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 윤다의 승탑

전남 곡성군 죽곡면 동리산 태안사 입구에 있는 광자대사탑(보물)이다. 높이 약 3 m의 탑은 고려초 태안사를 크게 일으킨 승려 광자대사 윤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탑은 8각형으로 된 승탑으로 적인선사탑의 양식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에는 덩굴무늬와 연꽃무늬가 새겨졌다. 가운데받침돌은 낮게 만들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두 줄로 조각하였다. 탑신 몸돌에는 향로, 문짝, 사천왕상을 새겼다. 지붕돌은 높게 만들었는데 서까래, 기왓골, 막새기와 등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꼭대기 머리장식도 지붕돌처럼 화려하고 섬세하게 조각하였다. 탑은 전체적인 모습이 온전히 남아 있으며, 세부적인 조각수법이나 섬세한 표현 등이 돋보인다.

광자대사  윤다(廣慈大師  允多, 864~945년)는 고려초 구산선문 동리산파 3대 종조(宗祖)이자 태안사를 크게 중창하였다. 어려서 집을 나와 사방을 다니다가 동리산에서 선을 수행했으며 승려 혜철에게서 배웠다. 선승(禪僧)이면서도 율법을 중시여겼다. 시호는 광자대사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했던 고려초 승려 윤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탑은 석조대좌 모양의 기단위에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승탑의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기단부는 8각형의 바닥돌 위에 올려져 있다. 아래받침돌 각면에는 당초문을 새겼으며 그 위에 상단을 만들어 안상을 새기고 다시 그위에 연꽃무늬를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낮게 만들었으며 윗받침돌 위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그 위에 상단을 만들어 난간모양을 새겼다.

OLYMPUS DIGITAL CAMERA지붕돌 몸돌에는 앞뒤로 문짝을, 옆면에는 향로모양을, 그 사이에는 사천왕상을 새겼다.

OLYMPUS DIGITAL CAMERA지붕돌은 높은 편이며 서까래나 기와골 등을 섬세하가 표현하고 있다. 머리징은 원래의 모습이 훼손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동남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
남서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광자대사탑이 있는 태안사 입구. 뒷편으로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이 남아 광자대사탑비(보물275호)가 보인다.

태안사(泰安寺)는 곡성군 동리산(桐裏山)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 때 3명의 승려가 창건했다 전해진다. 통일신라 말 승려 혜철이 머물면서 선종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동리산문의 중심사찰이 되었다. 고려초에는 광자대사가 크게 중창하면서 지역의 중심사찰이 되었으나 고려중기 이후 수선결사를 이끈 송광사가 번창하면서 크게 위축되었다. 조선초에는 효령대군이 머물기도 했다. 사찰내에는 적인선사탑(보물 273호), 광자대사탑(보물 274호), 광자대사탑비(보물275호)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통일신라 선종 동리산문 중심사찰이었던 곡성 태안사.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보물274호, 전남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이 승탑은 고려 초 태안사를 중창한 광자대사의 부도로 고려 제4대 광종 원년(950)에 세워졌다. 이 부도는 기단부부터 옥개석과 상륜부에 이르기까지 8각형으로 이루어진 8각원당형으로, 신라시대 석조 부도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 여러 단을 중첩된 기단부의 맨 아래에는 저석과 좌대(받침대)를 대각선 방향으로 조각하였으며, 하대석의 각 면에는 당초문(덩굴무늬)을 정교하게 새겼다. 하대석 위에는 상단을 두었는데, 각 면에는 눈 모양의 안상이 2좌씩 있고 그 위에 16옆의 이중 연꽃잎이 아래로 향하고 있다. 그 위의 중대석에는 안상을 각 면에 1좌씩 새겼으며 상대석 또한 팔각으로 16엽 연꽃잎을 두텁게 새겼다. 그 위에는 단을 마련하여 몸돌인 탑신을 받치고 있는데, 이것은 2단의 팔각형 받침과 난간을 모방한 것이다. 탑신의 양 옆면에는 탁상에 놓인 향로를 두었고 좌우로 사천왕 입상이 양각되었으며 앞뒤 면에는 문모양을 새겼다.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지붕 양식을 따라 암키와와 수키와, 서까래, 부연 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상륜부는 공양그릇을 엎은 모양의 복발, 바퀴 모양의 보륜, 구슬 형태의 보주 등이 있다. 이 부도는 상하 비례가 우아하고 정교하며 완전한 상륜부 조각 또한 매우 우수하다. 시기적으로 앞선 적인선사탑의 형식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7호)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