고달사지 쌍사자석등(보물), 2마리의 사자가 생동감있게 표현된 석등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중인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보물 282호)이다. 여주 고달사 절터에 있던 것을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다시 옮겨졋다. 높이 2.4 m로 석등으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까지만 남아 있었는데, 고달사지 절터 발굴조사 과정에서 지붕돌이 발견되어 현재의 모습을 찾게 되었다. 안상이 새겨진 직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2마리의 웅크린 사자가 석등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가운데와 윗받침돌에는 연꽃과 구름문양을 새겨 놓고 있다. 화사석은 4면이 창으로 뚫린 형태를 하고 있다. 아래받침돌로 만들어진 2마리의 사자상은 화강암에 새겨진 조각상으로도 상당히 화려하고 아름다운 석상이다. 통일신라의 예술성과 조각기술이 남아 있는 고려전기의 유물이다.

고달사지(高達寺址, 사적382호)는 여주시 남한강변에서 강원도 내륙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광종 이후 크게 번창했다가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다. 고달사에는 석조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는편인데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들었다고 전한다. 현 남아있는 유물로는 국보로 지정된 고달사지 승탑(국보), 원종대사탑(보물), 원종대사탑비(보물), 석불대좌(보물) 등이 절터에 남아 있으며, 쌍사자석등(보물)는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최근에 발굴작업이 완료되어 당시 절의 규모가 확인되고 있는데 상당히 규모가 컸던 사찰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석등(보물 282호). 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중이다. 고려초에 만들어진 석등으로 각부분의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섬세한 표현의 조각수법 등이 돋보이는 걸작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기단부. 안상이 새겨진 사각형 바닥돌 위에 아래받침돌로 2마리의 사자를 올려 놓았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구름무늬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SANYO DIGITAL CAMERA생동감이 넘치면서 섬세한 조각수법이 돋보이는 쌍사사상.

SANYO DIGITAL CAMERA화사석과 지붕돌을 8각형이며, 화사석 4면에 창을 뚫었다.

SANYO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고달사지 쌍사자석등.

SANYO DIGITAL CAMERA여주 고달사지(사적 382호)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석등, 보물 282호, 경기 여주 고달사터
두마리 사자가 불발기집을 받치고 있는 매우 특이한 형태의 석등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러한 형태의 석등이 등장하지만, 이 고달사 쌍사자 석등은 다른 쌍사자 석등과 달리 웅크린 사자가 불발기집을 받치고 있어 이채롭다. 이 석등은 고달사가 우리나라 3대 선원의 하나인 고달원으로 명성을 떨치던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안내문, 국립중앙박물관, 2012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