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 냉수리고분,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굴식돌방무덤.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냉수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고분이다. 굴식돌방무덤으로 한강이남에서 발굴.조사된 것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인 6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다. 봉분은 높이 7 m, 직경 25 m로 상당히 큰 규모이다. 내부는 통로와 시신을 안장한 돌방과 옆방이 있으며 내부에는 2개의 벽감이 설치되어 있다. 발굴조사 당시 이미 도굴된 상태였으나 금은제반지, 세고리장식 칼자루, 장식구, 뿔잔, 뚜껑합 등 400여 점에 이르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 지역은 영일 냉수리신라비(국보 264호)가 발견된 곳으로 주변에는 100여기의 무덤들이 있는데 주로 돌방무덤이다. 돌방무덤은 서역의 영향을 받은 무덤형태로 중국 남북조시대 북조와 고구려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무덤형태로 이 지역 무덤들 역시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지리적인 위치나 교통로 등 고구려와의 접경지와 가까우면서 신라가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진출하기 위한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유적들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영일 냉수리고분. 직경 25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고분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굴식돌방무덤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전체단면구조. 석재를 사용하여 출입통로를 만들고 가운데 시신을 안치하는 큰 방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내부구조.

OLYMPUS DIGITAL CAMERA고분이 있는 이곳은 경주에서 안강을 거쳐 동해안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지금은 포항을 거쳐가는 길이 주요 교통로이지만 예전에는 이 길이 주요 교통로였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고분 아래에 있는 저수지. 주변 지역에는 약 100여 기의 돌방무덤들이 산재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뿔잔, 6세기, 경북 포항 냉수리, 경주박물관, 뿔잔은 서역과의 문화교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신라뿐만 아니라 가야 등 다양한 지역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세고리장식칼자루, 6세기, 경북 포항 냉수리, 경주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장식구, 6세기, 경북 포항 냉수리, 경주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장식구, 6세기, 경북 포항 냉수리, 경주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금.은반지, 경북 포항 냉수리, 경주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뚜껑합, 경북 포항 냉수리, 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포항 냉수리 신라비(국보 264호, 앞면). 포항 지역 호족의 재산권 관련 분쟁을 해결한 내용을 새긴 비석으로 가장 오래된 신라 비석 중 하나이다. 글자는 비석의 앞면, 윗면, 뒷면에 새겼다.

영일 냉수리 고분,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냉수리
이 고분은 6세기 전반에 축조된 고분으로 한강 이남에서 발굴조사된 횡혈식 돌방무덤으로는 가장 큰 규모이며 높이 7 m, 직경 25 m로 현실의 위와 주변에 이중으로 천석을 쌓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형태의 둥근무덤이다. 1990~1991년 3차에 걸친 국립경주박물관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발굴조사된 봉토분으로 1989년 냉수리 신라비가 발견되면서 주목 받았다 일대에는 100여기 이상의 대형 봉토분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고분에서는 금은제 가락지, 은제 허리띠, 은제 고리, 토기 등 400여 점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물은 6세기 전반에서 7세기 초의 것으로 보인다. (안내문, 포항시청, 2017년)

<출처>

  1. 포항시청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중앙박물관
  5. 경주박물관