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농성, 지방 호족세력이 터를 잡았던 작은 토성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에 있는 농성((農城)이다. 성벽은 높이는 약 4 m 정도이며 흙으로 쌓은 판축토성이다. 토성은 고대국가가 형성되던 삼국시대 초기에 쌓았던 성곽의 형태로 백제가 쌓은 토성이 많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 이후 외벽을 석축으로 보강한 경우가 많은데 이 곳은 원래 모습이 남아 있다.전체 둘레가 약 300 m 의 작은 평지성으로 동.서쪽에 성문을 두고 있다.  팽성읍 지역은 아산만과 가까운 평야지대로 위치나 규모로 등으로 볼 때 고려말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서 기존에 있던 작은 토성을 보강해서 읍성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평택 농성은 통일신라 때 중국 당나라에서 망명한 임팔급이 근거지로 삼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임팔급은 우리나라 임씨의 시조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임씨들의 조상이 터를 잡은 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평택 농성. 옛 평택현 읍치에서 서쪽으로 약 1.5 km 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토성이다. 둘레 300 m 정도의 작은 토성으로 조선초 전국적으로 읍성을 쌓을 때 원래 있던 토성을 보강해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농성 동문. 출입문 문턱을 비교적 높게 만들었다.

SANYO DIGITAL CAMERA동문 주위 성벽.

SANYO DIGITAL CAMERA농성 내부.

SANYO DIGITAL CAMERA동문 북쪽편 성벽. 높이 4 m 정도의 비교적 높은 성벽이다. 흙을 다져서 쌓는 판축기법을 이용해서 성벽을 쌓았다.

SANYO DIGITAL CAMERA성벽 안쪽과 성벽 위. 주변에 산이 거의 없는 평야지대로 성벽 위에 올라서면 주변 지역이 한눈에 들어온다.

SANYO DIGITAL CAMERA동문 남쪽편 성벽.

SANYO DIGITAL CAMERA성벽 안쪽

SANYO DIGITAL CAMERA농성 동쪽으로 보이는 옛 평택현 읍치인 팽성읍

SANYO DIGITAL CAMERA농성 서문. 출입문 문턱이 동문에 비해 낮다.

SANYO DIGITAL CAMERA서문 주위 성벽.

SANYO DIGITAL CAMERA서문 북쪽편 성벽

SANYO DIGITAL CAMERA서문 남쪽편 성벽 안쪽.

SANYO DIGITAL CAMERA
임팔급 동상, 우리나라 임씨의 시조로 중국 당나라에서 통일신라로 망명하여 이곳 팽성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

평택 농성(農城),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이 성의 축성연대는 임씨의 시조인 임팔급 공이 당의 혼란을 피해 이곳에 망명하여 축성 정착한 것으로 보이나 삼국시대 도적 때문에 쌓았다는 설, 고려 떄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 방어를 위하여 또는 조선중기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성이 위치한 지세로 볼 때 이런 소규모의 토축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근대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미 이 지역에 임팔급 토착세력 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로 축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평면 형태는 타원형으로 동, 서쪽에 문터가 있고 높이는 4 m 안팎이며 둘레는 약 300 m인데 판축의 방법으로 축조가 되었다. (안내문, 평택시청, 2010년)

<출처>

  1. 평택시청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