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읍성터 출토된 거대한 석등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야외에 전시되고 있는 석등이다. 통일신라 석등 중 가장 큰 규모인 높이 5.63 cm의 석등이다. 원래 경주읍성에 아래받침돌, 가운데 받침돌, 윗받침돌 일부난 남아 있던 것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 8각형 평면으로 아래받침돌 옆면에는 신장상을 새겼다. 아래받침돌 윗부분과 윗받침돌에는 서러 마주보는 형태로 연꽃잎을 크고 입체감있게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모양을 하고 있다. 화사석과 지붕돌은 남아 있지 않아 원래 모습은 알 수 없다. 통일신라 전성기의 뛰어났던 조각기술과 조형미를 보여주는 석등이다.

불을 밝히는 등(燈)은 인류의 문명생활과 함께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졌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불을 밝혀 조명을 하는 등기(燈器)와 부처에 불빛을 올리는 공양구의 성격을 같이 가지고 있다. 목조건물을 모방해서 만든 승탑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는데 석탑이나 승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이후 많은 사찰에서 석등을 세웠는데 경주보다는 지방의 화엄십찰이나 선종계통 사찰에서 크고 웅장한 석등이 많이 남아 있다.

<경주읍성 출토 석등>

국립경주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다. 높이가 6 m에 이르는 거대한 석등으로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받침돌>

안상속에 신장상이 입체감있게 새겨졌다. 윗변에 조각된 연꽃잎도 입체감이 넘친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

<석탑 앞에 놓여진 배례석>

석등, 경주읍성터 출토, 통일신라 8~9세기, 높이 5.63 m
경주읍성에 있던 이 석등은 하대석, 기다란 팔각기둥, 그리고 상대석 일부만 남아 있었으나,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와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했습니다. 복원한 석등 높이가 거의 6미터에 이르는데, 통일신라 석등 가운데 가장 큰 석등이었을 것입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은 등불을 밝히는 곳의 높이가 거의 5미터에 가까운데 어떻게 불을 켰을까 하는 점입니다. 매번 사다리를 놓았을까요? 그 답은 남원의 실상사 석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실상사 석등 앞에는 돌계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이 석등에도 그런 돌계단이 있지 않았을까요? 석등 앞에 있는 배례석은 향이나 각종 공양물을 올려 놓기 위한 것입니다. 1938년 경주 교동에 살던 최대식 선생이 기증한 것인데, 원래 있던 곳을 알 수 없어 아쉬울 따름입니다. (안내문, 국립경주박물관, 2012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국립경주박물관

Commen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