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관청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계곡 중간쯤 저수지 부근에 분포하고 있는 190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계곡 북쪽 언덕을 따라 많은 고인돌들이 밀집하여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들은 대부분 4각형의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 언덕에는 떼었던 큰 채석장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모산마을에서 보검재(해발 188.5 m)를 넘어 춘양면 대산리로 연결되는 약 5 km의 고갯길 주면에 흩어져 있는 596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고갯길 입구에서 조금 지나서 작은 저수지 주변에 190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는 관청바위고인돌군을 볼 수 있다. 화순 고인돌유적지 중에서 가장 많은 고인돌이 모여있는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저수지 아래 계곡에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관청바위 고인돌군은 도로 옆을 따라서 고인돌들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관청바위 고인돌군은 보성 원님이 쉬면서 관청 일을 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고인돌군은 화순 고인돌 유적지에서 가장 큰 무리를 이루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다. 고인돌은 산기슭을 따라 규칙적으로 줄을 지어 분포하고 있으며 규모가 가장 큰 고인돌은 2003년 조사 결과 덮개돌 밑을 빙 둘러 받침돌이 놓여 있고 땅을 평탄하게 한 후 돌을 구획하여 깐, 묘소의 경계를 정한 구역이 확인되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OLYMPUS DIGITAL CAMERA도로를 따라서 고인돌들이 이어지고 있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덮개돌들을 볼 수 있는데 바둑판 형태의 덮개돌이 상대적을 많다.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에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 고인돌군.

OLYMPUS DIGITAL CAMERA고인돌군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에 볼 수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관청바위라 불리는 상당히 크고 넓은 고인돌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도로에서 연결되는 탐방로에서 첫번째로 보이는 고인돌군.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으로 보이는 채석장.

OLYMPUS DIGITAL CAMERA바닥판을 올려놓은 모습을 하고 있는 전형적인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탐방로를 따라서 보이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탁자식 고인돌처럼 넓직하게 생긴 덮개돌.

OLYMPUS DIGITAL CAMERA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아래쪽에 작은 돌을 깔아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탐방로를 따라 이어지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와 만나는 지점에 볼 수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의 고인돌들.

OLYMPUS DIGITAL CAMERA상당히 큰 덮개돌 아래에 받침돌을 받히고 있는 고인돌.

화순 효산리 및 대산리 지석묘군, 사적 410호
화순고인돌 유적은 2000년 12월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화순고인돌이 전 인류를 위하여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탁월한 문화유산임을 널리 인정받은 것이다. 화순고인돌은 남쪽 산기슭을 따라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산리를 잇는 보검재(일명 보성재, 해발 188.5 m) 계곡 일대 약 5 km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특징은 좁은 지역 내에 고인돌 여러 개가 한 곳에 모여 있으며 당시의 자연환경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또한 고인돌 덮개돌 채석장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어 돌을 캐는 것과 캔 돌을 쌓아 고인돌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유적은 국가 사적 제 410호로 지정되었고, 거점 지역별로 괴바위 고인돌군(47기), 관청바위 고인돌군(190기), 달바위고인돌군(40기), 핑매바위 고인돌군(133기), 감태바위 고인돌굴(140기), 대산리 발굴지(46기) 등에 596기의 고인돌이 빽빽히 분포해 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화순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